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무주의

허무주의

다른 표기 언어 nihilism , 虛無主義

요약 이 용어를 만든 사람은 독일의 철학자 F. H. 야코비인데, 19세기말에서 20세기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중세에는 특정 이교도들을 가리키기도 했다. 허무주의는 모든 형태의 탐미주의를 부정하는 철학이었다. 공리주의와 과학적 합리주의를 옹호한 반면, 사회과학과 고전적 철학체계는 완전히 거부했다. 허무주의는 실증주의와 유물론의 초기 형태이자 기존 사회질서에 대한 반역이었으며, 국가·교회·가족 등이 행사하는 모든 권위를 부정했다. 허무주의자들은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찰스 다윈·허버트 스펜서 등의 사상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그들은 인간이 육체와 영혼, 정신적 실체와 물질적 실체의 결합이라는 이원론을 부정했으므로 교권과의 싸움에 돌입했다. 또한 신권에 관한 교설에 의문을 제기해 온갖 세속의 권위들과 충돌하게 되었다.

허무주의자(The Nihilist)
허무주의자(The Nihilist)

이 용어를 만든 사람은 독일의 철학자 F. H. 야코비인데, 19세기말에서 20세기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중세에는 특정 이교도들을 가리키기도 했다.

러시아 문학에서는 N. I. 나데주딘이 〈유럽의 사절 Messenger of Europe〉에 쓴 글에서 푸슈킨을 언급하면서 처음으로 사용한 듯하다. 이때 나데즈딘은 허무주의를 회의주의와 같은 뜻으로 사용했는데, 그후 1858년 V. 베르비도 동일한 뜻으로 사용했다. 허무주의를 혁명과 같은 뜻으로 해석하는 데 크게 기여한 저명한 보수파 언론인 M. N. 카트코프는 모든 도덕원리를 부정함으로써 사회에 위협이 되는 것을 허무주의로 보았다.

투르게네프는 소설 〈아버지와 아들 Fathers and Sons〉(1862)에서 허무주의자 바자로프를 통해 이 용어를 대중화했다.

그결과 1860, 1870년대의 허무주의자는 헝클어진 머리와 지저분한 용모, 무례한 행동과 누더기 차림으로 전통과 사회질서에 반항하는 자로 여겨졌다. 그리하여 허무주의 철학은 알렉산드르 2세의 살해와 당시 절대주의에 대항한 비밀조직의 정치적 테러와 관련된 것으로 오해받기 시작했다. 허무주의자는 보수주의자들의 눈에는 시대의 저주였지만, N. G. 체르니셰프스키와 같은 자유주의자들에게는 민족 사상 발전의 과도기적 요소, 즉 개인의 자유를 위한 투쟁의 한 단계이자 반항적인 젊은 세대의 진정한 정신적 대변자였다. 체르니셰프스키는 〈무엇을 할 것인가? What Is to Be Done?〉(1863)에서 허무주의 철학의 적극적인 면을 찾아내려고 애썼다.

러시아 무정부주의 지도자 표트르 크로포트킨 공(公)도 〈회고록 Memoirs〉에서 허무주의를 모든 형태의 폭압·위선·가식 등에 반대하고 개인의 자유를 옹호하는 투쟁의 상징으로 규정했다. 근본적으로 허무주의는 모든 형태의 탐미주의를 부정하는 철학이었으며 공리주의와 과학적 합리주의를 옹호한 반면 사회과학과 고전적 철학체계는 완전히 거부했다.

허무주의는 실증주의와 유물론의 초기 형태이자 기존 사회질서에 대한 반역이었으며, 국가·교회·가족 등이 행사하는 모든 권위를 부정했다. 허무주의의 신념은 오직 과학적 진리만을 토대로 했으며, 따라서 과학이 사회문제의 만병통치약이 되었다. 허무주의자는 모든 악이 무지라는 유일한 근원에서 생겨나며, 과학만이 그 무지를 극복할 수 있다고 믿었다.

허무주의자들은 루트비히 포이어바흐, 찰스 다윈, 헨리 버클, 허버트 스펜서 등의 사상에서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

그들은 인간이 육체와 영혼, 정신적 실체와 물질적 실체의 결합이라는 이원론을 부정했기 때문에, 교권과의 격렬한 싸움에 돌입했다. 또한 신권(神權)에 관한 교설에 의문을 제기했기 때문에 세속의 온갖 권위들과도 충돌하게 되었다. 모든 사회적 속박과 가족의 권위를 거부한 그들에게는 아버지와 아들의 싸움도 피할 수 없는 것이 되었는데, 이러한 주제를 훌륭하게 묘사한 것이 바로 투르게네프의 소설 〈아버지와 아들〉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 바자로프와 20세기초 레오니드 안드레예프가 쓴 희곡의 주인공 사바를 비교해 보면 허무주의 철학이 과학에 대한 신앙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테러와 파괴를 정당화하는 방편으로 타락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