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편소설

장편소설

다른 표기 언어 novel , 長篇小說

요약 단편소설·중편소설에 비해 분량이 많은 소설. 일반적으로 200자 원고지 1,000장 이상의 분량을 말한다.

서양에서는 소설이라 하면 보통 장편소설을 뜻한다. 이 긴 소설형식은 짧고 집약적인 양식들보다 훨씬 더 많은 작중인물, 더 복잡하게 뒤얽힌 플롯, 더욱 폭넓게 발전하는 분위기보다 더 지속적이고 미묘한 작중 인물의 탐구를 가능케 한다. 따라서 패러독스를 포함한 다원다중적 기술이 가능하며, 이론적 사변을 초월한 복잡하고 무정형한 인간심리와 사회적 현상을 다루는 데에 한층 더 적합하기 때문에, 근대 소설가들은 실증적인 현실인식과 인간탐구의 수단으로 장편소설을 이용하려고 했다.

발자크·졸라·톨스토이·도스토예프스키·디킨스·새커리 등의 장편소설, 로맹 롤랑, 쥘 로맹, 토마스 만의 대하소설은 그러한 야심이 빚어낸 훌륭한 성과이다. 한편 19세기적 실증주의 사조가 쇠퇴하고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1913~27)나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 Ulysses〉(1922)와 같이 관찰자와 관찰대상, 주관과 객관의 소박한 이원론에 의문을 던져 소설관의 전환을 강요하는 작품들이 출현하자, 현실인식의 노력 자체가 인식의 불가능성을 드러냄으로써 장편소설의 성립기반을 무너뜨렸다. 그후에도 포크너·뷔토르·마르케스 등 이 장르의 부활을 꾀한 작가도 많았지만 범람하는 장편소설의 통속성은 막기 어려웠다. 그런 의미에서 사르트르의 〈자유에의 길 Les Chemins de la liberté〉(1945~49)이 미완성으로 끝난 것은 매우 상징적이다. 장편소설에 대한 이론적·역사적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립한 사람으로는 G. W. F. 헤겔, G. 루카치, M. 바흐친, R. 지라르, L. 골드만 등을 들 수 있다.

율리시스 (Ulysses)
율리시스 (Ulysses)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한국의 소설 가운데 장편소설에 속하는 대표작으로는 이광수의 〈무정〉, 염상섭의 〈삼대〉, 김동인의 〈대수양〉, 박경리의 〈토지〉, 황석영의 〈장길산〉, 조정래의 〈태백산맥〉 등을 들 수 있다.→ 소설

이광수
이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