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다른 표기 언어 宗廟祭禮樂 동의어 종묘악,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요약 테이블
문화재 지정 1964.12.07
소재지 서울특별시
문화재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요약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종묘에서 제사를 지낼 때 쓰이는 제사음악.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이다. 세종 때에 창작되어 세조 때에 정비되었고, 지금은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거행된다. 조선시대 궁중음악의 정수로 우리나라의 문화적 전통과 특성이 잘 나타나며, 독특한 멋과 아름다움이 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었다.

종묘제례악(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와 영녕전의 제사에 쓰이는 제사음악 일체를 말하며, 종묘악이라고도 한다. 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제향에 음악이 사용되었다는 기록은 〈고려사〉에 처음 보이는데 1116년(예종 11) 중국 송나라에서 들여온 대성아악을 같은 해 10월 태묘, 즉 종묘에 사용했다 한다. 그러나 고려의 아악은 완전하게 정리된 것이 아니었고 향악·당악과 함께 사용되었다.

조선초 1405년 4월 문묘·종묘 등 배신의 제복과 악기가 너무 낡아 1406년 7월 내사 박린·김희 등을 중국에 보내 악기를 들여왔다. 조선 초기에는 여러 곡을 지었으나 조종의 공덕을 기리기에는 부족하다 하여 세종은 고취악과 향악에 바탕을 두어 정대업·보태평·발상·봉래의 등을 창제했다. 그중 정대업과 보태평은 회례악무로 창제된 것이고 종묘제례악에는 쓰이지 않았다. 이 곡들은 최초의 유량악보인 정간보와 율자보에 의해 기보되었다.

보태평은 조상들의 문덕을, 정대업은 무공을 칭송한 한문시의 가사를 말하는데, 이것을 악장이라고 한다. 보태평의 각 곡은 임종궁평조인 5음음계이고, 정대업은 남려궁계면조인 5음음계로 이루어졌다. 1460년 세조는 최항에게 명하여 세종이 지은 음악을 간추려 새로 짓게 했다. 15곡의 정대업은 11곡으로 축소되었고, 임종궁평조와 남려궁계면조에서 각각 청황종평조와 청황종계면조로 바뀌는 등 대대적인 편곡작업이 이루어졌다. 1464년(세조 9) 정대업과 보태평은 개작되어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었다.

세조 때 정비된 종묘제례악은 해마다 연주되었으나 1592년 임진왜란 때 종묘가 불타버려 복구되기까지 한동안 중단되었다. 1626년(인조 4) 정명장 뒤에 중광장을 삽입했으나 병자호란 직후부터 1647년까지 10년 동안 정지되었다. 지금은 해마다 5월 첫째 일요일에 종묘에서 거행되고 있으며, 음악과 일무는 종묘제례악보존회에서 담당하고 있다.

종묘제례악의 음계는 보태평은 황종·태주·중려·임종·남려의 5음음계 평조이고, 정대업은 황종·협종·중려·임종·무역의 계면조였으나, 19세기 이후부터 계면조는 3음음계 또는 4음음계로 변했다. 종지형은 하강 종지형이다. 악보는 〈세종실록〉 권138, 〈세조실록〉 권48, 〈대악후보〉 권2, 〈속악원보〉 권1·6 등에 전한다. 사용악기는 등가 악현에 박(1)·대금(2)·방향(1)·편경(1)·절고(1)·당피리(3)·아쟁(1)·장구·편종(1)·축(1)이고, 헌가 악현에는 박(1)·편종(1)·편경(1)·당피리(3)·대금(2)·해금(1)·태평소(1)·징(1)·축(1)으로 아악기·당악기·향악기가 모두 사용된다.

일무는 예전에는 6일무로 36명이 추었으나 현재에는 8일무이며 64명이 춘다. 보태평지무는 문무이고 정대업지무는 무무이다. 문무는 오른손에 적, 왼손에 약(籥)을 들고 춘다. 무무는 국립국악원 소장의 〈시용무보 時用舞譜〉에 의해 전해지고 있다. 2001년 5월 18일 유네스코 세계인류구전 및 무형문화유산걸작으로 선정된 이후, 2008년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통합되었다.

절차 악헌 악명 일무
전하입문(殿下入門) 헌가 승안지악(承安之樂) 열문지무(烈文之舞) 9성
영신(迎神) 헌가 경안지악(景安之樂)  
관세(盥洗) 헌가 승안지악  
전폐(奠幣) 등가 숙안지악(肅安之樂) 열문지무
강계(降階) 헌가 승안지악  
진찬(進饌) 헌가 옹안지악(雍安之樂)  
승계(升階) 헌가 승안지악  
초헌(初獻) 등가 수안지악(壽安之樂) 열문지무
강계 헌가 승안지악  
문무퇴무무진(文舞退武舞進) 헌가 서안지악(舒安之樂)  
아종헌(亞終獻) 헌가 수안지악 향악교주 소무지무(昭武之舞)
예음복위(詣飮福位) 헌가 승안지악  
음복(飮福) 등가 수안지악  
강복위(降復位) 헌가 승안지악  
철변두(徹籩豆) 등가 옹안지악  
송신(送申) 헌가 경안지악 향악교주  
환제궁(還齊宮) 헌가 승안지악  
1423년(세종 6) 종묘제례악의 절차
절차 악명 악곡이름 주악위치 일무 편성악기
영신(迎神) 보태평 희문9성(成)(즉 9번 반복) 헌가 문무 편종·편경·방향·당피리·
대금·해금·장구·축·박
전폐(奠弊) 보태평 전폐희문 등가 문무 영신과 같으나 해금 대신
아쟁, 진고 대신 절고를 씀
진찬(進饌) 풍안지악
(豊安之樂)
진찬 헌가   영신과 같음
초헌(初獻) 보태평 희문·기영·귀인·형가·
즙영·융화·현미·용광·정명·
중광·대유·역성
등가 문무 전폐와 같음
아헌(亞獻) 정대업 소무·독경·탁정·선위·신정·분웅·
순음·총유·정세·혁정·영관
헌가 무무 영신과 같으나 태평소와
징이 추가됨
종헌(終獻) 정대업 아헌과 같음 헌가 무무 아헌과 같음
철변두
(徹籩豆)
옹안지악
(雍安之樂)
진찬 등가 무무
퇴장
전폐와 같음
송신(送神) 흥안지악
(興安之樂)
진찬 등가   영신과 같음
현재 전승되는 종묘제례악의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