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선왕

충선왕

다른 표기 언어 忠宣王 동의어 고려 제 26대 왕, 선효대왕, 宣孝大王, 이지르부카, 왕원, 王謜
요약 테이블
출생 1275(충렬왕 1)
사망 1325(충숙왕 12)
국적 고려, 한국
종교 불교
재위 1298년∼1313년
시호 헌효대왕(憲孝大王)
능묘 덕릉(德陵)

요약 고려 제 26대 왕이자 충렬왕의 맏아들로 이름은 장, 자는 중앙. 1295년 3개월간 국정을 담당했을 때 백성들의 신망을 얻었으며 충렬왕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으며 즉위 후 고려사회 전반의 폐해를 혁신하는 한편 왕권의 강화를 도모했다.그러나 퇴위당해 개혁은 중단되고 말았다. 이후 10여 년 간 원나라에 머물다가 1308년 충렬왕 사후 귀국하여 다시 왕위에 올랐다. 복위 2개월 만에 제안대군에게 왕권을 대행시키고 원나라로 가 전지를 통해 국정을 수행으며 이후 연경에서 양국의 문화 교류에 영향을 주었다.

이름은 장(璋). 초명은 원(謜)·몽골 이름은 익지례보화(益知禮普花)·자는 중앙(仲昻). 충렬왕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元 世祖의 딸, 몽골 이름은 忽都魯揭里迷失)이다.

비(妃)는 계국대장공주와 의비(懿妃)·정비(靜妃:西原侯 瑛의 딸), 순화원비(順和院妃:洪奎의 딸)·조비(趙妃:趙仁規의 딸)·순비(順妃:許珙의 딸)·숙비(淑妃:金良鑑의 딸)이다. 1277년(충렬왕 3) 세자로 책봉되었다.

어릴 때부터 충렬왕의 잦은 사냥이나 응방(鷹坊)의 폐해 등을 지적하며 부왕의 측근들을 경계했다. 1291년 원나라로부터 특진상주국 고려국왕세자(特進上柱國高麗國王世子)로 책봉된 데 이어 1295년에는 의동삼사 상주국 고려국왕세자 영도첨의사사(儀同三司上柱國高麗國王世子領都僉議使司)로 책봉되었다. 그해 8월 충렬왕으로부터 판도첨의밀직감찰사사(判都僉議密直監察司事)로 임명되어 3개월간 국정을 담당했는데, 권세가들이 탈취한 전민(田民)을 돌려주어 백성들의 중망을 얻었다. 1296년 11월 원나라에서 계국대장공주와 혼인했다.

이듬해 5월 제국대장공주가 갑자기 죽자 충렬왕의 총애를 받아 세력을 떨치던 궁인 무비(無比)와 그 무리인 최세연(崔世延)·도성기(陶成器) 등이 공주를 저주했기 때문이라며 대숙청을 단행했고, 이로 인해 정치에 뜻을 잃은 충렬왕의 선위(禪位)를 받아 1298년 1월 즉위했다. 즉위 직후 30여 항목의 교서를 발표해 권세가의 탈세와 전민탈점, 압량위천(壓良爲賤)을 금지하는 등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당시 고려사회의 폐해를 과감하게 개혁하는 혁신정치를 실시했다. 이와 아울러 정방(政房)을 폐지하고 사림원(詞林院)을 설치, 재상의 권한을 축소하여 정치권력이 국왕에게 집중되게 함으로써 왕권의 강화를 도모했다.

그러나 같은 해 8월 조비무고사건(趙妃誣告事件)으로 퇴위당해 원나라로 가고 충렬왕이 다시 왕위에 오르자 개혁은 중단되고 말았다. 충선왕은 이후 10여 년 간 원나라에 머물면서 회령왕(懷寧王) 해산(海山:뒤의 武宗)과 친밀하게 지냈는데, 이 기간 동안 고려에서는 왕 부자의 알력이 표면화되어 정치세력이 분열되면서 1299년(충렬왕 25) 충선왕파인 인후(印侯)의 한희유무고사건(韓希愈誣告事件)과 왕유소(王惟紹)·송린(宋璘) 등 충렬왕파의 계국대장공주 개가운동 등 치열한 정쟁이 일어났다.

이러한 갈등은 원나라 성종(成宗)이 죽은 후 황위쟁탈전이 야기되면서 더욱 치열해졌다. 자신이 지지한 해산이 황제가 되자 충선왕은 고려 국정의 실권을 장악하게 되고, 왕유소 일당은 숙청되었다. 이후 무종 옹립의 공으로 심양왕(瀋陽王)에 봉해졌고, 1308년 충렬왕이 죽자 귀국하여 다시 왕위에 올랐다. 이후 충선왕은 기강의 확립과 인재의 등용, 왕실족내혼의 금지, 권세가의 횡포 엄단 등을 내용으로 하는 복위교서를 발표해 혁신정치를 천명했다.

그러나 오랜 원나라 생활에 젖어 복위 2개월 만에 제안대군 숙(齊安大君淑)에게 왕권을 대행시키고 원나라로 가서 이후 5년간의 재위기간 동안 귀국하지 않고 전지(傳旨)를 통해 국정을 행했다. 그중 각염법을 제정해 한해에 포(布) 4만 필의 국고수익을 올린 것은 적지 않은 성과였다.

그러나 토지개혁은 권세가의 반대로, 관제개혁은 원나라의 간섭으로 실패했고, 오랜 재원생활(在元生活)로 본국에서 포 10만 필, 쌀 4,000곡(斛) 등과 기타 많은 물자들을 운반하게 함으로써 폐해가 극심했다. 이에 신하들이 여러 차례 귀국을 요청했고, 원나라에서도 귀국을 명했으나 그대로 머물러 있다가 1313년(충선왕 5) 강릉대군 도(江陵大君燾)에게 전위했다. 이후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세워 많은 서적을 수집하고 요수(姚燧)·조맹부(趙孟頫) 등 원나라의 명유(名儒)들을 불러 연구하게 했으며 고려의 이제현(李齊賢)을 불러 그들과 교유하게 하여 양국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무렵 고려에서의 조맹부체 유행이 이를 잘 나타낸다. 1316년(충숙왕 3) 심양왕의 위(位)마저 조카 연안군 고(延安君暠)에게 물려준 뒤에는 티베트 승려에게서 계(戒)를 받고 보타산(寶陀山)에 불공을 드리러 가기도 했다. 1320년 원나라 인종(仁宗)이 죽자 고려출신 환관 임백안독고사(任伯顔禿古思)의 무고로 토번(吐蕃)에 유배되었으며, 1323년 태정제(泰定帝)가 즉위하자 유배에서 풀려나 2년 후 원나라에서 죽었다.

능은 개성에 있는 덕릉(德陵)이다. 시호는 충선(忠宣)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