톈진

톈진

다른 표기 언어 Tientsin , 天津
요약 테이블
위치 중국 화베이 평원 동북단
인구 12,800,000명 (2020년 추계)
면적 11,920.0㎢
언어 중국어
대륙 아시아
국가 중국

요약 중국 화베이 평원[華北平原] 동북단, 허베이 성[河北省] 동부에 있는 중앙직할시.
(병). Tianjin. (웨). T'ienchin. (관). Tientsin.

목차

접기
  1. 자연환경
  2. 인구
  3. 경제
  4. 행정과 사회
  5. 문화
  6. 역사
    1. 시의 발전
    2. 20세기 중화민국
톈진(Tientsin)
톈진(Tientsin)

베이징[北京]·상하이[上海] 다음 가는 중국 제3의 도시이다. 중앙 톈진(직할시의 도심)은 중앙 베이징의 남동쪽으로 약 96㎞, 황해의 보하이 만[渤海灣]으로부터 약 56㎞ 내륙에 자리잡고 있다. 베이징이나 상하이와 마찬가지로 국무원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는다.

톈진은 원나라(1279~1368) 때부터 무역과 상업의 중심지였다. 상하이 다음 가는 중국 제2의 공업 중심지이며, 화북 지방의 첫째 가는 항구이다. 톈진은 19세기 유럽인 무역상 집단의 출현 훨씬 이전부터 대도시중심지로 유명했다.

바다와 인접해 있고, 베이징의 상업적 관문으로서의 역할은 민족적으로 다양하고 상업적으로 혁신적인 주민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수공예품, 토기입상, 수채목판 인쇄물, 다양한 해산물 요리 등이 유명하다.

톈진 페리스 휠
톈진 페리스 휠
지도
톈진

자연환경

중앙 톈진은 동쪽 보하이 만으로 흐르는 하이허 강[海河]으로 병류되기 전에 쯔야 강[子牙河]과 신카이 강[新開河] 및 대운하의 북쪽과 남쪽 부분(즉 베이윈 강[北運河]과 난윈 강[南運河])이 합쳐지는 지점에 있다.

시는 해발 5m가 채 안 되는 평탄한 충적평야 위에 세워져 있다. 시 동쪽의 일부 저지대는 겨우 해발 1.8m 정도이고 건물 밀집지역의 대부분은 해발 3.6m보다 낮은 지역에 세워져 있다. 톈진 시는 동쪽으로 보하이 만, 북서쪽으로 베이징 시, 북·서·남으로 허베이 성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1955~67년 허베이 성의 준성급 시였고, 그 관할권은 도심을 넘어 동쪽으로 하이허 강으로부터 탕구[塘沽]에 인접한 톈진 신항(新港)까지 포함되었다.

하이허 강(Hai River)
하이허 강(Hai River)

그 당시 톈진 시는 중앙 톈진 남서쪽의 양루이칭[楊柳靑]에 있던 톈진 특구와 행정적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1967년에 톈진 직할시는 성급(省級) 행정단위로 승격되었는데 그 직접적 통제를 받는 지역이 톈진 특구에 속하던 현(縣)들을 포함하여 확장되었다. 시는 특별구로 되면서 성도로서의 위치를 상실했다. 1980년대초 13개의 구(區)와 5개의 현으로 구성되었다.

톈진 시는 중앙정부의 관할 아래에 있다.

톈진은 바다와 인접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한 일교차와 계절적 기온의 불안정 등 뚜렷한 대륙성기후를 나타낸다. 겨울(10~4월)에는 차고 건조한 시베리아 고기압대에 전적으로 영향을 받는 반면 여름(5~9월)에는 덥고 비가 자주 오는 날씨인 북태평양 고기압권의 영향하에 든다.

겨울은 강수량이 매우 적고 공기가 건조해 상대습도는 평균 50% 정도이다. 여름에는 습하고 비를 머금은 남풍이 불어 평균습도가 70%를 상회한다. 연평균기온은 13℃로 1월평균기온은 4℃, 7월평균기온은 29℃이다. 맹렬한 겨울철 폭풍은 일상적인 것이며 태풍은 드물게 발생한다. 자주 범람하는 하이허 강이 오랫동안의 과제였다. 화베이 평원을 흐르는 강들의 주요하구로서 봄과 여름에는 엄청난 양의 토사로 자주 막히고 겨울에는 종종 항해할 수 없을 정도로 강 수위가 낮아졌다.

대규모의 수자원 관리가 1897년에 시작되었다. 강들은 조수작용을 용이하게 하고 바다와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곧게 펴졌다. 강으로부터 많은 운하들로의 물 흐름을 통제하기 위해 갑문들이 만들어졌고, 강과 그 어귀의 사주들을 준설했으며, 토사를 실은 물을 조성된 웅덩이로 흐르게 했다. 1949년부터 홍수조절, 관개시설, 항해 개선 등의 다목적 수로가 만들어졌다. 베이징 근처의 융딩 강[永定河]에 관팅[官廳] 댐의 건설은 거대도시 톈진의 홍수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남서쪽의 다칭 강[大淸河]과 쯔야 강의 홍수조절을 위해 새로운 우회 수로가 건설되었다.

톈진의 노동자층에 대한 주택공급은 자치당국의 주요과제가 되어왔다. 비록 도심권의 주거지역 역시 재개발되었다 하더라도 1949년 이래 변두리의 개발이 강조되어왔다. 1976년의 탕산[唐山] 지진 때 발생한 피해로 1980년대초 중앙 톈진에 중요한 새 주거 및 상업적 건축들이 이루어졌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많은 변두리 주거지역이 배수상태가 열악하여 홍수를 견디기 어려웠고 특히 위생환경이 나쁜 늪지대 땅에 개발되었다. 대다수의 현대적 복합지역은 시 변두리 공업지구 근처에 세워졌다. 중앙 톈진의 많은 상업용·행정용 대형 건물들은 외국의 조차지 사용자들에 의해 세워진 것이다. 이 건물들은 1920, 1930년대의 유럽과 일본의 전형적인 식민지 건축유형으로, 대조적인 건축양식들의 건물들이 무계획적으로 난잡하게 늘어서 있다. 일부 1950년대에 지어진 공공건물들은 소련의 단일체 양식을 모방하여 건축되었고 주택단지들은 흔히 다층의 표준형 4각구획이다.

최근의 상업·주거용 건물들은 개인용 발코니와 다색 외관을 지닌 현대적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인구

톈진(Tientsin)
톈진(Tientsin)

인구의 대부분은 중앙 톈진에 거주하고 있으며, 인구밀도는 대략 ㎢당 6,000~2만 9,000명이다. 1949년 이전까지는 대다수의 주민들이 상업이나 서비스 분야에 종사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이후 시의 직업적 구조가 변해 대략 1/2의 인구가 생산업에, 약 1/5 정도가 상업에 종사하게 되었다. 나머지는 공공 서비스에 종사한다. 소수민족은 인구의 작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중 큰 집단은 후이족[回族]과 조선족·만주족·위구르족 등이다. 그들의 대부분은 특별한 역사적 연관이 있는 중앙 톈진에 살고 있다.

경제

톈진 경제 기술 개발구(Tianjin Econo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rea)
톈진 경제 기술 개발구(Tianjin Econo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rea)

1949년 이래 중공업이 개발되어 기존의 공업 기반이 더 큰 생산성을 위해 통합·정리되었다. 주요활동은 중기계·화학제품·철강·조선 및 선박수리 등의 생산활동이다. 톈진 중기계 건설 공장은 중국 최대 규모의 광업설비 제조공장 가운데 하나이다.

그밖에 직물공장기계·농기계·공구·전기설비·자전거·트랙터·승강기·정밀기계·트럭·시계 등의 공장이 있다. 다구[大沽]·탕구 및 한구[漢沽:탕산으로 가는 철로상에 있는 탕구의 북쪽]의 화학단지들에서는 화학비료와 농약·제약·화학약품·석유화학제품·플라스틱·화학섬유·염료·도료 등이 생산되고 있다. 탕구에 있는 유리 알칼리 생산공장은 중국 전체 정제소다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일부는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다. 직조는 첫째 가는 경공업이다. 그밖의 생산품으로 가공식품·가죽·고무제품·종이 등이 있다. 톈진의 공업은 대부분 직할시 당국의 관할하에 있다. 금융 서비스로는 중국은행·중국농업은행·중국인민보험공사 등의 지점들이 있다. 소매와 도매는 직할시와 성 당국의 책임하에 있는 상업국이 관리하고 있다. 가격책정과 인력 문제는 지방에서 하는 반면 상품의 분배, 장기적인 계획, 고차원의 재정관리 등은 성급 사무국의 책임하에 있다. 1980년대초에 만들어진 자치시 일반 교역법인이 이전에 중앙정부기관이 담당하던 역할을 맡아 통합을 돕고 국내교역과 해외교역의 능률을 개선했다.

톈진은 화북의 으뜸 가는 운송 중심지이다. 징푸 철도는 남쪽의 톈진으로부터 상하이를 경유해 지난[濟南:산둥 성(山東省)에 속함]과 쑤저우[蘇州:장쑤 성에 속함]까지 연결되어 있다. 징산 철도는 북으로 베이징으로부터 톈진과 허베이-랴오닝 경계선상의 산하이관[山海關]을 경유, 선양[瀋陽:랴오닝 성에 속함]까지 이른다.

내륙 깊숙한 곳까지 가로지르는 수로들이 대운하와 쯔야강, 다칭 강[大淸河]을 따라 남쪽과 남서쪽으로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데 이들은 허베이 성 남부의 바오딩[保定]·창저우[滄州]·헝수이[衡水] 등의 도시들과 연결된다. 베이징으로부터 시작되어 톈진을 경유하여 탕구에 이르는 징탕 간선도로는 바다로 가는 전천후 수송도로이다. 기타 주요도로로는 남쪽으로 징푸 철도를 따라 산둥 성으로 가는 도로와 서쪽으로 산시 성[山西省], 북쪽으로 친황다오[秦皇島], 북동쪽으로 허베이 성에 그리고 둥베이[東北:옛 이름은 滿洲]에 이르는 도로가 있다. 도시 내부와 변두리의 수송은 다양하다. 수십 개의 시가전차와 무궤도전차, 버스 노선이 도시의 철도역과 근교의 변두리 지구까지 연결된다. 1983년 중반 12㎞에 이르는 첫번째 중앙 톈진의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이에 더하여 24개의 장거리 버스 노선이 도심과 더 먼 시골지역을 연결해주고 있다. 톈진은 화북지역 수출상품의 주요집산지이자 환적지이며, 중기계류와 기타 자본집약적 수입품의 우선 도입 항구이다.

행정과 사회

톈진(Tientsin)
톈진(Tientsin)

톈진 인민회의가 톈진의 첫째 가는 행정기관이다. 이의 전신인 시 혁명위원회는 문화대혁명(1966~69)중인 1967년에 세워졌다. 1967년 이전의 시 업무 관리책임은 당과 행정부의 통제를 받는 여러 사무국들에 나누어져 있었다. 톈진시계획위원회는 공업과 상업을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원회는 공업원료의 공급과 분배를 조정하고 생산수준, 자본투자에 대한 배분, 노동력 수요 등을 결정하며 생산 연구와 개발을 감독하고, 교통·공공업무·환경정책 등을 조정한다.

1949년 이래 주요공공사업은 주기적인 홍수피해 방지와 시의 상수공급·하수처리시설 개선 등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늪지와 저지대의 물을 빼내어 경작과 주거에 사용될 수 있게 바꾸었고 새 도로를 건설했으며 가로등도 설치했다. 시가 바다 근처의 저지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신선한 물의 공급이 언제나 문제가 되어왔다. 공업화와 인구증가, 베이징 북동쪽에 있는 미윈[密云] 저수지의 단수로 인해 1980년대 초반에 심각한 식수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이 부족분은 임시로 남쪽의 황허 강[黃河]의 물을 끌어들임으로써 완화되었으며, 북동쪽의 롼허 강[灤河] 물을 끌어오기 위한 공사도 진행되었다. 이 공사는 1981년말에 시작되었고, 첫번째 단계가 1983년말에 완공되었다. 남서쪽의 늪지성 저지들이 배수되었는데 그중 가장 넓은 곳 중 하나가 수상공원의 대규모 위락지역으로 바뀌었다. 전력은 화력발전소(석탄을 연료로 씀)에 의해 발전되고 시는 허베이 성의 베이징·탕산 등과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문화대혁명 이전에는 톈진 인구의 약 1/6이 교육기관에 등록하고 있었다. 1960년대말과 1970년대초에 걸쳐 등록률이 떨어졌다. 1970년대말 중국 현대화 계획의 지원을 받아 괄목할만한 투자가 이루어졌다. 특히 석유화학·철강·해양·기계공업 분야를 지탱하는 과학과 기술학교를 개선·확대하기 위한 난카이대학교[南開大學校]와 톈진대학교는 시의 남서쪽 외곽인 난카이 구에 있다.

톈진 대학과 난카이 대학(Tianjin University and Nankai University)
톈진 대학과 난카이 대학(Tianjin University and Nankai University)

기타 고등교육시설로 과학기술전문학교, 중앙예술음악학교와 의과대학·교육대학 등이 있다. 근로학교가 각 공장에 정규교육 프로그램을 보충하기 위해 부속되어 있다.

문화

시에는 여러 개의 박물관과 1개의 큰 도서관이 있다. 예술박물관에는 원·명·청 시대의 그림들이 소장되어 있는 반면, 시립역사박물관과 톈진 과학관은 주로 현대 전시물들을 다루고 있다. 톈진 도서관은 톈진 시에서 가장 큰 도서관이다. 특별한 전시회는 공업전람관과 국립 소수민족문화궁에서 열리며, 인민축제회관은 오페라·연극·음악 공연 등에 열린다. 가장 큰 영화 상영관에 허핑 극장이며, 천문대가 하나 있다. 톈진에는 수십 개의 공원과 유흥지가 있는데, 성리[勝利] 공원과 어린이공원은 시의 중심에 있으며, 시구[西沽]·난카이·런민[人民]·젠산[尖山]·수상·베이닝 공원은 도심의 외곽에 조성되어 있다. 공장 노동자를 위한 여가활동 모임들이 있으며, 4개의 경기장이 있다.

톈진의 문화
톈진의 문화

역사

시의 발전

늪지와 열악한 배수시설로 둘러싸인 톈진은 싼차커우[三岔口]의 정착촌이 하이허 강 서안에 건설된 송대(960~1279)까지는 사람이 별로 살지 않는 지역이었다. 원래의 정착촌은 나중에 쯔야 강과 하이허 강이 합쳐지는 고지대에 세워진 대규모 마을인 즈구에 연결되었다. 즈구는 항구와 상업지역으로 급속히 발달했고, 중국 중부와 남부의 곡물과 기타 식량의 비축·운송·분배점이 되었다.

톈진은 또한 하이허 강을 따라 염전이 개발되자 주요 소금 생산지가 되었다. 근대 톈진의 개발은 명대(1368~1644)에 수도를 난징[南京]에서 베이징으로 천도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1368년 정착촌은 수비대 주둔지가 되었으며 톈진 위(衛)라고 불리게 되었다. 1425년에는 대규모 병영기지가 세워졌고, 4각의 성벽이 축조되었다. 마을은 베이징의 주요관문으로 번창했고, 산둥 성, 장쑤 성, 푸젠 성[福建省]으로부터 온 이주민으로 인해 인구가 증가되었다. 청대(1644~1911/12)의 시작과 더불어 톈진은 대운하의 북쪽 종점에 있다는 위치적 특성 때문에 화북지방의 경제적 선도자 역할을 하게 되었다. 우수한 내륙수로가 연결됨으로써 교역량도 착실하게 증가했다.

톈진의 경제적 번창은 유럽 각국이 중국에 대해 그들의 상업적·외교적 특권을 무제한적으로 요구하던 19세기 중반에 후퇴되었다. 제2차 아편전쟁(1856~60) 기간에 영국·프랑스·중국 사이에 톈진 조약이 맺어졌다. 1895~1902년에 조차지가 일본·독일·러시아·오스트리아·헝가리·이탈리아·벨기에 등에 주어졌다. 톈진에서의 교전은 1860년에 다시 시작되어 도시는 영국·프랑스에 의해 포격되었으며, 그 이후 베이징 협약은 톈진의 자유무역항을 선언했다. 10년 후 중국인들의 반외세 감정의 폭력적 표현이 프랑스 가톨릭 고아원과 성당을 공격함으로써 나타났다.

1900년에 다시 시작된 반외세 시위는 서구연합군의 시에 대한 포격과 침공을 불러왔고, 시의 옛성벽이 파괴되었다. 19세기말 톈진의 인구는 20만 명으로 성장했고, 인구의 절반은 구시가지에 거주했다. 1850년대초에 황허 강의 수로가 옮겨지고 대운하가 토사로 막히자 시의 내륙수로 운항이 제한되고 항해 관리소가 하이허 강 연안을 따라 동쪽으로 옮겨졌다. 시설물들 역시 하이허 강의 하구인 다구와 탕구에 건설되었다.

톈진(Tientsin)
톈진(Tientsin)
1930년대 톈진의 거리
1930년대 톈진의 거리
20세기 중화민국

이 시기에 톈진은 중앙정부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는 특별 시가 되었다. 1935년 일본은 톈진에 일본 군부정권에 의해 행정 통제를 받는 동부 허베이 성의 자치지역을 정착시킴으로써 중국 북부에 그들의 통제권을 확장하려고 시도했다. 1년 후 일본은 중국 당국에 그 지역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줄이라는 요구를 제출했다.

중일전쟁(1937~45)의 개시와 함께 톈진은 일본에 점령되었으며, 1939년 일본은 반일본 시위에 대한 응답으로 영국과 프랑스의 조차지를 봉쇄했다. 공산혁명(1945~1949) 동안에 톈진은 공산당이 시를 점령한 1949년 1월 중순까지 국민당 정권의 통제 하에 있었다. 그 이후로 톈진은 내부적 개발 수요의 결과로 교역과 생산 중심지로 성장했다. 톈진은 베이징과 근접해 있지만 기능주의적이고 실용주의적인 특유의 성격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