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르바노 8세

우르바노 8세

다른 표기 언어 Urbanus VIII
요약 테이블
출생 1568. 4. 5, 피렌체에서 세례받음
사망 1644. 7. 29, 로마
국적 바티칸시티

요약 교황(1623~44 재위).
(영). Urban Ⅷ. 본명은 Maffeo Barberini.

피렌체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여러 중요한 성직에 임명되었다.

프랑스 교황사절을 지냈고(1601), 나자렛 대주교와 파리 교황대사를 겸직했다(1604). 교황 바오로 5세에게 1606년 추기경, 1608년 스폴레토의 주교로 임명을 받았다. 이 기간 동안 통찰력 있는 정치가가 되어 친구를 많이 사귀었으며, 정적들은 별로 없었다. 1623년 8월 6일 교황 그레고리오 15세의 후임으로 교황에 선출되었다.

우르바노 8세가 교황으로 재위하던 기간은 프랑스의 추기경 리슐리외가 활동하던 시기와 30년전쟁의 중요한 시기에 해당한다.

그의 후임 교황 인노첸시오 10세와 비교해볼 때 그는 철저히 친프랑스 정책을 폈고, 독일에 있는 로마 가톨릭 세력들을 적대시한 듯하다. 실제로 그는 어느 곳에서나 프로테스탄티즘이 말살되기를 바랐지만, 합스부르크가(家)가 이탈리아를 지배할 것을 두려워해 그들의 지원을 거부하고 결국 그들의 적인 리슐리외와 손을 잡았다.

이 연합으로 자칭 로마 가톨릭 교회의 수호자로 여겨온 합스부르크가의 위신이 깎이고 30년전쟁은 왕조의 이해가 걸린 투쟁으로 치달았으며, 그결과 프로테스탄티즘에 승리를 안겨주었다기보다는 독일의 몰락을 가져왔다. 우르바노는 교황청의 재원과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로마에 있는 '산탄젤로 성'을 요새화했다(1624~41). 또한 카스텔프랑코에 우르바노 요새를 세웠고, 시비타베키아를 군항을 낀 번성한 항구도시로 개조했으며, 티볼리에 있는 무기고를 확장했다.

1626년에는 우르비노 공작령을 확보함으로써 교황령은 이탈리아 중부를 지배하는 짜임새있고 잘 방어된 구역이 되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방대한 요새건설 및 국방계획을 추진했기 때문에 우르바노는 대규모의 족벌주의를 꾀한다고 비난을 받았다. 가문의 부(富)와 연관된 그의 건축 사업, 예를 들면 간돌포 성에 지은 웅장한 교황 별장, 사치스런 광장들, 분수들은 교황청 재정을 고갈시켰다.

이탈리아 북부에 대한 우위권을 확보하기 위해 1642년에 자신이 직접 파문한 바 있는 파르마의 공작 오도아르도 1세 파르네세를 상대로 카스트로 전쟁(1642~44)을 시작했으나, 1644년 3월 패배하여 굴욕을 당하는 것으로 끝났다.

그당시 베네치아·토스카나·모데나 공국이 파르마를 지키기 위한 반(反)교황동맹을 맺었고, 프랑스도 오도아르도 편에 서서 개입했다. 1644년 3월 31일 베네치아에서 평화협정이 체결된 뒤 우르바노는 곧 죽었다. 우르바노가 교회를 대상으로 벌인 사목은 매우 다양하다(선교). 선교사들을 양성하기 위해 1627년 콜레지움 우르바눔을 세웠고, 1633년 중국과 일본에 선교사들을 다시 파송할 것을 공포했다(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1585년 이 두 나라에 대해서 선교중단을 결정한 바 있음). 1643년 6월에 공포한 교황칙서 〈In eminenti〉를 통해서 얀센주의(하느님의 주권을 강조하고 인간의 자유의지를 경시한 프랑스에서 일어난 운동)의 교리들을 단죄했다.

반대로 방문수도회와 라자로회를 포함한 신설 수도회들을 승인하고 여러 차례 시성식(諡聖式)을 거행했는데, 이때 시성된 사람들로는 포르투갈의 엘리사벳, 프란치스코 보르자, 천주의 요한 등이 있다. 또한 그는 성무일도서, 미사경본, 주교 예식서의 개정판들을 펴냈다. 우르바노는 예술을 장려하여 바로크 시대의 중요한 조각가이자 건축가인 조반니 로렌초 베르니니의 대표적인 후원자였는데, 그의 위탁으로 제작된 베르니니의 뛰어난 작품들 가운데는 로마에 있는 성베드로 대성전의 개랑(開廊 loggias)과 그 대성당 안에 있는 우르바노의 묘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