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

포르투갈

다른 표기 언어 Portugal 동의어 포르투갈 공화국, The Republic Portugal
요약 테이블
위치 유럽서남부 이베리아반도 서부
인구 10,234,764명 (2024년 추계)
수도 리스본
면적 92,212㎢ 세계면적순위
공식명칭 포르투갈 공화국 (The Republic Portugal)
기후 대륙성기후 , 해양성기후
민족 구성 이베리아족, 로마족, 켈트족
언어 포르투갈어
정부/의회형태 공화제 / 단원제
종교 로마가톨릭(94%), 개신교
화폐 유로 (€) 환율계산기
국화 라벤둘라 (라벤더)
대륙 유럽
국가번호 351
GDP USD 248,891,000,000
인구밀도 111명/㎢
전압 220V / 50Hz
도메인 .pt

요약 유럽의 국가. 수도는 리스본이다. 행정상으로 대서양의 아조레스 제도와 마데이라 제도도 포르투갈의 일부이다. 동쪽과 북쪽으로 스페인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서쪽과 남쪽으로는 대서양에 접해 있다. 겨울은 온난 습윤하고, 여름은 비교적 기후 변화가 없으면서 건조하다. 포르투갈인들은 유럽에서 가장 동질적인 민족에 속하며 지중해 주변 민족들과 신체적 특징이 유사하다. 국민의 대부분이 로마 가톨릭교도이고, 주요언어는 포르투갈어이다.

목차

접기
  1. 자연환경
  2. 국민
  3. 경제
  4. 정치와 사회
  5. 문화예술
  6. 역사
  7. 포르투갈과 한국과의 관계
    1. 외교
    2. 경제·통상·주요 협정
    3. 문화교류·교민 현황

수도는 리스본이다. 행정상으로 대서양의 아조레스 제도와 마데이라 제도도 포르투갈의 일부이다. 동쪽과 북쪽으로 스페인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서쪽과 남쪽으로는 대서양에 접해 있다.

포르투갈 국기
포르투갈 국기
지도
포르투갈

자연환경

이베리아 반도에 있는 포르투갈은 테주(타호) 강에 의해 대략 양분된다. 테주 강은 스페인과의 동쪽 국경선 중간 지점에서 포르투갈로 흘러들어 남서쪽으로 포르투갈의 몇 안 되는 천연항 가운데 하나인 리스본에 이른다. 테주 강의 북쪽에는 국토의 12%가 채 안 되는 해발 700m 미만의 고지대가 북동쪽으로 스페인까지 펼쳐져 있다.

포르투갈의 최고봉은 해발 1,991m로 에스트렐라 산맥에 있다. 이 산맥의 북쪽에는 스페인의 메세타 고원의 서쪽 연장지대가 대서양의 해안선을 따라 남쪽으로 뻗어 있는 연안지대와 어울려 있다. 테주 강의 남쪽에는 해안저지대가 기복이 완만한 내륙지대와 어우러져 주로 저지의 농촌지대를 이루고 있다. 남부의 저지대의 평균 해발은 150m에 불과하며 3%에 해당하는 지역만이 400m를 넘는다.

포르투갈에서 유일하게 지진활동이 진행되고 있는 지역은 대부분 바닷속에 잠겨 있는 지브롤터-아조레스 산맥을 따라 근해에 분포해 있다. 유럽 최악의 지진 가운데 하나가 1755년 이 산맥을 따라 일어났으며, 그 결과 발생한 해일이 리스본을 덮쳐 최소한 6만 명이 목숨을 잃었다.

겨울은 온난 습윤하고, 여름은 비교적 기후 변화가 없으면서 건조하다. 리스본에서 1일평균기온은 1월에 11℃, 7월 22℃이고, 연강우량은 700㎜이다. 포르투갈 전체면적의 1/3이 경작지이며, 그 가운데 1/3 이상이 밀·옥수수 같은 곡물재배지로 이용되고 있다. 매우 건조한 6∼8월의 여름에는 연평균강우량의 4%에 못 미치는 비가 내릴 뿐이어서 총농경지의 20%가량이 관개를 해야 한다. 영구목초지가 전국토의 6%에 불과하지만 양·돼지·젖소의 사육을 장려하고 있다.

국토의 40%가 삼림으로 뒤덮여 있으며, 대부분 북부 고지대에 있다. 북부에는 참나무·너도밤나무·밤나무·소나무 숲이 분포하며, 중부에는 코르크와 털가시나무 숲이, 남부에는 스텝과 유사한 관목지대나 초원이 분포한다. 경작용 올리브림과 야생 올리브 숲이 전국 곳곳에 무성하다. 야생동물은 진귀한 편이지만 야생염소·산돼지·사슴·늑대 등이 외딴 산악지대에 서식하고 있다.

포르투갈은 천연자원이 부족한 편이나 주요광물자원인 텅스텐이 세계총생산량의 4%에 달한다. 몬코르부 철광석 광상에서는 지금도 채광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석유와 천연 가스 매장량이 부족하며, 에너지 자원은 그리 풍부하지 않은 무연탄과 우라늄에 의존하고 있다.

포르투갈 마데이라
포르투갈 마데이라

국민

이베리아 반도의 포르투갈인들은 유럽에서 가장 동질적인 민족에 속하며 지중해 주변 민족들과 신체적 특징이 유사하다. 지리적으로 유럽의 서쪽 끝에 있는 탓에 육지를 정복하려는 자들의 집결지가 되어왔고, 해상 여행자들이 긴 해안선을 따라 정착촌을 세우기도 했다. 최근에는 우크라이나 사람들이 대다수 이주하면서 최대 이민자 그룹을 이루고 있다.

로마인·수에비족·서고트족·무어인·유대인이 모두 포르투갈의 영토에 영향력을 끼쳤다. 대부분의 포르투갈인들은 유럽인들의 평균키보다 약간 작고 갈색눈에 검은색의 곱슬머리, 파르스름하거나 갈색 피부를 가지고 있다.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고 있으며, 대부분 로마 가톨릭교도이다. 주요언어인 포르투갈어는 로망스 제어이다. 아조레스 제도와 마데이라 제도의 주민들도 포르투갈계이다.

포르투갈은 대부분의 지역(70%)이 여전히 농촌으로 남아 있다. 인구밀도가 높은 북부와 인구밀도가 낮은 남부 사이에 인구와 촌락 형태가 뚜렷한 대조를 보이고 있다. 농촌지역에서 이농현상이 심각한데 특히 북부 일부 지역과 중동부지역, 남부의 해안지역에서 두드러진다. 브라가와 세투발 사이에 있는 해안지대에 저지의 평원과 도시개발 등의 요인이 작용하여 많은 인구가 몰리고 있다. 중앙평원인 미뉴, 해안지역인 알가르베 같은 곳은 인구과밀현상이 심각하다.

포르투갈의 인구는 2024년 기준 1,023만 4,764명이고, 인구밀도는 111명/㎢이다. 15세 이하 인구가 전체의 14%를 차지하고 있으며, 도시거주자는 전체 인구의 67%에 해당한다. 1985년 까지는 인구가 느리게 증가하다가 1995년 까지 다시 줄어들었고 2000년부터 다시 증가했다가 2015년 이후로 다시 줄어들고 있는 추세로 인구변동이 불안정하다.

공식 언어는 포르투갈어이고, 영어와 프랑스어, 스페인어가 함께 사용된다. 종교는 전체 인구의 80% 이상이 로마 가톨릭을 믿고, 그 외에 개신교와 유태교, 그리고 이슬람교 등도 분포한다.

경제

포르투갈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모두 참여하는 산업화된 경제구조를 갖추고 있다.

1974년의 쿠데타 이후 주요산업이 국유화되었고, 대대적인 토지개혁이 시작되었다. 1980년대말에 들어서면서 정부는 마침내 1975년 이후에 국유화된 대부분의 기업을 민영화했고, 수용된 토지의 옛 지주들에게 보상하는 새로운 정책을 시행했다. 국민총생산(GNP)은 인구성장률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1인당 GNP는 서유럽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농업이 GNP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10이 안 되며, 노동인구의 1/5이 종사하고 있다. 1975년 혼란을 야기시킨 토지개혁이 시행된 이후 농업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했으며, 1980년대에 들어서 많은 식량을 수입해야만 했다. 관개사업·비료생산·농기계제조에 대한 정부 투자는 빈약한 수준이며, 농업생산성도 유럽에서 가장 낮은 편이다.

주식인 밀과 옥수수의 생산도 국내 수요를 충당하지 못하고 있다. 농산물 수출품으로 포트 와인, 마데이라 포도주, 토마토 페이스트, 무화과, 코르크 등이 있다. 쇠고기·돼지고기·치즈·버터의 생산 역시 국내수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텅스텐은 수출용으로 유일하게 대량으로 채광되고 있는 광물자원이다. 건축자재가 내수용으로 채석되고 있다. 석탄도 소량 채굴되고 있으나 석유와 천연 가스는 수입에 의존해야만 한다.

제조부문은 GNP의 1/4 이상을 차하며, 노동인구의 1/5 이상이 종사하고 있다. 경공업이 우세하며 대부분의 공장에는 5명 이하의 종업원들이 고용되어 있다. 주로 직물·의류·신발·제지품·생선통조림·코르크·목제품·가전제품·화학제품 등을 제조한다. 중공업은 리스본 주변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건설업과 선박수리업이 전문화되어 있다.

전력의 절반가량은 수력발전에 의존하며, 나머지는 수입원료를 이용하는 화력발전에 의존한다. 1인당 전력소비량은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 비해 낮은 편이다.

해마다 1,6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포르투갈을 방문하고 있으며, 이는 주요 외화 소득원이다. 기계류·운송장비·원유·철강·강철제품·화학제품 등을 주로 수입하며, 의류 및 의류관련제품, 신발, 제지 및 제지관련제품, 선박·보트, 코르크, 목제품 등을 주로 수출한다. 서부 유럽 국가가 주요 교역대상국이며, 옛 식민지 지역과의 교역은 미미한 편이다.

정치와 사회

포르투갈은 의회제의 공화국이다. 1976년에 제정된 헌법(1982 개정)에 따르면 입법권은 단원제의 의회에 있고, 의회는 직접선거로 선출된 4년 임기의 의원 25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통령은 국가원수이며, 내각을 이끄는 총리는 행정부의 수반이다.

대통령은 직접선거에 의해 5년임기로 선출되고 대통령이 임명하는 총리는 의회에서 다수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 많은 정당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연립정부가 세력을 주도하고 있다. 사법제도는 대법원·상소법원·지방법원·특별법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회보장제도에 따라 노후연금·장애자연금·질병수당·출산수당·실업수당·가족수당 등이 지급되고 있다. 국가의료보험제도의 가입자들은 무료로 의사의 진료를 받을 수 있으며, 그외에도 전국 각지에서 균등하게 무상의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공중보건상태는 양호한 편이지만 서부 유럽의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다. 현대적 의료시설이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의료진도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대부분의 심각한 전염병이 근절되었거나 치료가 가능하다. 6∼14세의 초등교육은 무상의무교육이다.

국립 중등학교의 경우 어느 정도의 수업료를 납부해야 하지만 장학금의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다. 기술·직업 교육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대학교도 많다. 1290년 리스본에 설립된 쿠임브라대학교는 포르투갈에서 가장 오래된 고등교육기관이다. 대부분의 일간지가 민간인 소유이다. 언론의 자유가 헌법으로 보장되어 있으며, 공공연한 검열제도는 거의 사라졌다. 1975년 국유화되었던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국은 1980년대에 부분적으로 민영화되었다.

포르투갈 에보라 대학
포르투갈 에보라 대학

문화예술

포르투갈 포르투
포르투갈 포르투

사실주의 경향을 띤 현대소설로 주세 마리아 에사 데 케이로스와 주세 마리아 페레이라 데 카스트로의 작품이 등장했지만, 전통적인 서정시도 여전히 성행한다. 20세기에 들어서 회화와 조각도 실험주의적인 경향을 띠고 있다. 마리아 엘레나 비에이라 다 실바는 칭송받는 현대 추상화가이다. 전통 민속예술이 전수되어오고 있는데 민속음악과 민속무용, 그리고 포르투갈의 슬프면서 낭만적인 정서를 담고 있는 민요인 파두는 음악적 표현의 기본 형태로 남아 있다.

파두(Fado)는 19세기 초 리스본에서 기원한 포르투갈의 민속음악이다. 애절한 선율과 호소력 있는 가사로, 전통적인 형식과 구조가 있으나, 수많은 변주가 이루어지고 있다. 포르투갈의 식민지에서 들여온 선율과 포르투갈의 음악 전통이 만나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리스본에서 유래한 리스본 파두와 코임브라에서 유래한 코임브라 파두로 구분된다. 코임브라 파두가 좀더 클래식하다면, 리스본 파두는 대중적인 면이 강하다. 파두를 부르는 가수를 파디스타(fadista)라고 한다. 2011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도 했다.

역사

이베리아 반도에 사람이 거주한 것은 적어도 50만 년 전의 일이지만 포르투갈에서 발견된 독특한 최초의 문화는 약 BC 5500년의 것으로 추정된다. BC 1000년에 켈트족이 이베리아 반도에 정착하여 원주민과 빈번하게 혼인을 맺음으로써 켈트이베리아인이 생겨나게 되었다. 루시타니아인이라 불리는 포르투갈의 켈트족은 이같은 통혼을 전혀 하지 않았다. 그들의 격렬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BC 140년경 로마인들이 이들을 정복했다(→ 로마사). 5세기가 시작되면서 로마 제국은 기울기 시작했고 게르만 민족인 수에비인이 이베리아 반도의 많은 지역을 침략했다. 469년 로마는 이들을 진압하기 위해 서고트족을 보냈고, 수에비 군주국은 몰락하고 말았다. 서고트족은 약 100년 후에 어느 정도 자치권을 되찾았으나 711년의 이슬람교도의 침공으로 그리스도교도들은 포르투갈의 북부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을 빼앗기고 말았다. 이 지역은 포르투갈 주(州)로 불렸으며, 오늘날 포르투갈을 이루고 있는 지역을 재정복하기 위한 출발점이 되었다. 1179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포르투갈 주는 아폰수 엔리케의 통치하에 왕국을 이룩했다. 뒤를 이은 왕들도 재정복사업을 계속 추진하여 1270년 아폰수 3세 때 지금과 같은 포르투갈의 경계선이 확정되었다.

1385년 왕위가 아비스의 가문으로 넘어갔으며, 아비스 왕조의 군주정치하에 포르투갈은 유럽 최초의 중앙집권국가가 되었다. 아비스 왕조의 군주들은 탐험주의를 적극 권장하여 많은 포르투갈인들이 아프리카·인도·인도네시아·중국·중동·남아메리카 등지를 탐험했다. 1580년 아비스 가문이 멸족되자 왕위는 혼인을 통해 스페인에게 넘어갔다. 스페인의 통치자들은 포르투갈을 소홀히 했고, 1640년 그들을 폐위시킨 혁명으로 포르투갈 왕위는 포르투갈의 브라간사의 가문에 이양되었다. 19세기초 나폴레옹 전쟁으로 포르투갈 왕실은 1807년 브라질로 망명했다. 1815년 브라질은 왕국으로 승격되었고 포르투갈과 연합했다. 군주의 부재하에 1820년 포르투갈에서는 제헌의회가 소집되었다. 여기에서 문서가 작성되어 주앙 6세의 승인을 받았으며, 그는 1821년 브라질에서 돌아왔다. 입법주의자와 절대전제주의자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어 격렬한 내란이 일어났다. 내란은 1834년 끝이 났지만 정치적 불안은 계속되어 결국 1910년의 혁명으로 군주제가 전복되고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공화국 역시 불안한 정치상황 속에서 수난을 겪다가 1926년 군사 쿠데타로 정권이 교체되었다. 정권은 결국 안토니우 데 올리베이라 살라자르에게 넘어갔다. 사실상 독재자인 그는 재무장관(1928∼40) 겸 총리(1932∼68)를 역임하면서 포르투갈을 통치했다. 그의 식민정책은 아프리카에서 곤혹스러운 전쟁을 수행하도록 강요받은 군부 지도자들 사이에 원성을 불러일으켜 1974년 결국 이들이 주동이 된 쿠데타가 일어났다. 그결과 식민지들의 독립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 초기 중도·보수적 성향의 군부가 장악했던 정부는 잠시 군부의 급진파와 좌파 및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에게 주도권이 넘어갔다가 다시 중도파가 집권했다. 1976년 제헌의회는 사회주의로의 이양을 내용으로 하는 헌법을 승인했으며 총선에 따라 연립정부가 구성되었다. 1980년 선거에 승리함으로써 정권을 잡은 중도우파는 1976년의 헌법에서 좌파적 성향을 배제시켰으며, 1982년의 헌법개정으로 포르투갈의 민정이양이 완료되었다. 1983년 구성된 사회당과 사회민주당(Social Democratic Porty/PSD)의 연립정부가 1985년 붕괴된 이후 PSD 정부가 들어섰고, 1986년 마리우 수아레스는 60년만에 최초의 민간인 대통령이 되었으며 1991년 재선에 성공했다.

포르투갈의 왕정
포르투갈의 왕정
부르고뉴 왕가
엔리케 1095~1112
아폰수 1세 1139~85
산수 1세 1185~1211
아폰수 2세 1211~23
산수 2세 1223~1246경
아폰수 3세 1246~79
디니스 1279~1325
아폰수 4세 1325~57
페드루 1세 1357~67
페르난두 1세 1367~83
레오누르 텔레스(섭정) 1383~85
아비스 왕가
주앙 1세 1385~1433
두아르테 1433~38
아폰수 5세 1438~81
주앙 2세 1481~95
마누엘 1세 1495~1521
주앙 3세 1521~57
세바스티앙 1557~78
엔리케 1578~80
합스부르크 왕가(스페인과 통일됨)
펠리페 1세 1580~98
펠리페 2세 1598~1621
펠리페 3세 1621~40
브라간사 왕가
주앙 4세 1640~56
아폰수 6세 1656~67
페드루 2세 1667~1705
주앙 5세 1705~50
주세 1750~77
마리아 1세와 페드루 3세 1777~1816
주앙 6세 1816~26
페드루 4세 1826
마리아 2세 1826~28
미겔 1828~34
마리아 2세(복위)와 페르난두 2세(1837~) 1834~53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 왕가
페드루 5세 1853~61
루이스 1861~89
카를루스 1889~1909
마누엘 2세 1909~10
포르투갈의 역대 통치자

포르투갈과 한국과의 관계

포르투갈과 한국
포르투갈과 한국
외교

포르투갈과 한국은 1961년 4월 15일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주 포르투갈 대한민국 대사관은 1975년 6월에, 주한 포르투갈 대사관은 1988년 8월에 개설되었다. 포르투갈에서 한국의 위상은 중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의 다른 국가들에 비해 미약한 편이었지만, 한국이 IT와 자동차 산업 분야의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면서 포르투갈의 경제 협력 동반국으로서 재인식되었다. 정상외교로는 1993년 10월 마리오 수아레즈 포르투갈 대통령이 방한하여 대전 엑스포를 참관했으며, 2017년 4월 카바코 실바(Cavaco Silava) 대통령이 방한하여 제주포럼에 참석한 바 있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한국의 대포르투갈 주요 수출품은 플라스틱, 자동차, 정밀화학, 철강/기계류, 합성고무 등이며 수입품은 고무제품, 전기기기, 의류 및 섬유제품, 신발/모자, 플라스틱 등이다. 2023년 기준 대포르투갈 수출액은 6억 4,483만 달러, 수입액은 7억 7,145만 달러이다. 양국 간에는 무역/통상협정(1977. 12), 사증면제협정(1979. 9), 경제/산업 및 기술협력협정(1984. 6), 문화협정(1987. 1), 투자보장협정, 이중과세 방지협정, 워킹홀리데이 양해각서(2014. 4) 등이 체결되어 있다.

문화교류·교민 현황

한국전통무용단과 민속무용단, 김덕수 사물놀이패, 태권도 시범단 등이 포르투갈에서 공연을 하거나 시범 경기를 펼쳐왔으며, 포르투갈의 주요 영화관에서는 한국영화주간 또는 한국영화상영회를 열어 한국 영화를 소개해오고 있다. 2014년에는 제1회 한국문화 애호가(K-lover)의 밤’이 개최되기도 했다. 이밖에 리스본기술대학교는 한국외국어대학교와 국립한경대학교와 연구협력협정을 체결하여 학술분야의 교류도 이어지고 있다. 2023년 기준 포르투갈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는 314명이며, 2023년 기준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포르투갈 국적의 등록외국인은 175명이다.

참고자료

  • ・ 주 포르투갈 대한민국 대사관
  • ・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 ・ 국가통계포털
  • ・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