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식주의

형식주의

다른 표기 언어 Formalism , 形式主義

요약 20세기 러시아 문학평론의 한 유파.
(러). Russky Formalism. Russian Formalism이라고도 함.

이 유파는 1916년 빅토르 슈클로프스키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결성한 오포야스('시어연구회'를 뜻하는 러시아어의 앞글자들을 딴 말)와 1915년에 결성된 모스크바 언어학회에서 시작되었다. 두 그룹은 모두 스위스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언어학적 기법을 이용했다. 형식주의자들은 언어의 문학적 사용과 비문학적 사용 사이의 단절 및 원문의 자율성에 관한 상징주의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이론을 세웠지만 상징주의적 비평보다 좀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비평을 추구했다. 러시아 미래파와 밀접히 연관되며 사회학적 비평에 반대하는 형식주의자들은 문학(특히 시)이 평범한 언어를 예술적으로 변모시키거나 '낯설게' 만드는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예술 표현의 수단'에 중점을 두었다. 이들은 내용보다 형식과 기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형식주의는 마르크스주의 비평가들로부터는 항상 미움을 받았는데 1929년 정치적 통찰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비난당하기 전까지는 소련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그후 러시아 형식주의는 주로 구조주의 언어학자인 로만 야콥슨의 저서를 통해 서방 세계에서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특히 영국과 미국의 신비평에 많은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신비평도 때로는 형식주의라고 한다.

빅토르 쉬클로프스키(Viktor Shklovsky)
빅토르 쉬클로프스키(Viktor Shklovsky)

빅터 얼리치의 〈러시아 형식주의 Russian Formalism〉(1955)는 형식주의의 역사와 원리를 다룬 입문서이고, 〈문학의 이론 Théorie de la littérature〉(1965)은 츠베탕 토도로프가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의 중요한 논문들을 프랑스어로 번역한 책이다. 영어로 된 평론집으로는 L. T. 레먼과 M. J. 라이스가 편집한 〈러시아 형식주의 비평 Russian Formalist Criticism〉(1965), L.마테이카와 K.포모르스카가 엮은 〈러시아 시학 독본 Readings in Russian Poetics〉(1971)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