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기국론

이통기국론

다른 표기 언어 理通氣局論 동의어 이기론

요약 이이는 서경덕의 기일원론에 대해서 담일청허지기에 관한 견해를 비판하면서 이통기국론을 내세웠다. 서경덕은 사람을 포함한 우주 만물이 모두 기에 의해 생겨났으며, 그 기의 본연인 담일청허지기는 모든 사물에 보편적으로 존재한다고 했다. 그런데 이이는 모든 사물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형체가 없는 이인데, 이러한 측면을 가리켜 이통이라고 했으며, 구체적 형체를 갖추어 존재할 수밖에 없는 기는 그 형체에 따라 차별적으로 드러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측면을 가리켜 기국이라고 했다. 이러한 이통기국론은 이이가 이일분수설을 이해하는 데 영향을 미쳐 주자성리학의 이일분수설과는 다른 견해를 정립하게 된다. 이일분수설은 이이에 의해서 사물에 내재하는 이의 보편성과 차별성을 통일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으로 변했다.

이이는 조선 성리학의 대표적인 철학적 세계관으로 이황(李滉)의 이기이원론과 서경덕의 기일원론을 들고, 그 견해들을 비판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세웠다. 이기이원론에 대해서는 이기호발설의 잘못을 지적하면서 기발이승일도설을 주장했고, 기일원론에 대해서는 담일청허지기에 관한 견해를 비판하면서 이통기국론을 내세웠다.

이이(李珥)
이이(李珥)

서경덕은 사람을 포함한 우주 만물이 모두 기에 의해 생겨났으며, 그 기의 본연인 담일청허지기는 모든 사물에 보편적으로 존재한다고 했다. 그런데 이이는 모든 사물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형체가 없는 이인데, 이러한 측면을 가리켜 이통이라고 했으며, 구체적 형체를 갖추어 존재할 수밖에 없는 기는 그 형체에 따라 차별적으로 드러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측면을 가리켜 기국이라고 했다. 그는 이러한 차이를 그릇에 담은 물에 비유했는데, 그릇의 모양이 서로 다른 것은 기국이며 그 그릇 속에 담긴 물이 모두 같은 것은 이통이라 했다.

이러한 이통기국론은 이이가 이일분수설을 이해하는 데 영향을 미쳐 주자성리학의 이일분수설과는 다른 견해를 정립하게 된다. 주자성리학에서의 이일분수설은, 이의 시원적 존재이자 궁극적 실체인 '이일'로서의 태극과 그 태극의 '분수'로서 개별 사물 속에 각각 존재하는 이, 즉 성은 결국 같은 것이라는 점을 설명하는 이론이었다. 그런데 이이는 "천지의 이는 만물의 이며, 만물의 이는 곧 오인의 이가 된다"고 하여, '이일'이라는 개념을 모든 개별 사물 속에 존재하는 이가 보편적인 것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동시에 사물에 내재한 이는 사물의 형기를 구성하는 기와 불가분의 것이기 때문에 "인의 성이 물(物)의 성이 아니며 개의 성이 소의 성과 다르게 되는 것"이라 하여 이것을 '분수'라고 했다.

이이는 분수라는 개념으로 구체적 사물에서 기와 결합하여 존재하는 이, 즉 성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설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일분수설은 이이에 의해서 사물에 내재하는 이의 보편성과 차별성을 통일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으로 변했다. 그리고 이일분수설에 대한 그의 이러한 이해는, 사물에 내재하는 이의 보편성과 차별성을 각각 '이통'과 '기국'에 의한 것으로 파악하는 이통기국론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즉 이의 본연은 만물에 보편적인 것이나, 구체적 형체를 갖춘 기와 결합하여 존재하는 개별적인 이는 기국에 규정되어 서로 다르다고 한 것이다.

그후 이이의 이기론을 계승한 주기파는 모두 이통기국론에 따라 '이동기이'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으나, 인물성의 동이 문제를 둘러싸고 그에 대한 이해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호론과 낙론으로 분열되었다. 이이의 견해를 충실히 따른 호론의 경우 성은 이미 기국에 의해 규정된 것이기 때문에 인성과 물성이 다르다고 했으나, 낙론의 경우는 성은 곧 '이일'로서의 이(理)이기 때문에 인성과 물성이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