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테스탄트 윤리

프로테스탄트 윤리

다른 표기 언어 Protestant ethic

요약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유럽의 자본주의 초기 단계에서 프로테스탄트 집단이 경제적으로 성공한 중요한 요인이 바로 이 프로테스탄트 윤리라고 주장했다.
그 이유는 프로테스탄트들이 세속적인 성공을 하느님에 의해 선택받았다는 표시로 생각하여 이를 열심히 추구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베버는 또한 칼뱅주의가 물질 숭배를 혐오한 점, 규율이 있고 개개인이 마음대로 쓸 수 있도록 하느님이 내리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종교적인 의무임을 강조한 점, 규율이 있고 체계화된 생활방식을 강조한 점 등이 프로테스탄트 윤리에 있어 경제적으로 중요한 측면이라고 보았다. 베버의 논제는 많은 저술가들에게 비판을 받았다.

특히 칼뱅주의에서는 이를 한 개인이 하느님에 의해 선택받았다는, 즉 영구히 구원받았다는 표시로 간주했다.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1904~05)에서 유럽의 자본주의 초기 단계에서 프로테스탄트 집단이 경제적으로 성공한 중요한 요인이 바로 이 프로테스탄트 윤리라고 주장했다. 그 이유는 프로테스탄트들이 세속적인 성공을 하느님에 의해 선택받았다는 표시로 생각하여 이를 열심히 추구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베버는 또한 칼뱅주의가 물질 숭배를 혐오한 점, 규율이 있고 개개인이 마음대로 쓸 수 있도록 하느님이 내리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종교적인 의무임을 강조한 점, 규율이 있고 체계화된 생활방식을 강조한 점 등이 프로테스탄트 윤리에 있어 경제적으로 중요한 측면이라고 보았다.

베버의 논제는 많은 저술가들에게 비판을 받았는데, 특히 영국의 역사학자 리처드 헨리 토니는 그의 〈종교와 자본주의의 발전 Religion and the Rise of Capitalism〉(1926)에서 베버의 논문에 반박했다(→ 토니). 그는 자본주의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요인이 칼뱅주의 신학이라기보다는 정치적·사회적 압력과 자립 및 검소의 윤리를 지닌 개인주의 정신에 있다고 주장했다.→ 베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