툴시다스

툴시다스

다른 표기 언어 Tulsidas
요약 테이블
출생 1543(?)
사망 1623, 바라나시
국적 인도

요약 인도의 성자·시인.

그의 주요저서 〈라마의 생애를 비추는 성스러운 호수 Rāmcaritmānas〉는 중세 힌디 문학의 가장 큰 업적으로서 북인도의 힌두 문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라마의 생애를 비추는 성스러운 호수〉는 비슈누의 화신으로서 중요한 구원 중개자로 숭앙되는 라마에 대한 헌신적 사랑, 곧 박티의 종교적 감정을 매우 뛰어나게 표현하고 있는 작품이다.

툴시다스는 라마의 철저한 신봉자였지만, 배타적인 종파주의적 태도를 취하지 않고 힌두교의 일반적인 기존 전통과 관습을 따르는 정통파 비슈누 신앙자였다. 따라서 그의 시에는 라마에 대한 철저한 헌신과 더불어 힌두교의 불이일원론적인 정통 교리와 다신적 신앙이 상당히 표현되고 있다. 그는 이처럼 교리적 문제에 절충적으로 접근함으로써 북인도에서 라마에 대한 숭배와 지지가 널리 확산되는 데 공헌했는데, 특히 〈라마의 생애를 비추는 성스러운 호수〉는 북인도에서 라마 숭배가 크리슈나 숭배를 대치하여 주도적인 종교적 영향력을 행사하도록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툴시다스의 생애에 관하여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그는 라자푸르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며, 성년이 되어서는 바라나시에서 대부분의 생애를 보냈다. 〈라마의 생애를 비추는 성스러운 호수〉는 1574~76(또는 1577)년 사이에 씌어졌다. 초기 필사본들이 오늘날까지 여러 개가 전해지고 있는데, 특히 툴시다스가 직접 쓴 것으로 추정되는 필사본도 남아 있다. 가장 오래되고 완전한 필사본은 1647년에 씌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원작은 힌디어의 동부 방언인 아와디어로 씌어져 있으며, 다양한 길이의 7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핵심적인 이야기의 궁극적 원천은 산스크리트 서사시 〈라마야나 Rāmāyana〉이지만, 툴시다스가 직접적으로 참고한 주된 자료는 〈아디아트마 라마야나 Adhyātma Rāmāyaṇa〉이다. 이것은 〈라마야나〉를 개작한 것인데 그 안에 이미 불이론적 체계와 라마 숭배를 조화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보이고 있다. 〈라마의 생애를 비추는 성스러운 호수〉에서는 크리슈나파의 주요경전인 〈바가바타 푸라나 Bhāgavata-Purāṇa〉의 영향도 보이고 있으며, 그밖에도 여러 요소들의 영향이 나타나 있다.

툴시다스는 이 작품외에 11개의 다른 작품들을 쓴 것으로 추정된다. 그중에서는 크리슈나를 찬양하는 61편의 시로 이루어진 〈크리슈나 기타발리 Kṛṣṇa gῑtāvalῑ〉, 라마와 시타를 비롯하여 힌두교의 여러 신들 및 성지에 대한 279편의 시를 담고 있는 〈비나이 파트리카 Vinay pattrikā〉, 라마에 관한 일화들을 담고 있는 〈카비타발리 Kavitāvalῑ〉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라마의 생애를 비추는 성스러운 호수〉는 1952년 W. D. P. 힐이 산문으로 영역했는데, 이 영역본에는 상세한 서문이 첨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