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마

치마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저고리와 함께 입는 여자의 하의.

한자어로는 상(裳) 또는 군(裙)으로 표기된다. 조선시대 세종대에는 쳐마로, 중종대 〈훈몽자회 訓蒙字會〉에는 츄마(裳)로, 성종대 초간 〈내훈 內訓〉에는 치마로 각각 표기되었고 혜경궁 홍씨의 〈한중만록 閑中漫錄〉에는 문단치마로 표기했음을 알 수 있다.

치마란 '차고(佩) 마는(卷) 옷'이라는 뜻으로 〈고려도경 高麗圖經〉에는 선군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삼국시대의 치마형태는 고구려 고분벽화에 잘 보존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길이가 길고 잔주름이 허리에서 아랫단까지 잡혀 있으며 단에는 장식연이 둘러져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상하가 모두 황상을 입었다 하며 속치마와 겉치마가 있어서 속치마는 겉치마를 퍼지도록 하는 역할을 했다. 귀한 집 여자들은 속치마를 7, 8필 겹쳐 입었으며 겉치마는 길이가 길어 걸을 때는 겨드랑이 밑에 끼고 다녔다. 조선시대에는 예복용으로 스란치마·대란치마·전행웃치마가, 일상복으로 대슘치마·무지기 등이 있었다.

치마 입는 방법에 있어 반인계급은 좌(左)로, 서민계급은 우(右)로 여미어 입어 반상을 가렸고, 색상에 있어서는 출가하여 아이를 낳을 때까지는 다홍치마, 중년이 되면 남치마, 노년이 되면 옥색·회색 계열의 치마를 주로 입었다. 개화기에는 여성들의 사회활동으로 짧은 통치마가 나타났고 이에 맞추어 저고리의 길이는 늘어났다. 오늘날 예전의 짧은 치마류는 양장으로 대신하게 되었고 긴 치마는 한복으로 계속 유지되고 있다. → 스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