고등학교 과제연구주제 질문드립니다

고등학교 과제연구주제 질문드립니다

작성일 2019.07.3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학교의 과제연구때문에 이리저리 스트레스를 받던 도중 우연히 지식in에서 hans님을 보게 되었고 이렇게 질문을 해봅니다 ㅠㅠ



R&E를 하신다는 것인가요?
-R&E라기보단 교과목으로써 과제연구를 진행합니다.

그렇다면 주최기관은 어디인가요? (교내대회인지 아니면 한국과학창의재단 등 좀 큰 곳인지)
-교내에서 진행을 합니다

이론적으로만 하지 않고 실제로 실험도 하고 나가서 활동도 하고 그러고 싶으신가요?
-실질적인 실험을 진행하고 싶습니다.

물리, 화학,생명과학, 지구과학 등 대략적인 분야는 어느 쪽인가요? 수준은 고등학생 정도 인가요?
-분야는 화학,생명과학입니다

성별은 어떻게 되시나요?
-남자입니다.

조를 짜서 하는 것인가요?
-네 4~5명의 조로 이루어져 활동을 합니다

몇학년이시고 수학, 과학 등은 어디까지 학습하셨나요?
-고등학교 2학년이고 현재 수학은 2학년 과정은 거의다 완료하였고 과학은 화학1은 완전히 예습을 하였고 생명과학1도 기본적인 개념은 숙지중입니다.

그 외에도 특별히 연구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만한 지식이나 능력을 가진 조원이 있나요?(예를 들어 프로그래밍을 잘 하는 학생이 있다든지요.)
-음... 아뇨 딱히없습니다.

아니면 학교 옆에 바다나 화석 산지가 있다든지, 바로 옆에 대학교가 있는데 실험장비를 이용할 수 있다든지 같은 R&E에 도움이 될 만한 다른 특성들이 있나요?
-전혀 없습니다 ㅠ

학교예산을 쓸 수 있나요? 소논문을 제출해야 한다면 언제까지 어떻게 제출해야 하나요? 중간에 발표대회도 하고 그런가요?
-학교에서 조당 지원해주는 금액이 5만원 정도로 적어서... 실험 기간은 2개월 안쪽으로 충분히 끝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학교가 과학고등학교인가요 과학중점고등학교인가요 일반고인가요?
-일반 고등학교입니다.

담당교사의 전공은 무엇인가요?
-생물과 화학입니다만 실질적인 도움을 받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담당교수가 있는지요?
-아니요

학교에 사용할 수 있는 실험도구들은 무엇무엇이 있나요? 망원경이라든지 현미경이라든지요. 적어주실수록 좋은 답변해드리기에 더 좋습니다.
-현미경 정도는 있습니다.(다른학교에 비하면 시설이 좋다고는 말을 못하겠네요..)

뭐라도 생각해놓은 것은 있으신지?
-환경에 따른 황산구리 결정의 성장 정도(현미경, 열 전도, 빛의 굴절 등의 특성확인), 피톤치드를 활용한 항균 작용 정도...


좀 위험할지는 몰라도 창의적인 것을 원하시는지, 아니면 창의적이라는 평가는 받기 어렵겠지만 보다 안전한 쪽으로 가는 걸 원하시는지?
- 위험한 것은 선생님들 께서도 피하라 하시더군요.


기존에 하기로한것은 환경(온도,진동,이물질 등)이 미치는 황산구리 결정 성장 에 대해 연구를 하려했는데 이것이 발표,보고서 작성에도 충분할만한 실험결과가 나올지라는 걱정이들어서 조언을구해봅니다 ㅜ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 논문 정도로 쓸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할 수 있는 연구주제 같은데 다만 강도?를 조절하셔야 합니다. 방탄유리의 성능을 평가하는 실험을 하려 하는데 실험 1에선 대포를 쏘고 2에선 미사일을 쏜다면 평가가 안 되겠죠.

원래 결정 성장에 진동은 일반적으로 방해되는 요소입니다.

진동을 실험장치를 구해서 인공적으로 가하실지 아니면 단순히 생활진동 등의 영향을 평가하는 쪽으로 갈진 모르겠으나 그렇게 세게 하진 않는 게 좋겠습니다.

결정학, 결정성장학이란 학문에 수식도 있고 이론적 배경도 있는데 가능하다면 근처 큰 도서관 같은 데 등에서 볼 수 있나 알아보세요.

또 저 RISS란 사이트에서 논문들을 석사학위 논문 쪽으로 여러 편 보시면(내용을 이해하는 게 아니라 어떻게 썼는지 보는 것입니다.) 좋겠습니다. 연구를 어떻게 할지 감을 잡으실 수 있습니다.

피톤치드도 충~분히 할 수 있는 연구입니다.

실험 데이터를 촘촘하게 얻어 그래프를 잘 그리시고 통계학 지식을 좀 검색해봐서 통계학적 접근을 하시면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좀더 써보자면

1. 실험을 실행에 옮기기 전에 과학 선생님과 상의하시고 하시기 바랍니다.

2. 소논문에 실험 결과를 나열하는 것에만 그치지 말고 과학적 고찰을 넣으시길 바랍니다.

3. 여러 대상을 가지고 여러 번 실험해야 통계적으로 신뢰할 만합니다.

4. 생명과학1에 과학적 연구방법에 대한 내용이 조금 나오니 읽어보시고, 대조군이란 개념이 있는데 대조군이란 개념을 쓰지 않는 실험이라도 기억은 하세요.

5. 엑셀을 이용하면 값들을 표로 만들어낸 다음 그 표를 그래프로 만들고 그 그래프에서 함수관계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어렵게 하실 거 없고, Excel 2010 기준으로 설명드리자면 표를 엑셀에다 만들고, 그 표를 마우스로 쫙 선택한 다음 삽입에 들어가셔서 그 표의 분산형 그래프를 띄운 다음에, 그 그래프의 선에 마우스를 갖다대시고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고 추세선 추가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추세선을 여러 함수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가장 이 그래프를 잘 표현하는 추세선 함수를 스스로 찾아보세요. 해보시면 무슨 말인지 압니다. 이때 하단에 있는 '수식을 차트에 표시'를 꼭 체크해주셔야 추세선 함수가 그래프에 식으로 나타나니 주의해 주세요.

6. 혈액성분 등을 전문적으로 분석해주는 업체/연구소가 존재합니다. 다만 미리 뭐뭐를 분석받을 수 있는지 그런 걸 전화 등으로 확인한 후 실험을 짜셔야지 막바지에 가서 분석해줄 곳을 찾으려다간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7. 실험에 관계된 사항은 두루뭉술하게 하지 마시고 상세히 기록하세요. 가령 기기로 잰다면 ~~사의 !$@기기로 쟀다 이런 식으로 기록하고(지금 생각해보니 학생에겐 선택사항일 수도 있겠군요.), 쥐로 실험하면 그냥 쥐한테 매일 카페인 3숟가락을 먹였다 이런 식이 아니라 학명이 $@!@인 쥐에게 8시간 간격으로 순도 99%의 3mL의 카페인을 식사와 함께 먹였다 이런 식으로 하면 더 고급스럽습니다.

8 실제 논문들을 RISS라는 사이트에서 읽어보시는 걸 권합니다. 어떻게 연구를 하는 건지 감이 잡힙니다.

책으로는 강상조, 박재현, 황규자 씨의 '연구논문 어떻게 작성할 것인가?' 라는 책이랑 서울대학교 출판부 출판 의학연구방법론이 좋더군요. 근처 도서관에서 빌려보고 없으면 나중에라도 보게 희망도서 신청이라도 해 보세요.

9. https://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11&dirId=1128&docId=1496049

이 링크에도 있지만 통계학적 지식들을 좀 검색해보셔서 논문에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둘 다 할 수 있는 연구고 나쁘지 않습니다. 그리고 조금만 시간 할애해서 더 알아보시고 할수록 더 좋습니다.

연구 잘 하시기 바랍니다.

교육기부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