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어

이집트어

다른 표기 언어 Egyptian language

요약 나일 강 유역에서 쓰이던 언어.

지금은 사라진 이집트어는 셈어군·쿠시어군·차드어군 및 베르베르어군과 함께 함셈어족에 속한다.

학자들은 이집트어로 씌어진 문헌을 바탕으로 하여 이집트어사를 대개 고대 이집트어(BC 3000~2200경), 중기 이집트어(BC 2200경~1600경), 후기 이집트어(BC 1550~700경), 민중문자 시대의 통속 이집트어(BC 700~AD 400경), 콥트어(2~17세기경) 등 다섯 시기로 나누고 있다. 고대 이집트어에 대한 지식을 제공해준 주요자료로는 사람의 일생을 다룬 전기 문헌(제3왕조 말기인 BC 2575경 시작), 제4~6왕조(BC 2575경~2150경) 시대에 왕들이 내린 포고령, 제5·6왕조(BC 2465경~2150경) 시대에 왕이 죽은 뒤 명복을 비는 주문인 피라미드 문헌 등이다.

피라미드 문헌의 일부 구절은 제1왕조(BC 2925경~2775경)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학자들은 중기 이집트어를 이 언어의 고전 단계로 간주하고 있다. 문어는 BC 2200년경의 구어에 바탕을 두고 있다. 아크나톤(아멘호테프 4세)이 다스리던 시기(BC 1353~36)에 후기 이집트어 문어가 중기 이집트어 대신 공용어가 되었지만, 중기 이집트어는 그리스도교 시대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기념비의 비문과 일부 문학작품에 계속 사용되었다.

BC 196년경 제작된 로제타석의 상형문자는 고전어를 기록하려는 시도였다. 후기 이집트어 문헌은 몇몇 비문에도 남아 있지만 주로 필사본이다. 후기 이집트어와 그 이전 단계의 이집트어 사이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는데, 정관사와 부정관사의 사용과 수많은 음운변화가 이런 차이점에 속한다. 민중문자 시대의 통속 이집트어는 이집트가 페르시아·그리스·로마의 지배를 받던 시기에 줄곧 쓰인 언어였다.

통속 이집트어 문헌은 대부분 법률관계 서류이지만, 문학작품과 종교문헌에도 존재한다. 로제타석의 중간 부분은 통속 이집트어 문자의 좋은 보기이다. 통속 이집트어로 된 비문들 중에는 상형문자로 표기된 것도 일부 있다. 최후의 통속 이집트어 비문은 5세기말의 것으로, 나일 강 필라이 섬에 있는 이시스 신전에서 발견되었는데, 이곳에서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527~565 재위) 시대까지 이시스 여신 숭배가 계속 허용되었다.

이교사상이 그리스도교 사상으로 변하자 주로 그리스도교의 종교문헌에 사용된 콥트어가 통속 이집트어로 완전히 대치되었다. 콥트어는 주로 이교의 토착용어를 그리스식 종교용어 표현으로 바꾸었다는 점에서 통속 이집트어와 다르다. 여러 단계의 이집트어 가운데 낱말의 철자가 그 발음을 명확하게 반영한 것은 콥트어뿐이다. 마지막으로 만들어진 콥트어 문헌은 14세기의 것이다.

이집트어는 원래 상형문자로 표기했다.

기념비의 상형문자는 BC 3000년경부터 AD 3세기까지 사용되었다. 표기된 상형문자는 신성문자와 민중문자로 발전했다. 가장 오래된 신성문자는 제1왕조(BC 2925경~2775경) 시대의 것이다. 민중문자는 통속 이집트어 시대의 언어를 표기하는 데 쓰였다. 제26왕조(BC 664~525) 이후 신성문자는 주로 파피루스에 종교문헌이나 전통적 문헌을 베껴 쓸 때에만 사용된 반면 민중문자는 그밖의 모든 목적에 사용되었다.

콥트어는 그리스 문자에 민중문자의 7개 자모를 추가한 문자체계로 표기되었다. 이집트어는 각 단계마다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분류했다. 초기 단계에서는 접미사를 붙여 동사를 변화시켰다. 그러나 후기 이집트어 시대에 이르자 접미사 대신 동사적 명사를 포함한 동사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동사를 나타내게 되었다.→ 콥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