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 주제가 '교육'인 비문학 독서 지문 알려주세요

[급] 주제가 '교육'인 비문학 독서 지문 알려주세요

작성일 2021.10.1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고등학교 2학년 교대 지망 학생입니다.
국어 수행평가를 해야하는데 '교육' 관련 비문학 독서 지문 없나요ㅜㅜㅜ 진짜 급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국어 수행평가를 해야하는데 '교육' 관련 비문학 독서 지문 없나요

학문(學問)의 목적(目的) ------------------------------------지은이】박종홍: 철학자.

----------[1]-----------------------------------------------------------------------------------------------------------------------------

[A]학문(學問)은 해서 무엇하나? 우리는 초등 학교, 중․고등학교, 그리고 대학까지 어려서부터 소년, 청년 시대를 거의 학문을 하는 데 보내고 있다. 학자는 물론이려니와, 보통 사람들도 학교를 마쳤다고 학문을 그만두는 것은 아니다. 일생을 두고, 전문(專門)과 주력(注力)의 정도 차이는 있을망정, ㉡학문과 떠난 생활을 하는 것은 아니다. 죽는 날까지 배우는 것이 인생인 것도 같다. ㉢학문이 없는 곳에 인생의 고귀함도 없을지 모를 일이다.

[B] 노자(老子)는 도덕경(道德經)에서 ㉣“성(聖)을 절(絶)하고 지(智)를 버리면 민리(民利)가 백배(百倍)하리라.”고 하여, 지식이니 학문이니 하는 것의 불필요함을 말하였다. 그러나 ㉮딱한 것은 지식이 불필요하다고 아는 것도 하나의 ‘앎’이요, 후세 사람들이 도덕경이라는 책을 읽음으로써 이 노자의 사상을 알 수 있게 마련이니, 노자의 말은 오히려 지(知) 자체를 반성한 지의 지라고 하겠다. 소크라테스는 자기의 무지(無知)를 아는 사람은 그 무지조차 알지 못하는 다른 사람과 다름 직도 하다고 하였거니와, 노자는 지의 불필요를 아는 지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진리는 말로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을 말로 표현하듯이, 지가 불필요함을 지로써 전하는 것이라 하겠다. 결국 ㉯지(知) 이상의 것도 지를 통함으로써만 알 수 있는 것이다.

[C] 공자는 15세 때에 학문할 뜻을 세웠고, 그 후 계속적인 정진(精進)을 한 나머지 ㉤“하루 종일 식사도 하지 않고, 밤이 새도록 잠도 안 자고 생각하여 보기도 하였으나, 무익한지라 배움만 같지 못하더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처럼 배워서 무엇을 하려고 한 것인가? 유교에서는 ㉥‘수신제가(修身齊家) 치국 평천하(治國平天下)’를 학문의 궁극적 목표로 한다지만, 공자 자신의 수양 과정을 보면 “50에 천명을 알고, 60에 ㉦귀가 순(順)하여지고, 70에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하여도 법도(法度)를 넘기지 않았다.”고 하였다. 결국은 천리(天理) 그대로 힘들이지 않고도 저절로 도리에 맞는 생활 태도에 이른 것이니, 천리와 인욕(人慾)이 혼융 일체(渾融一體)가 된 경지(境地)라고 하겠다. 이것이 다름 아닌 성인(聖人)인 것으로, 유학(儒學)에 있어서 학문의 궁극적인 목적은 성인이 되는 데 있다고 해도 틀림없다.

[D] 청년 율곡(栗谷)도 그의 자경문(自警文) 첫째 조목에, “먼저 그 뜻을 크게 하여 성인으로써 모범을 삼되, 일호(一毫)라도 성인에 미치지 못한다면 나의 일은 끝마치지 못한 것이다.”고 썼던 것이다. 동양의 학문이, 왕양명(王陽明)의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 같은 것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아무리 이(理)다 기(氣)다 까다로운 이치를 따지는 것같이 보이는 경우에도, ㉧결국은 성인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모두가 일치한다고 하겠다.

[E]노장(老莊) 사상은 인위적인 것을 배격하고 천(天)에 합일(合一)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천인(天人) 합일의 경지가 곧 유교의 성(聖)의 경지가 아닐 수 없다. 그리하여 동양에서는 학문의 목적은 주로 윤리적인 수양(修養)에 두었던 것이라고 하겠다.

그리스의 소크라테스가 지덕(知德) 일치를 주장하여, 완전히 알면서도 행하지 않을 수는 없는 법이라고 생각하였음은 널리 알려져 있는 일이거니와, 그에게 있어서도 학문은 윤리적인 실천과 뗄 수 없는 연관성을 가지는 것이었다.

내용 정리

[A]논제 제시: 학문의 의의(意義)에 대한 의문

[B]논증․부연: 학문의 필요성

[C],[[D]예시․인용: 유학과 왕양명의 학문의 목적

[E]주지: 노장 사상과 소크라테스의 학문의 목적

요지: 학문의 목적은 윤리적 수양에 있다.

----------------------------------------------------------------------------------------------------------------------------------

-다음에 [1] ~ [5]의 지문은 물론 다양한 자료들이 실려 있으니 참조하시길 권합니다.

<출처> 학문(學問)의 목적(目的) : 카페 (naver.com)

국어 지문 비문학 독서 알려주세료

2023 고1 6모의고사 국어 지문 비문학 독서알려주세요 전문 상담사 - 취미가조아 - 입니다. 제가 아는 정보들을 작성하여 도움될수 있는 수기 답변 드리겠습니다.^^ 오늘의...

교육관련 비문학 지문

... ㅇ중심주제가 교육과 관련된 것으로 부탁드립니다 ㅠㅠ 몇년도 몇월 지문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교육관련 비문학 지문 제목 그대로입니다! 고3이고 국어...

교육 관련 독서 모규 지문

제목 그대로 독서 지문에서 교육과 관련된 지문 알려주세요 교육 관련 독서 모규 지문 제목 그대로 독서 지문에서 교육과 관련된 지문 알려주세요 질문하신 내용에 성심성의껏...

2025 수특 독서지문

... 연관된 지문 알려주세요ㅠㅠ!! 죄송합니다. 수능 독서 지문은 공개되지 않은... 다만 교사와 관련된 주제로는 교육, 윤리, 사회적 역할 등이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수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