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거래소

증권거래소

다른 표기 언어 stock exchange , 證券去來所

요약 유가증권을 거래하는 인증된 장소. 증권의 원활한 유통을 보장하며, 저축을 기업투자로 전환하도록 이끌고 주식가격을 결정하여 기업에 자본을 할당한다. 거래는 경매나 중개인이나 전문가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중세 유럽의 지불명령서·환어음 등의 신용거래에서 시작했고 16~17세기에 암스테르담·영국·덴마크·독일 등에 초기의 증권거래소가 등장했다. 19세기에는 대부분의 산업국가에 증권거래의 형식이 갖춰지게 되었다. 증권거래소의 공통된 업무는 증권의 상장·거래·청산이지만 구체적인 업무수행 형태는 나라마다 다르다. 대부분의 유럽 증권거래소들은 정부의 부분적인 규제 하에 놓여 있다. 한국에서는 1956년 처음 설립되고 1963년 한국증권거래소로 개편되어 공영제 형태로 유지되다가 1987년에 회원제로 전환되었다. 2005년에 한국증권거래소와 코스닥시장, 한국선물거래소를 통합하여 한국거래소가 되었다.

목차

접기
  1. 개요
  2. 역사
  3. 정부의 규제
  4. 회원
  5. 한국의 증권거래소
증권거래소
증권거래소
증권거래소
증권거래소

개요

주식, 선물, 채권, 파생상품 등을 거래는하는 인증된 시장. 선진자본주의 국가에서 증권거래소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즉 증권의 기성시장으로서 증권의 원활한 유통을 보장하며, 저축을 기업투자로 전환하도록 촉진시킨다. 또한 가격기구로서 한 회사에 대한 진정한 투자가치(주[株]당 기대소득 흐름의 현재가치)를 반영하는 주식가격을 결정함으로써 기업간에 자본을 할당한다. 거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지속적인 경매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특정형태의 증권을 딜러로부터 사거나 파는 중개인이 존재할 수도 있다. 또는 특정 증권에 대한 전문가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역사

증권거래소는 중세 유럽의 견본시에서 지불명령서·환어음 등의 신용이 거래되면서 등장했다. 프랑스의 증권거래소는 상업어음이 유통되던 12세기 무렵 설립되었는데, 이러한 초기 시장을 규제하기 위하여 프랑스에서는 증권중개인이 생겨났다. 16~17세기에 암스테르담·영국·덴마크·독일 등에 초기의 증권거래소가 등장했다. 이후 경제발전의 확대와 간헐적인 자본부족이 결합되면서 정부·은행·보험회사·주식회사 특히 대규모 무역회사 등이 증권을 발행하기 시작했고 이와 함께 기존의 상업어음 거래소들을 대신하여 증권거래소가 설립되었다. 1773년 런던의 주식 딜러들은 자신의 사무실을 마련했고 19세기가 되면서 대부분의 산업국가에서는 증권거래의 형식이 갖춰지게 되었다.

각국의 증권거래소는 상이한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했다. 영국의 증권거래소는 국가의 간섭 없이 자율적인 규제에 의해 거래가 이루어진 반면, 프랑스의 증권거래소는 직접적인 규제하에 놓여 있었으며, 증권중개인의 활동도 국가 법령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캐나다와 남아프리카에서는 상업보다는 광업이 증권거래소의 발전에 더 큰 영향을 미쳤고, 독일과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의 영향을 받았다. 일본은 종전 이후 미국을 모델로 새로운 증권법을 제정했고, 재벌 주식의 분배와 국영기업의 설립에 의해 대중의 주식소유가 증대하면서 증권거래소가 발전하게 되었다. 미국 최초의 증권거래소는 1791년 당시 국내 무역의 중심지였던 필라델피아에 설립되었다.

그 이듬해 설립된 뉴욕의 증권거래소에서는 24명의 상인과 브로커들이 수수료를 기초로 월가 68번지에서 거래업무를 수행했다. 이들의 거래업무는 주로 가두에서 이루어지다가 1817년 브로커들이 형식적인 기초를 마련하여 뉴욕 증권거래원(New York Stock and Exchange Board)을 조직했다. 이것은 1863년 지금의 뉴욕 증권거래소(New York Stock Exchange)로 개칭되었다. 남북전쟁 기간중 새로운 거래소들이 조직되었는데 그중 하나가 미국에서 2번째로 큰 아메리카 증권거래소이다.

정부의 규제

증권거래소의 공통된 업무는 증권의 상장·거래·청산이지만 구체적인 업무수행 형태는 나라마다 다르다. 런던 증권거래소는 증권의 수량이나 종류에 있어서 세계 최대로서 정부의 규제를 받지 않는 독립적 기구이다. 여기에서는 회원에 의해 선출되는 이사회가 자체의 규약을 마련하여 거래업무를 관리한다. 미국은 영국과 마찬가지로 정부가 증권거래 업무에 직접 개입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의회는 발행시장에 관련된 증권법(1933)과 거래시장에 관련된 증권거래소법(1934)을 제정함으로써 직·간접으로 증권시장에 영향을 행사해왔다. 증권거래소법에 의하면 모든 증권거래소는 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SEC) 에 등록하고 특정법규를 준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증권거래소는 자체적으로 정책과 법규를 채택하나, 증권거래위원회가 공익을 위해 수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증권거래위원회의 중재를 받는다.

대부분의 유럽 증권거래소들은 정부의 부분적인 규제하에 놓여 있다. 암스테르담 증권거래소는 사적 기구로 상대적으로 규제로부터 자유로우나 재무부의 감독하에 있으며, 취리히 거래소는 자치주위원회의 관리를 받는다. 프랑크푸르트 증권거래소도 자체 관리위원회에 따라 운영되지만 거래소 규정은 주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공인 스페셜리스트는 주정부가 임명한다. 브뤼셀은 재무부가 거래위원회의 회원임명에 참여하며 정부대표를 각각의 증권거래소에 파견하여 감독한다. 프랑스에서 증권중개인은 준공무원이며 이탈리아의 증권거래소 직원은 정부가 임명한다.

회원

1953년 이후 뉴욕 증권거래소의 회원은 1,366명으로 제한되었다. 회원은 개인자격이지만 일반인을 상대로 증권거래를 하는 회원회사의 직원이나 주식 보유자일 수도 있다. 이들은 주식 브로커와 딜러의 업무에 종사하며 증권거래소는 이를 감독·규제한다. 회원이 되기 위해서는 증권거래소의 자격심사 후에 증권관리위원회의 승인과 함께 '회원권'을 얻어야 한다. 증권거래소의 브로커에는 일반 고객의 주문은 실행하는 커미션브로커, 특정증권에 관하여 딜러와 브로커를 겸하는 스페셜리스트, 일반인과의 거래 없이 다른 브로커의 주문만을 실행하는 장내 브로커, 표준거래단위 미만의 주식만을 거래하는 단주(端株) 브로커 등이 있다.

런던 증권거래소의 회원은 일정한 가격에서 선임회원으로부터 추천을 받아야 하고 지원자는 증권거래이사회의 3/4 이상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회원의 종류에는 일반인과 거래하는 브로커와 자기계정하에 다른 회원들과 거래하는 조버(jobber)가 있다. 파리 증권거래소의 회원은 65명의 증권중개인으로 제한되어 있고 이들이 거래활동을 관리한다. 회원이 되기 위해서는 학력·경력이 자격조건에 부합해야 하며 선임회원으로부터 추천을 받고 보증금을 지불해야 한다. 그는 공식적으로 재무부에 의해 임명된다. 또한 독일·스위스·스웨덴에서 중개업무는 주로 은행이 담당하고, 일본에서는 증권회사만이 거래소 회원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은 정규회원과 재취(才取)회원으로 구성된다.

한국의 증권거래소

한국에서는 1956년 2월 대한증권거래소가 처음 설립되었으나 1962년 4월 주식회사로 개편되었다. 그후 증권파동하에서 거래소의 공신력이 극도로 저하되자 1963년 한국증권거래소로 개편되어 공영제 형태로 유지되다가 1987년에 회원제로 전환되었다. 1996년에는 증권업협회에서 코스닥증권시장을 설립했다. 2005년에 한국증권거래소와 코스닥시장, 한국선물거래소를 통합하여 한국증권선물거래소라고 명명했다가, 2009년 <자본시장통합법>이 시행되면서 한국거래소로 개명했다. 한국거래소도 회원제이며, 증권사와 선물회사, 은행만이 매매가 가능하다.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회사는 2016년 기준 1,987개 회사로, 유가증권시장에 779개 회사, 코스닥 시장에 1,208개 회사가 상장되어 있다. 시가총액은 총 1,510조 원이며 유가증권 시장이 1,308조 원, 코스닥 시장이 202조 원이다.

새 페이지 1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상장회사 수 합계 1,806 1,822 1,789 1,786 1,834 1,922 1,987
유가증권시장 777 791 784 777 773 770 779
코스닥시장 1,029 1,031 1,005 1,009 1,061 1,152 1,208
시가총액(조 원) 합계 1,237.0 1,148.0 1,263.0 1,305.0 1,335.0 1,445.0 1,510.0
유가증권시장 1,141.0 1,042.0 1,154.0 1,186.0 1,192.0 1,243.0 1,308.0
코스닥시장 96.0 106.0 109.0 119.0 143.0 202.0 202.0
한국거래소 상장 회사 현황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