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2 기술가정 요점정리.

중2 기술가정 요점정리.

작성일 2006.06.2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중 2 인데요

 

이제 시험이 몇일 남지 않았네요 ㅜ

 

그래서 늦게나마

 

해보려고 하는데

 

이 짧은 시간에 다 하기는 역부족 인거 같아요.

 

저희 학교 기술가정이 형설꺼거든요.

 

시험범위는 2단원이구요

 

요점정리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중2 기술가정 교과서 pdf #중2 기술가정 #중2 기술가정 수행평가 #중2 기술가정 교과서 pdf 금성 #중2 기술가정 기출문제 #중2 기술가정 교과서 pdf 미래엔 #중2 기술가정 교과서 pdf 천재교육 #중2 기술가정 교과서 pdf 지학사 #중2 기술가정 교과서 pdf 원교재사 #중2 기술가정 요점정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의복과 생활

⸡ 우리의 생활과 옷차림(1)

(1) 신체를 보호하고 활동을 보조하는 기능

① 피부 보호 : 속옷은 땀과 피지를 흡수하여 청결을 유지시키고 겉옷은 외부의 오염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줌

② 체온 조절 : 계절에 맞는 옷을 입어 추위와 더위를 견디게 함

③ 신체 보호 : 자연 환경이나 작업 환경, 특수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 - 소방복, 실험복, 우주복, 잠수복 등

④ 능률 향상 : 작업이나 활동에 알맞은 옷은 피로를 줄이고 능률을 향상시킴 - 잠옷, 운동복, 작업복 등

(2) 사회적 기능 및 개성 표현의 기능

① 직업에 맞는 옷차림(신분 표현) : 옷차림으로 그 사람의 신분이나 지위 등을 파악할 수 있음 - 군복, 경찰복, 의사 가운, 간호사복, 교복 등의 제복

→ 제복, 작업을 위한 특수복 등의 종류를 설명한다.

② 개성의 표현 : 외모와 옷차림을 조화시켜 자신의 인상을 가꿈

→ 자신의 인상을 결정하고 미적 감각을 표현하는 방법으로써의 의복 착용 경험을 발표하게 한다.

→ 학생들의 개성 표현 욕구와 어른들의 시각을 절충할 수 있는 방법을 발표해 본다.

③ 격식을 갖춘 차림 : 때와 장소에 어울리는 옷을 입음으로써 예의를 지키고 좋은 인상을 주게 됨

→ 예의와 격식에 맞는 의복 착용 방법을 설명한다.

⼗ 활동 과제 : 우리는 일류 디자이너

→ 실제 교복을 만들기 어려우므로 그림으로 대치하거나 기존 교복을 수선해 보는 정도로 진행한다.

→ 실물 화상기 등을 사용하여 여러 조들의 디자인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 바른 옷차림

(1) 여자 한복 차림 (일습 - 저고리, 치마, 버선)

① 속옷 : 겉옷의 밖으로 보이지 않게 입어야 하고 속바지와 속치마는 치마를 부풀려 보이게 하는 것임

→ 속옷의 종류와 바르게 입는 방법을 설명한다.

② 치마 : 오른쪽 자락이 겉으로 놓이게 하여 등너비의 ⅔정도 겹쳐지게 입음

③ 저고리

·종류 :

- 계절별(홑저고리, 겹저고리, 솜저고리)

- 바느질 방법별(박이겹저고리, 깨끼저고리, 적삼)

- 배색 방법별(민저고리, 반회장저고리, 삼회장저고리, 색동저고리)

·입는 방법 : 안고름이나 스냅으로 앞자락 고정하기→옷고름 매기(짧은 고름을 긴 고름의 밑으로 넣어 위로 잡아 당겨 맨 다음 긴 고름으로 고를 만들고 짧은 고름으로 고를 감아 돌려 맨다)→어깨솔과 겨드랑이 부분 정리하기

→ 저고리와 치마의 부분별 명칭과 바르게 입는 방법을 설명한다.

④ 버선 : 발등의 솔기선인 수눅의 시접이 바깥쪽으로 가게 하여 약간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신음

⑤ 두루마기 : 저고리와 같은 방법으로 입는데 방한용 외출용이므로 실내에서는 벗어야 함

→ 옷차림의 완성을 위하여 버선이나 배자, 마고자, 두루마기 등에도 신경을 쓰도록 지도한다.

(2) 남자 한복 차림(일습 - 바지, 저고리, 조끼, 두루마기)

① 바지

·허리띠 매기 : 작은 사폭이 왼쪽으로 가게 입고 바지 허리의 여유분이 왼쪽으로 가게 한 후 맴

·대님 매기 : 다리 안쪽 복사뼈 위에 사폭선 두기→여유분을 접어 뒤로 돌리기→대님을 2번 돌려 감기→다리 안쪽에서 매듭을 짓고 긴 자락으로 고를 만들어 짧은 자락으로 매기

② 두루마기 : 의례용이므로 실내에서도 격식을 차려야 할 경우 입어야 함

③ 입는 순서 : 바지→저고리→조끼→마고자(방한용)→두루마기

→ 남자 한복의 입는 순서를 설명한다.

→ 옷의 부분별 명칭과 바르게 입는 방법을 설명한다.

(3) 평상복(양복) 차림

① 속옷 : 겉옷 색과 같거나 흰색, 연한 색이 적당하며 겉으로 보이지 않게 입어야 하고 자주 갈아입어야 함

② 편의복(캐주얼 웨어) : 셔츠와 바지, 스커트, 니트 조끼, 스웨터, 스포츠 재킷 등으로 활동성에 중점을 둠

③ 정장(포말 웨어) : 남자는 재킷과 바지, 여자는 슈트와 블라우스 등으로 예절을 지키기 위한 옷이므로 외모에 중점을 둠(교복 대체 가능)

→ 속옷의 기능을 설명하여 반드시 착용하도록 지도한다.

→ 깨끗하고 단정하며 예의바르게 입는 방법을 설명한다.

(4) 몸가짐

⸁ 우리 옷차림의 몸가짐

·조용하고 온화한 분위기에 맞게 몸가짐을 주의 : 특히 여자는 치마가 벌어지지 않도록 주의

·인사드릴 때, 앉을 때, 설 때 모두 바른 자세를 유지

→ 평상복 차림과 비교하여 우리 옷차림에서 더욱 주의해야 할 점을 설명한다.

⼗ 해보기

→ 큰절과 평절을 직접 해보도록 하여 익힌다.

⸂ 평상복(양복) 차림의 몸가짐

·때와 장소에 맞게 옷차림을 하고, 색깔이나 디자인을 조화시켜 입는 것이 중요

·깨끗하고 단정한 모습이 되도록 함

→ 유행이나 디자인에 구애받지 않고 학생다운 차림이 되도록 지도한다.

·속옷의 종류 : 언더웨어류, 파운데이션류, 속치마(란제리)류

2. 의복 마련 계획과 구매

⸡ 의복 마련 계획

(1) 의복 마련 계획

① 정의 : 새로운 옷을 장만할 경우 어떤 옷을 어디에서, 어떻게 장만할 지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

② 필요성

·의복 손질을 하게 되어 활용이 원활해진다.

·가지고 있는 옷의 파악으로 인해 옷을 조화시켜 입을 수 있다.

·충동 구매를 방지할 수 있다.

·의복비를 줄이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 의복 마련 계획의 장점을 설명하고 스스로 계획을 세워 보려는 마음을 갖도록 지도한다.

→ 특히 충동 구매를 막기 위하여 의복 마련 계획의 필요함을 강조한다.

(2) 의복비

① 정의 : 의복, 신발, 가방, 장신구 등의 마련과 세탁 및 수선에 드는 비용

② 특징 : 가계비 중 가장 신축성 있게 조절할 수 있는 품목

→ 의복비는 구입뿐만 아니라 수선 및 유지에 드는 비용까지 포함하므로 이를 주의하도록 한다.

→ 의복이 반드시 필요한 품목이기는 하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비용 절약이 가능하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3) 의복 마련 계획 세우기

① 내가 가지고 있는 옷을 조사한다. : 계절, 용도, 상태에 따라 분류하고 간단한 수선이나 손질 실시

② 가지고 있는 옷의 활용 방법을 구상한다.

→ 계절별, 용도별, 상태별로 나누어 의복을 조사하게 한다.

→ 색과 무늬의 조화를 고려하여 여러 가지 용도로 옷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③ 의복 계획표를 만든다. : 시장 조사(구입 장소, 가격, 품목 등)→의복 계획표 작성(가지고 있는 옷과 필요로 하는 옷 등으로 구분하여 기록→구입 시기, 구입 장소, 예산 기록)

→ 경제적이면서도 실제로 실천할 수 있도록 계획표를 작성하도록 한다.

⼗ 해보기

→ 자신의 의복 계획표를 직접 작성하게 한다.

⸢ 의복 마련하기

(1) 여러 가지 의복 마련 방법

⸁ 만들어 입기 : 만드는 재미가 있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으며,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체형에 잘 맞는 옷 마련 가능

⸂ 수선하여 입기 : 새로운 느낌의 옷 마련 가능하고 의복비 절약 가능

⸃ 물려 입거나 교환하여 입기 : 의복비 및 자원 절약

⸄ 기성복 구입하기 : 의복비 부담이 있지만 즉시 구입이 가능하고 다양한 선택 가능

⸅ 맞춰 입기 : 체형에 잘 맞는 옷을 마련할 수 있으나, 비용이 비싸고 완성까지 시간 오래 걸림

⸆ 빌려 입기 : 평소에 잘 입지 않는 옷일 경우 가능

→ 스스로 만들기, 부분 수선하기, 물려 입거나 교환하기, 새 옷 구입하기, 빌려 입기 등 다양한 의복 마련 방법의 장, 단점을 비교, 설명한다.

(2) 기성복 구매 방법(요령)

① 기성복 구매할 때 주의할 점

·의복 계획표 준수

·여러 상점을 비교하여 선택

·의복비 계획을 초과하지 않게 구입

·우선 순위에 맞게 구입

·패드 스타일, 충동 구매 자제

·기성복 고를 때 살펴보기

→ 의복 계획표를 활용하여 이를 지킬 수 있도록 하고 충동 구매나 유행에 따르는 구매는 억제하도록 한다.

② 맞음새 : 옷과 치수 외에 체형 또는 신체 활동과의 적합성

→ 치수에 맞는 옷을 골라 입고 여러 가지 움직임을 해봐서 살펴봄

→ 계단 오르기나 허리 굽히기, 의자에 앉아 보기, 팔 들어올리기 등을 통해 맞음새를 점검하도록 지도한다.

③ 기성복의 품질 표시 : 기성복의 질을 향상시키고 소비자를 보호하며 소비자가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

·치수 : 남녀별, 나이별, 의복 종류별 등으로 구분해서 규격이 정해짐

→ 각종 의복 구매에 필요한 치수를 설명하되, 기성복 구입시 가능한 한 입어보고 선택하게 하여 나중에 후회하는 일이 없도록 지도한다.

·취급 방법 : 세탁 방법, 탈수 및 건조 방법, 다림질 방법 등

·혼용률 : 옷감의 섬유 조성 비율로 겉감, 안감 등으로 나누어 섬유의 종류와 섞여 있는 비율을 퍼센트로 표시

·가공 방법 : 옷감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처리한 가공의 종류 표시

·공인 기호 : 공공 단체에서 품질과 규격을 인정하는 기호를 표시하는 것

예) 순모, 모혼방, 순면, 견 100%, SF마크 등

→ 취급 방법, 혼용률, 가공 방법, 공인 기호의 의미를 설명한다.

→ 학생 신분에 적합한 의복의 조건과 연관지어 의복 구입시 품질 표시를 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해보기

→ 누가 더 현명한 구매를 했는지 판단하고 그 근거를 들어본다.

3. 의복의 손질과 보관

⸡ 세탁

(1) 세탁 준비

의복의 취급 표시를 보고 물세탁이 가능한지, 드라이 클리닝을 해야 하는지를 구분하고, 물세탁이 가능한 세탁물은 취급 기호를 보고 세탁 방법을 선택한다.

→ 세탁물을 세탁 방법, 색상, 오염의 정도 등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① 섬유 제품 취급에 대한 기호

·물세탁 방법 : 손세탁 또는 세탁기 세탁 - 세제의 종류, 세탁 용수의 온도, 힘의 세기 등을 표시

·드라이 클리닝 : 드라이 클리닝 가능 여부와 용제 종류

·표백 : 표백제 사용 가능 여부와 표백제 종류

·다림질 방법 : 다림질 가능 여부와 다림질 온도, 간접 다림질 여부

·짜는 방법 : 짜기 여부(원심 탈수기 사용 여부)와 힘의 세기

·건조 방법 : 자연 건조 방법과 건조기 사용 여부

→ 각종 취급 기호의 의미를 설명한다.

→ 자신이 입고 있는 옷에서 취급 기호를 찾게 하여 각각의 의미를 생각해 보게 한다.

⼗ 해보기

→ 세탁을 잘못한 경우의 일화를 읽고 잘못된 점을 찾아 수정해 본다.

(2) 세제와 세탁

① 세제 : 비누와 합성세제로 구분

·비누 ┌ 성분 : 지방과 알칼리

└ 세탁하면 안 되는 섬유 : 비단, 양모, 흰색 나일론

·합성세제 ┌ 성분 : 계면활성제, 알칼리 조제, 효소, 표백제 등

└ 주의 : 환경 오염을 일으키므로 적당량만 사용

( 0.2∼0.3%정도의 농도가 적당 )

·효소 세제 : 효소 작용을 위해 2∼8시간 정도 미리 물에 풀어둔 후 사용

·농축 세제 : 보통 세제의 ½정도의 양만 사용

→ 비누와 합성 세제의 특징을 비교한다.

→ 같은 합성 세제라도 효소나 농축 세제의 경우 사용 방법이 달라짐을 강조한다.

② 물세탁 : 손빨래와 기계 세탁

준비→얼룩빼기→애벌빨래(면이나 마섬유)→본빨래(옷감의 종류에 따라 방법 선택)→헹구기→탈수→건조

→ 손 세탁과 기계 세탁의 비교한다.

→ 세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설명한다.

③ 드라이 클리닝 : 유기 용제로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

·대상 : 견, 양모,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과 같이 물에 의해 줄거나 색이 변하는 섬유이거나 안감, 심감이 들어있는 겉옷

·특징 : 옷감이 덜 상하고 옷의 형체가 변하지 않음

지용성 오염은 제거가 쉬우나 수용성 오염은 제거가 어려움

→ 드라이 클리닝을 해야 하는 옷이나 옷감을 설명한다.

→ 드라이 클리닝의 특징을 설명한다.

(3) 다림질

① 정의 : 적당한 열, 수분, 압력을 주어 구김을 펴거나 의복의 형태를 바로 잡아 주는 것

② 다리미의 섬유별 온도

아세테이트, 아크릴 : 70∼100 ℃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 100∼120 ℃

레이온, 견 : 120∼140 ℃ 양모 : 140∼160 ℃

면 : 160∼180 ℃ 마 : 180∼200 ℃

→ 섬유별 다림질 온도와 다림질 요령을 설명한다.

⼗조사하기

→ 옷감과 취급 방법의 관계를 알아본다.

⸢ 옷감의 특성에 대한 이해

(1) 섬유의 종류

① 천연 섬유

·면 섬유

원료 : 목화씨에 붙어 있는 솜

특징 : 흡습성이 크고 물에 젖으면 강도가 커지며, 열과 알칼리에 강해 삶을 수 있으나 구김이 잘 생긴다.

용도 : 운동복, 작업복, 속옷, 아기 옷, 수건, 행주, 걸레 등

옷감 : 시어사커, 코듀로이, 데님, 타월, 우단 등

·마 섬유

원료 : 마식물 줄기의 껍질

특징 : 강도가 크고 빳빳하며 열 전도성이 작아 시원하고 흡습성과 통기성이 좋고 빨리 마르나 구김이 잘 생긴다.

용도 : 여름철 옷감, 식탁보 등

옷감 : 모시, 삼베, 아마 등

→ 식물성 섬유인 면과 마의 특징을 설명한다.

·모 섬유

원료 : 동물의 털 (면양의 털-양모)

특징 : 보온성과 흡습성이 좋고 가벼우며 구김이 적어 우수하지만, 축융성이 있고 강도가 작고 충해를 입기 쉽다.

용도 : 고급 옷감, 겨울용 옷감 등

옷감 : 플란넬, 개버딘, 파일 코트감 등

·견 섬유

원료 : 누에고치에서 뽑아낸 실

특징 : 광택이 아름답고 촉감이 부드럽지만 물에 젖으면 강도가 줄어들고 알칼리에 약하며 자외선에 누렇게 변한다.

용도 : 고급 한복감, 넥타이, 드레스, 블라우스, 스카프 등

옷감 : 공단, 양단, 갑사, 생고사 등

→ 동물성 섬유인 모와 견의 특징을 설명한다.

② 인조 섬유

재생 섬유 :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

- 원료 : 식물성 펄프나 면 린터

합성 섬유 :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우레탄 등

- 원료 : 석탄이나 석유에서 나오는 물질

→ 인조 섬유를 분류하고 그 특징을 설명한다.

·레이온

특징 :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좋으며 흡습성이 크고 정전기가 생기지 않지만 강도가 약하고 구김이 잘 생기며 물에 젖으면 강도가 줄어든다.

용도 : 안감, 속옷 등

→ 재생 섬유의 제작 방법과 그 특징을 설명한다.

·나일론

특징 : 질기고 탄력성이 좋으며 마찰에 강하나 흡습성이 적고 물에 잘 젖지 않으며 가볍다. 흰 나일론을 알칼리 세제로 세탁하거나 햇빛에 말리면 누렇게 변한다.

용도 : 스타킹, 우산, 수영복, 스키복 등

·폴리에스테르

특징 : 질기고 구김이 잘 생기지 않으며 열 가소성이 좋고 알칼리와 햇볕에 강하지만 촉감이 차고 흡습성이 낮다.

용도 : 천연 섬유와의 혼방 등

·아크릴

특징 : 가볍고 부드러우며 보온성과 탄력성이 좋고 햇빛과 약품에 강하다.

용도 : 양모 대용, 커튼, 카펫 등

·폴리우레탄

특징 : 신축성이 좋아 고무 대용으로 쓰이며 염색이 가능하다.

용도 : 여성용 속옷, 수영복 등

→ 합성 섬유의 제작 방법과 그 특징을 설명한다.

→ 여러 가지 합성 섬유의 특징과 용도를 비교한다.

(2) 실

① 꼬임이 강한 실로 짠 옷감 : 표면이 까슬까슬하고 시원함-여름철 옷감

② 꼬임이 적은 실로 짠 옷감 : 부드럽고 폭신함-겨울철 옷감

→ 섬유의 특징, 겹치는 가닥 수, 꼬임에 따라 실의 특성이 결정됨을 이해하게 한다.

(3) 옷감의 종류

① 직물 : 날실과 씨실을 직각으로 교차시켜 짠 옷감. 날실과 씨실이 교차하는 방법을 직물의 조직이라고 함

·평직 : 날실과 씨실이 한 올씩 교차하여 짜여진 옷감으로 조직점이 많아 튼튼하며 빳빳하고 구김이 잘 생긴다.

- 옷감 : 광목, 옥스퍼드, 모시, 모슬린 등

·능직 : 날실과 씨실이 2올 이상씩 건너서 교차하여 짜여진 옷감으로 교차점이 사선을 나타내며 매끄럽고 광택이 좋으며 구김이 덜 생긴다.

- 옷감 : 개버딘, 데님, 서지 등

→ 직물은 날실과 씨실의 교차 방법에 따라 평직, 능직 등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② 편성물(메리야스직) : 한 올의 실로 코를 연속적으로 만들어 짠 옷감

·장점 : 조직점이 없어 부드럽고 신축이 크며, 구김이 생기지 않아 세탁 후 다림질이 필요 없음

·단점 : 올이 치이거나 풀리기 쉽고, 마찰에 약함

·용도 : 내의, 스웨터, 양말, 운동복 등

→ 편성물은 부드럽고 신축성이 크며, 가볍고 보온성이 크며 다림질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 의복의 정리

① 정리 : 단추나 지퍼는 채워서 정리

·옷걸이 : 겉옷이나 구김이 잘 생기는 옷. 칼라 어깨가 구겨지지 않게 주의

·서랍 : 눌리기 쉬운 옷은 위에 두도록 함

→ 옷을 벗을 때는 함부로 벗지 않도록 지도한다.

→ 세탁할 옷은 세탁감통에 스스로 넣도록 한다.

→ 한번 입었던 옷은 옷걸이에 걸거나 잘 개켜서 보관하게 한다.

② 보관

·충해 방지 : 특히 동물성 섬유가 심하며, 보관 전 의복을 충분히 건조시키고 흡습·제습제와 방충제(장뇌, 나프탈렌 등)를 함께 보관

·곰팡이 방지 : 땀, 먼지, 풀기, 비눗기 등의 오염을 완전히 제거하고 충분히 건조시킨 후 밀폐 용기에 흡습·제습제와 함께 낮은 온도에서 보관

·거풍 : 장마철이 지난 후, 건조하고 맑게 개인 날 오전 10시에서 오후 2∼3시 사이에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의복을 널어 바람을 쏘이게 하는 것

→ 철지난 옷을 보관할 경우 방충제나 방습제와 함께 보관하도록 한다.

→ 수납의 원리를 이해시켜 잘 입는 옷과 그렇지 않는 것을 구분하여 정리하도록 한다.

⼗ 해보기

→ 문제점과 예상되는 결과, 개선점을 연계하여 설명한다.

→ 자신의 잘못된 경험을 토대로 의복을 함부로 다루는 일이 없도록 지도한다.

4. 반바지 만들기와 수선하기

⸡ 반바지 만들기

(1) 디자인과 옷감의 선택

만들기 쉽고 활동하기 편리한 디자인으로, 튼튼하고 관리가 편하며 값이 싼 옷감을 선택한다.

→ 무릎 아래서 또는 무릎 위선 길이가 되는 반바지를 만들기로 한다.

→ 튼튼하고 물세탁 가능하며 다림질이 필요 없는 옷감이어야 한다.

→ 가지고 있는 옷과 조화를 고려하여 색을 선택한다.

(2) 치수 재기

① 도구 : 줄자, 고무줄, 기록용 도구

② 치수 재는 방법

·재이는 사람 : 시선을 눈 높이로 하고 팔을 가지런히 내린 채 바른 자세로 선 다음 허리 둘레선에 고무줄을 맨다

·재는 사람 : 줄자의 '0'을 왼손으로 잡고 치수를 잰 다음 눈금을 읽는다. 줄자가 수평이나 수직이 되도록 하고 너무 팽팽하거나 느슨해지지 않도록 한다

·보조자 : 재는 방법이 잘 되고 있는 지 옆에서 살펴보면서 치수를 기록한다.

③ 치수 재기

·허리 둘레 (W): 허리의 가장 가는 부위를 수평으로 돌려 잰다

·엉덩이 둘레 (H): 엉덩이의 가장 굵은 곳을 수평으로 돌려 잰다.

·바지 길이 : 허리선에서 원하는 바지 길이를 옆에서 잰다.

·밑위 길이 : 의자에 바르게 앉아 허리선에서 의자 바닥까지 옆에서 잰다.

→ 옷 만들기에서 치수재기가 중요함을 강조한다.

(3) 옷본의 선택

→ 자신의 허리 둘레 치수와 유사한 사이즈 패턴을 선택하여 반바지를 만들도록 한다.

⼗ 해보기

→ 옷본의 앞 뒤 중심선이 곡선인 이유와 뒤 중심선이 더 긴 이유를 생각해 본다.

(4) 필요한 옷감과 도구 준비하기

① 필요한 옷감(140㎝ 폭인 경우) : 바지 길이+시접(20㎝ 정도)

→ 옷감의 날실 방향(식서 ↔)과 안팎을 구별한다.

② 그 밖의 도구 : 고무줄 70㎝ 정도, 재봉틀 바느질 실(60수 정도, 면사 또는 면/폴리에스테르 혼방사), 시침핀과 핀꽂이, 재단 가위, 송곳, 초크, 다리미와 다리미대, 분무기, 방안자 등

→ 도구의 명칭과 용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5) 마름질하기

① 옷본 배치 : 옷감 반으로 접기→옷감에 기준선 긋기(바지 옆선에서 밑까지의 치수 + 3㎝ 정도의 여분을 더한 치수만큼의 위치)→핀으로 옷본 끼우기 (기준선에 바지 옆선을 맞추어 움직이지 않도록 핀으로 고정)→초크로 옷본 따라 그리기(방안자를 이용하여 시접 분량 표시)→주머니 그리기

② 시접 분량 : 허리선·부리단·주머니 입단 - 3㎝

앞 중심선, 뒤 중심선, 배래 등 - 1㎝

→ 마름질 도구를 바르게 사용하면서 옷본을 배치하고 초크로 완성선과 시접선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③ 자르고 표시하기 : 시접선 따라 자르기→허리선과 부리 자르기(단 분량을 접어 놓고 자른 후 뒤쪽에도 표시)→주머니 표시하기(송곳으로 위치 표시 후 초크로 십자 표시)→마름질 완성하기

→ 재단용 가위를 바르게 사용하여 옷감을 자르도록 한다.

→ 주머니를 표시하기 위해 송곳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설명한다.

(6) 바느질

→ 재봉틀을 다룰 때 항상 조심해서 사용하도록 지도한다.

① 시접 처리 : 시접은 지그재그 재봉틀이나 오버록 재봉틀로 올풀림 방지한다.

→ 미리 옷감을 오버록 재봉틀로 올풀림 방지를 해오게 하거나, 재봉틀 중 지그재그 바느질이 되는 것이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게 한다.

② 주머니 만들어 달기 : 주머니 입단 접어 다림질하기→주머니 둘레 시접 접어 다림질하기→입단 박기→바지의 주머니 위치에 핀으로 고정 후 박기

→ 주머니를 만들어 반바지 뒤에 달도록 한다.

③ 앞 뒤 중심선 박기 : 옷감 두 겹 잘 맞춰 앞 중심선과 뒤 중심선 두 번씩 박기

→ 반바지를 입는 경우 가장 잘 뜯어지는 부분이므로 두 번씩 박도록 한다.

④ 가랑이 안솔기 박기 : 양쪽 가랑이 안 솔기 이어 박기

→ 앞 뒤 중심선의 시접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하여 가랑이 안솔기를 박는다.

⑤ 부리 단하기 : 부리 시접 1㎝ 접어 다리고 다시 2㎝ 접어 다린 후 박기

→ 안솔기의 시접은 각각 바지의 뒤를 향하게 하여 바지 가랑이 안쪽부터 단을 박는다.

⑥ 허리 단하기 : 부리단과 같이 시접 접은 후 앞쪽에 2㎝ 정도 남기고 박기(시작과 끝은 돌려 박기)→단 위쪽에 0.2㎝ 위치에 장식 박기

→ 앞 뒤 중심선의 시접 방향에 주의하여 허리 단을 완성하도록 한다.

→ 고무줄 끼울 위치에 주의하여 바느질하도록 한다.

⑦ 고무줄 끼우기 : 안전핀으로 고무줄 끼우고 양쪽 끝 1㎝정도 겹쳐 박기

⑧ 마무리하기 : 실밥 정리 및 고무줄 고르게 배치하기

→ 고무줄을 끼우고 난 후 끊어지지 않도록 두 번 이상 겹쳐 꿰매도록 한다.

(7) 평가하기

① 완성된 바지 입고 거울 앞에서 전체적인 모양 평가

② 각 부분 계획과 비교하여 평가

③ 걷기, 의자에 앉기 등 움직임을 통하여 편안한지 평가

→ 계획했던 반바지가 완성되었는지 직접 입어봐서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 전체적인 모습이나 행동에 편안한지 살핀다.

⼗ 해보기

→ 입지 않는 옷의 옷감으로 새로운 것을 계획하여 본다.

⸢ 바지 수선하기

(1) 길이가 짧아진 바지 덧단 붙이기

① 바지 단 뜯기 : 바지 단과 안 솔기를 약 10㎝ 정도 뜯고 다림질 해놓기

② 덧단 마름질하기 : 2장

가로 : (바지부리 너비×2)+시접 3㎝

세로 : (덧단 너비×2)+시접+(내는 길이×2)

③ 덧단 시접 접어 다리기

→ 날실 방향에 주의하여 마름질 할 수 있도록 한다.

→ 덧단 감의 안팎을 주의하여 마름질한다.

④ 바지 단에 덧단 붙이기 : 바지 겉쪽에 덧단의 겉을 마주 겹쳐 놓고 바지 단 박기

→ 덧단 감의 안팎에 주의하여 바지 단에 붙이도록 한다.

⑤ 바지와 덧단의 안 솔기 이어 박기 : 바지를 뒤집어서 뜯어 놓은 안 솔기부터 덧단 끝까지 박기

→ 바지 통의 크기가 줄지 않도록 주의한다.

⑥ 덧단 너비 반으로 접기 : 덧단 너비의 반을 접어 시접을 안으로 접고 단 박은 선에 시침하기

→ 시침핀은 완성선에 수직 방향이 되도록 꽂는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ebs에 가시면 자세히 나와있음

저고리 접는 법 부터요

중2로 들어가세요..

단시간 안에 하기면 할수있면

중2 기술가정 요점정리 및 문제집

중2 기술가정 요점정리 및 문제집을 원합니다 내일이 시험 기술 요점 정리^.^ (1)목재 ①목재의 특성 - 장점 : 가볍고 강하며 가공하기가 쉽다.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주며...

중2 기술가정 요점정리좀..ㅠㅠ

기술가정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기술가정 시간은 너무 지루해서 못들었네요. 지식님들 제발 요점정리좀요 아, 1학기 중간고사가 이제 별루 안남았으니까. 그냥 간단하게...

중2 기술가정 요점정리 (두산)

인터넷에서 찾아봤는데 기술가정 요점정리가 없더라구요 -_-; 교과서는 두산꺼구요 이왕이면 교과서와 아주 밀접한 (-_-?)이라고 해야되나..; 여하튼 두산 교과서껄로 요점정리좀...

중2 기술 가정 요점정리~

중 2, 2학기 기술 가정 요점정리 좀 해주세요ㅠ^ㅜ 크아악;;;;;; 월요일이 시험인데 최대한... 도움이 되셨기를 (출처 : '중2 기술가정 기계부분 요약좀요(내공20)' - 네이버 지식iN)

중2 기술가정 요점정리

중2 기술가정 천재교육 교과서에 60쪽 부터 103쪽 까지 요점정리해주세요. http://gongbuhaza.tistory.com/attachment/cfile26.uf@136E074F4DF1A1B8124692....

중2 기술가정 요점정리.

... 저희 학교 기술가정이 형설꺼거든요. 시험범위는 2단원이구요 요점정리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의복과 생활 ⸡ 우리의 생활과 옷차림(1) (1) 신체를 보호하고 활동을...

내공50!중2기술가정 요점정리 부탁

... 다운받아서 쓰세요 회원가입 하시고 중등자료 들어가셔서 2학년 그리고 기술.가정 에 들어가서 찾아보시면 있음. 아.. 요점정리가 아니라 핵심정리

중2 기술가정 지학사 요점 정리좀 225...

중2 기술가정 지학사 요점 정리 좀 해주세요 ㅠ.ㅠ 225쪽~234(종합 문제) 내공도 있어요 ㅋㅋㅋㅋ 중2 지학사 가정 핵심정리 2학기 Ⅴ-1 자원의 활용과 환경 1. 자원의 개념과 종류...

중2기술가정 두산 요점정리...

중2기술가정 요점정리부탁드립니다... 출판사는 두산입니다.. 시험이 2일밖에 안남아서 벼락치기를 해야할듯싶네요..... 예상문제나 요점정리 부탁드립니다...내공은 당연히...

중2 1학기 기술 가정 요점정리

중2 1학기 기술가정 요점정리 부탁헤여!! 기술 가정 출판사는 교학사꺼구여~~ 가정:처음~남자 한복 까지 시험범위 기술:처음~재료의 특성(금속)까지 시험범위 요점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