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교

주교

다른 표기 언어 bishop , 主敎

요약 이 직책의 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주교제나 주교, 사제, 부제로 이루어진 3품(品)은 2세기경 그리스도교 교회에서 확립되었다. 로마 가톨릭 교회, 동방정교회, 일부 다른 교회들은 주교가 사도들의 계승자라는 견해를 지켜왔다.
4세기에 로마 제국이 그리스도교를 공인한 때부터 16세기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이 일어날 때까지 주교는 자신이 속한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주임사제, 신부, 행정가, 통치자였다. 그는 전례의 최고책임자였으며, 세례와 성찬례를 거행하고, 서품식을 거행하고, 대사령을 공포하고, 교회 재정을 관장하고, 분쟁을 해결했다. 종교개혁 기간에 일부 프로테스탄트 교회는 주교직제를 비판했는데, 그것은 중세기에 주교가 자신의 영적 순수성을 위협할 만큼 광범위한 세속 권력을 행사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기도 하고, <신약성서>에 그러한 제도의 근거가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직책의 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주교제나 주교·사제·부제로 이루어진 3품(品)은 2세기경 그리스도교 교회에서 확립되었다. 로마 가톨릭 교회, 동방정교회, 일부 다른 교회들은 주교가 사도들의 계승자라는 견해를 지켜왔는데, 이를 가리켜 사도전승이라고 한다(→ 주교제도).

4세기에 로마 제국이 그리스도교를 공인한 때부터 16세기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이 일어날 때까지 주교는 자신이 속한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주임사제·신부·행정가·통치자였다.

그는 전례의 최고 책임자였으며, 세례와 성찬례를 거행하고, 서품식을 거행하고, 대사령을 공포하고, 교회 재정을 관장하고, 분쟁을 해결했다. 종교개혁 기간에 일부 프로테스탄트 교회는 주교직제를 비판했는데, 그것은 중세기에 주교가 자신의 영적 순수성을 위협할 만큼 광범위한 세속 권력을 행사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기도 하고, 〈신약성서〉에 그러한 제도의 근거가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종교개혁 이후의 그리스도 교회 중에서는 로마 가톨릭, 동방정교회, 복고 가톨릭주의자들, 성공회, 소수 교파들만이 주교직과 주교가 사도권을 계승한다는 신앙을 고수했다.

일부 루터파 교회(주로 스칸디나비아와 독일)에는 주교가 있지만, 스웨덴 루터 교회를 제외한 나머지 루터 교회는 주교의 사도전승 교리를 고수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다른 프로테스탄트 교회에는 주교가 없다. 미국 감리교회의 경우, 감독은 여러 교회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목사를 임명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교황·추기경·대주교·총대주교·수도대주교는 등급이 다른 주교들이다. 교구장 주교는 흔히 부교구장·보좌 주교 등으로 불리는 다른 하급 주교들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교구를 관리한다. 주교만이 견진성사를 행하고 성직자를 임명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주요임무는 교구 성직자들을 감독하는 일이다.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교황이 주교를 선발하며, 선발된 주교는 대주교와 다른 2명의 주교에게서 직무에 대한 추인을 받는다. 성공회와 다른 교회들에서는 교구 성당의 수석사제와 참사회원들이 주교를 선출한다. 감리교의 감독은 연회에서 선출한다. 전통적으로 주교가 다는 휘장으로는 주교관·주교 지팡이·패용십자·반지·칼리가이(caligae : 양말과 신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