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우

유성우

다른 표기 언어 meteor shower , 流星雨 동의어 별똥비

요약 거의 같은 장소, 같은 시간에 수많은 유성체들이 동시에 지구대기로 진입하여 빗줄기처럼 보이는 현상. 대부분 소행성이나 혜성의 잔해가 있는 공간을 지구가 지나갈 때 발생한다. 흔히 8월의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11월의 사자자리 유성우,12월의 쌍둥이자리 유성우를 3대 유성우로 부른다.

목차

접기
  1. 정의
  2. 현상
  3. 명칭
  4. 3대 유성우
    1.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2. 사자자리 유성우
    3. 쌍둥이자리 유성우

정의

같은 장소, 같은 시간에 많은 유성(별똥별)들이 지구의 대기로 동시에 진입하는 현상. 비슷한 시간대에 여러 별똥별이 내리는 모습이 마치 비(雨)가 내리는 것 같다고 해서 유성우(流星雨)라 부른다.

현상

이들은 서로 평행한 경로를 따라 움직이지만 겉보기에는 공통의 원점을 가진 것처럼 보인다. 많은 유성우들이 혜성과 연관되어 있다. 몇몇 유성우는 1년을 주기로, 다른 몇몇은 상당히 긴 주기를 가지며, 유성우의 원인이 되는 천체 궤도와 지구 궤도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혹은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1945년 이후에는 레이더 관측을 통해 유성우가 광학적으로 보이지 않는 낮에도 규칙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유성우
유성우

명칭

유성의 이름은 보통 유성우의 복사점(원근감 때문에 서로 나란한 유성의 궤적들이 시작되는 것처럼 느껴지는 점)이 위치한 별자리 또는 그 별자리 별의 이름을 따서 붙인다. 몇몇 유성우, 예를 들면 오늘날 안드로메다 자리 유성우(Andromedide)라고 하는 비엘라 유성우와 같은 것은 관련된 혜성의 이름을 따서 붙였다.

1913년의 키릴로스 유성우는 복사점이 없었는데, 지구 주위를 원궤도로 돌면서 대기로 진입한 것 같았다. 이것은 알렉산드리아의 성 키릴로스의 축일(2월 9일)에 관측되어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하룻밤 동안 수십 만 개의 유성이 관측되었던 1833년 11월 12일의 사자자리 유성우는 북아메리카 전역에서 볼 수 있었으며, 처음으로 유성우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시작하게 만든 유성우였다. 나중에 이 유성우는 33년을 주기로 반복됨이 밝혀졌고, 발생기록을 902년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찾아볼 수 있다.

3대 유성우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사자자리 유성우, 쌍둥이자리 유성우를 흔히 3대 유성우로 부르며, 사자자리 유성우 대신 1월의 사분의자리 유성우를 3대 유성우에 포함하기도 한다.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매년 7월 중순부터 8월 말까지 페르세우스자리에서 나타나는 유성우로, 약 133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는 스위프트-터틀(Swift–Tuttle) 혜성에서 나온 작은 조각들이 있는 지역을 지구가 지나갈 때 발생한다. 보통 8월 중순 무렵 시간당 평균 60~90개 정도의 유성을 볼 수 있다.

사자자리 유성우

매년 11월 중순 나타나는 유성우로, 사자자리 유성우는 유성의 궤적이 시작되는 지점인 ‘복사점'이 사자자리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태양 주위를 약 33년 주기로 공전하는 템펠-터틀 혜성(55P/Tempel-Tuttle)의 잔해가 있는 우주 공간을 지구가 지나갈 때 발생한다. 1998년 템펠-터틀 혜성이 태양 근처를 지나며 남긴 잔해 속을 2001년 11월 지구가 통과했을 때에는 한 시간에 5,000여 개의 유성이 관찰되기도 했다.

쌍둥이자리 유성우

매년 12월에 나타나는 유성우로, 소행성 3200파에톤(3200 Phaethon)이 태양의 중력에 의해 부서진 잔해가 남은 우주 공간을 지구가 통과하면서 나타나는 유성우이다. 2023년 쌍둥이자리 유성우 극대시간은 12월 14일과 15일 사이이며, 시간당 최대 관측 가능한 유성수(ZHR)는 약 120개이다.

참고문헌

・ 한국천문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