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트리

피트리

다른 표기 언어 Sir (William Matthew) Flinders Petrie
요약 테이블
출생 1853. 6. 3, 런던 그리니치 찰턴
사망 1942. 7. 28, 예루살렘
국적 영국

요약 영국의 고고학자, 이집트 학자.

피트리(Sir (William Matthew) Flinders Petrie)
피트리(Sir (William Matthew) Flinders Petrie)

유적 발굴의 기법과 방법에 귀중한 공헌을 했고, 고대 문화의 유물에서 역사를 복원할 수 있게 해준 순서연대 결정법을 고안했다(연대측정). 1923년 기사작위를 받았다.

영국의 항해가이며 선구적 수로학자이자 오스트레일리아와 태즈메이니아의 탐험가인 외할아버지 매슈 플린더스의 이름을 물려받았다. 어린시절에는 병약했기 때문에 개인교육을 받았고 일찍부터 고고학과 민족학, 특히 고대의 계량법 분야와 이집트학에 관심을 가졌다.

24세 때 고고학 연구에서 새로운 접근법을 의미하는 저작 〈귀납적 도량형학, 또는 기념물을 통한 고대 계량법의 복원 Inductive Metrology, or the Recovery of Ancient Measures from the Monuments〉을 썼다.

스톤헨지를 비롯해 영국 각지에서 실시한 야외조사 덕분에 수학적 계산으로 기념물 건축에 사용된 계량단위를 알 수 있게 되었다. 그의 저서 〈스톤헨지 : 설계·설명·이론 Stonehenge : Plans, Description, and Theories〉은 1880년에 나왔다. 그해에 기자의 대(大)피라미드 측량과 발굴을 시작함으로써 이후 40년에 걸친 중동지방 탐사의 문을 열었다. 1884년 타니나이 신전의 발굴에서 람세스 2세의 거대한 조각 파편을 발굴했다.

1885, 1886년 나일 삼각주의 나우크라티스다프나이에서 칠무늬토기[彩色土器] 발견을 통해 그는 발굴에서 드러난 여러 층위 속의 토기파편을 비교함으로써 역사를 재구성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도자기).

피트리는 먼저 자신의 순서연대 결정법의 원칙을 팔레스타인, 즉 예루살렘 남쪽의 텔 하시에 적용했다.

1890년 이 지칠 줄 모르는 발굴자는 6주 만에 인간집단이 살았던 문화층을 발견해 이들의 거주시기를 잠정적으로 계산했다. 이 구릉 유적에서 실시한 작업은 고고학사상 2번째 층위학적 연구로 기록되는데, 최초의 작업은 하인리히 슐리만이 트로이에서 실시한 것이다. 피트리와 슐리만의 발굴은 서로 연관되지 않은 유물을 아무렇게나 수습하던 종래의 발굴방식에서 벗어나, 한 유적의 연속된 층들을 검토하기 시작한 점에 특징이 있다.

피트리의 동시대인 대부분은 칠무늬토기이든 민무늬토기[無文土器]이든 토기파편으로 편년을 세울 수 있다는 그의 가설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나 고고학이 과학으로 정교하게 발달하면서 오늘날과 같이 부서진 토기의 검토와 분류는 일상적인 작업이 되었다.

피트리는 이집트의 알파이윰 지역에서 또다른 중요한 발견을 했다. 구로브에서 그는 미케네를 비롯한 고대 그리스 문명의 연대를 증명해주는 수많은 파피루스와 에게 문명의 토기파편을 발견했다. 하와라의 피라미드에서는 파라오 아메넴헤트 3세의 무덤을 조사해 도굴꾼들이 어떻게 무덤의 입구를 발견하고 그들이 턴 두 석관을 둘러싼 미로를 어떻게 헤쳐나갈 수 있었는지를 조사했다.

그는 도굴꾼들이 어느 제보자에 의해 전체구조에 대한 정보를 넘겨받았다고 결론지었다. 알파이윰에서는 제12왕조의 찬란한 보석을 발견했다(이 보석은 1919년 이래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음). 그는 BC 1213~1204년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였던 메르네프타의 석조기념물에서 이집트가 이스라엘에 대해 언급한 것 중 가장 오래되었다고 알려진 것을 발견하고 매우 기뻐했다.

1892년 피트리는 런던대학 유니버시티 칼리지 에드워즈좌(座) 이집트학 교수가 되어 1933년 명예교수가 될 때까지 재직했다. 1894년에는 이집트 연구기금을 설립했는데 이 기구는 1905년 영국 고고학 학교가 되었다.

피트리는 죽음의 신 오시리스를 숭배하던 성스러운 도시 아비도스의 무덤군을 탐사하는 과정에서 피라미드 건설자에 대한 지식을 새롭게 했다. 텔 엘아마르나에서는 BC 1379~1362년에 이집트를 통치한 아크나톤(아멘호테프 4세)의 도시를 발굴하여 지금은 유명해진 채색된 포장도로와 그밖의 아마르나기(BC 14세기)의 예술작품들을 발견했다.

테베 동북쪽에 있는 나카다에서 그가 찾은 3,000기의 무덤은 원시단계 고대 이집트인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1904년 피트리는 〈고고학의 방법과 목적 Methods and Aims in Archaeology〉을 출간했는데, 이 책에서 그는 자신의 직업 목적과 방법론뿐만 아니라 고고학의 보다 실질적 측면인 야외에서의 카메라 사용법을 비롯한 발굴의 세부사항에 대해서도 명쾌한 정의를 내렸다.

비범한 통찰력으로 그는 연구결과가 고고학자의 개성에 달려 있음에 주목해 고고학자는 광범위한 지식에 덧붙여 지칠 줄 모르는 호기심을 가져야 한다고 보았다. 그가 이런 특징을 풍부하게 지녔음은 물론이다.

시나이 반도에서 그가 발견한 명문(銘文)들은 이집트 상형문자와 셈 알파벳 사이에 위치하는 BC 1500년 이전의 필기를 통한 의사소통의 중간단계를 대표하는 것이었다. 그는 〈알파벳의 형성 The Formation of the Alphabet〉(1912)을 썼으나, 언어는 그의 영역이 아니었기 때문에 명문을 자유롭게 해석하고 상형문자의 형태를 연구해 이 문자의 연대를 설정하는 과정에서는 육감에 의존했다.

미국연구학교의 후원으로 1927년부터 85세가 되던 1938년까지 팔레스타인에서 발굴을 실시했고, 이 기간에 텔하시에서 10개의 도시유적을 발견했다. 그의 고고학적 방법론은 이후 팔레스타인에서 이루어진 모든 발굴의 지침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