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원가' 문제. 질문이요.

'규원가' 문제. 질문이요.

작성일 2011.09.2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규원가는 감정을 절제하여 쓴 가사입니까?

 

2. 여성 특유의 세련되고 절제된 감정표현이 돋보인다는데. 문제에서는 차분하거나 자신의 감정을 절제하는것과는 거리가 멀다라고 하네요. 도데체 무슨 뜻이요?

 

 

3. 문제 : 이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정답 : 어조는 차분하고 자신의 감정을 절제하고 있는 편이다

 

  ,,,,,,규원가를 바탕으로 설명좀,

 

4, 문제 : 이 노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정답 : 자연물을 신령시하여 인생행로의 평안함을 기원하였다.

 

 이게 정답인건 알겠는데 문제는 이 문제에 보기에

 

 세련보기 : 여성특유의 되고 절제된 감정 표현이 돋보인다. 가 있어서,,,


#규원가 문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모든 질문이 결국 '규원가'는 감정을 절제하여 쓴 가사입니까, 이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규원가'는 감정이 절제되어 있지 않고 감정이 노출되어 있는 작품입니다.

감정이 드러나 있는 부분을 여기에 실어 보겠습니다.(근데 아래아가 옮겨지지 않아서 빈 글자가 있음)

 

엇그제 저멋더니 마 어이 다 늘거니.
少年行樂(소년 행락) 생각니 일러도 속절업다.
늘거야 서른 말 자니 목에 멘다.
=>엇그제 젊었더니 어찌 벌써 이렇게 다 늙어 버렸는가? 어릴 적 즐겁게 지내던 일을 생각하니 말해야 헛되구나.

 

雪鬢花顔(설빈 화안) 어 두고 面目可憎(면목 가증) 되거고나.
내 얼골 내 보거니 어느 님이 날 괼소냐.
스스로 慚愧(참괴)니 누구를 怨望(원망)리.
=>꽃 같이 아름다운 얼굴 어디 두고 모습이 밉게도 되었구나. 내 얼굴을 내가 보고 알거니와 어느 임이 나를 사랑할 것인가? 스스로 부끄러워 하니 누구를 원망할 것인가?

 

三春花柳(삼춘화류) 好時節(호시절)의 景物(경물)이 시름업다.
가을  방에 들고 蟋蟀(실솔)이 床(상)에 울 제,
긴 한숨 디 눈물 속절업시 헴만 만타.
아마도 모진 목숨 죽기도 어려울사.
=>(봄 세 달 동안의 꽃과 버드나무) 봄날 온갖 꽃 피고 버들잎이 돋아나는 좋은 시절에 아름다운 경치를 보아도 아무 생각이 없다. 가을 달이 방에 들이비추고 귀뚜라미가 침상에서 울 때 긴 한숨 흘리는 눈물, 헛되이 생각만 많다. 아마도 모진 목숨 죽기도 어렵구나.


芙蓉帳(부용장) 寂寞(적막)니 뉘 귀에 들리소니.
肝腸(간장)이 九曲(구곡)되야 구븨구븨 쳐서라.
=>연꽃  무늬가 있는 휘장을 친 방안이 텅 비어 있으니 누구의 귀에 들리겠는가? 마음속이 굽이굽이 끊어졌도다.(구곡간장이 끊어지는 듯 슬프다.)


欄干(난간)의 비겨 셔서 님 가신  바라보니,
草露(초로) 맷쳐 잇고 暮雲(모운)이 디나갈 제,
竹林(죽림) 푸른 고 새 소리 더욱 설다.
=>난간에 기대어 서서 임 가신 곳을 바라보니, 풀에 이슬은 맺혀 있고 저녁 구름이 지나갈 때, 대나무 숲 우거진 곳에 새 소리가 더욱 서럽게 들린다.

 

지금 옮긴 내용을 보면 작가의 감정이 직설적으로 드러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디딤돌 문학 교과서에 있는 내용과 그 교사용 지도서에 있는 내용을 실어 드리겠습니다.

 

남편이 돌아보지 않아 홀로 규방을 지키는 여성의 심정을 솔직하게 토로하고 있다.

 

 여류 시인으로 이름난 허난설헌이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남편의 사랑을 잃고 늙어 가는 자신의 신세 한탄과 남편에 대한 원망을 노래로 토로함으로써 화자는 자기 심정을 타인과 소통하고 있는 셈이다.

 

시적 화자가 자신의 고조된 감정을 표현할 때는 한자어를 사용하지 않고 우리말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규원가’의 시적 화자는 결혼을 했으나 남편에게 버림받다시피 한 여자로서 자신의 슬픔을 직설적이고 다소 과장적이기까지 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규원가' 문제. 질문이요.

... 이게 정답인건 알겠는데 문제는 이 문제에 보기에 세련보기 : 여성특유의 되고 절제된 감정 표현이 돋보인다. 가 있어서,,, 모든 질문이 결국 '규원가'는 감정을 절제하여 쓴...

허난설헌 <규원가> 질문

... 허난설헌 <규원가> 질문 허난설헌 관련 문제를 풀다가 내용 속의 녹기금을 통해 부재하는 임으로 인한 시름을 잊고자 한다는 선지가 맞다고 나오는데, 학원에서 배운거로는...

규원가 질문이 있는데요

규원가 질문이 있는데요 1. 규원가 1 2 3행에 젊었던 시절을 회상하는 부분이 있는데... 문제를 풀다가 봤는데 진눈깨비는 외로움을 강조하지만 궂은 비는 화자를 달래주는...

규원가문제질문

규원가문제질문요 참고로 이 문제는고전시가의 모든것이란 책의 233페이지.. 1. 내방 2. 가부장적 3. 있음, 없음 4. 체념 5. 감정이입 6. 두 작품 모두 임과 이별한 상황을...

규원가 질문

... 그럼 의지적이라고 해도 맞나요 그리고 1,2,4,5가 왜 틀렸는지 모르겠어요 규원가 질문 윗글은 규원가고요 2,3번째 사진이 <보기>입니다 옳은걸 고르는 문제인데 답이 왜...

급해요! 고전문학 규원가에서 간단질문

ebs규원가 문제에서 규방 앞에 심은 매화 몇 번이나 피었다 졌는고? 라는 구절에서 매화의 시적기능이 시조, 이화에 월백하고에서 자규(소쩍새)의 기능 (화자의 슬픔을 강조) 과...

규원가 문제 질문

2번에서 여성의 삶과 연관되어 있는 소재가 무엇인가요? 굳이 말하자면 '뵈오리 북 지나가듯'이란 표현인데 북이란 베틀에서 옷감짤 때 쓰이던 도구를 말합니다. 이를...

규원가 질문

... 규원가 질문 1. 시간의 변화/흐름, 계절의 변화/흐름에 따라 전개된다고 하면 맞나요?... 즉, 가능하기는 하지만 문제로 출제한다면 오류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2. '소상반죽...

허난설헌 규원가

규원가에서 ‘새’ 가 감정이입인데 이것을 화자의 외로움을 위로하고있다 라고 써도... 시험문제라면 질문지문에 답을 정해 놓은 출제자의 의도에 접근해야 함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