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마스쿠스의 요한

다마스쿠스의 요한

다른 표기 언어 요한네스 , Johannes Damascenus
요약 테이블
출생 675경, 다마스쿠스
사망 749. 12. 4, 예루살렘 근처

요약 서방교회 축일은 12월 4일. 동방교회의 수사, 그리스와 라틴 교회의 신학박사.
(영). Saint John of Damascus/Saint John Damascene.

성화상 공경에 대한 논문을 써서 8세기 성상파괴 논쟁의 전면에 서게 되었고, 신학을 종합함으로써 그리스와 중세 라틴 문화의 뛰어난 중재자가 되었다.

아버지를 계승하여 이슬람교 칼리프의 세무소 관리가 되었고, 정부 관리로 있는 동안 비잔티움 황제 레온 3세와 성상파괴론자들에 맞서 성화 공경을 옹호하는 3권의 〈성상에 관한 논고 Discourses on Sacred Images〉(730경)를 썼다.

754년 히에라 공의회에서 성상파괴론자들의 압력으로 파문당했다(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는 이 파문을 번복함). 730년이 지나서 예루살렘 근처 마르사바에서 수사가 되었고, 이곳에서 여생을 보내면서 연구·집필·설교에 몰두했으며, '황금 연설자'(그리스어로 '황금 냇물'이라는 뜻의 Chrysorrhoas 직역임)라는 이름을 얻었다.

150권가량 되는 그의 저서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그리스도교 철학 및 교리를 종합한 〈지식의 원천Pēgē gnōseōs〉으로서, 이 책은 중세 라틴 사상의 흐름에 영향을 끼쳤고, 그리스 정교회 신학의 주요교과서가 되었다. 743년경에 개정된 이 책은 다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철학 부분(Dialectica)은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에 대한 개론서인 3세기말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포르피리우스의 〈서설 Isagoge〉을 대부분 인용했다. 역사 부분은 4세기 그리스인 성직자 에피파니우스가 이단들에 대해서 쓴 〈Panarion〉을 옮겨 썼으며, 가장 널리 알려진 신학 부분은 '정통신앙에 대한 해석(Ekthesis)'으로 이루어졌다.

이 책은 4세기 카파도키아 교부들인 바실리오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의 사상을 요약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로 표현한 것이다. 이 책을 보면 그가 안티오키아의 분석신학을 담고 있는 본문들과 주석들을 독창적으로 선택했음을 알 수 있다. '정통신앙에 대한 해석'은 동방 언어들과 라틴어로 번역됨으로써 동방과 서방의 사상가들에게 논리적·신학적 개념의 자료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양식을 제시하여 훗날 중세 스콜라 신학자들이 이룩한 신학적 종합의 전형이 되기도 했다.

하느님의 본질과 존재에 관해 사색한 '정통신앙에 대한 해석'은 후대의 신학자들에게 쟁점들을 제공했다. '정통신앙에 대한 해석'은 또한 자유로운 선택의 본질과 의지를 분석한다. 저자는 구원에 대한 개인의 책임을 논하는 그리스도교 교리에 비추어 이 문제를 민감하게 다룬다. 그는 인간의지를 선을 향한 이성적인 욕구 혹은 성향으로 보았는데, 인간의지가 수단보다는 목표에 초점을 두고 움직이며, 이성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본다.

〈지식의 원천〉에 버금가는 책은 도덕 교훈을 모아 놓은 〈거룩한 유사물 Sacred Parallels〉이다. 이 책은 성서 본문들과 교부들의 저서에 나오는 교훈들을 간추린 것이다. 문학저서들 가운데는 복잡한 구조로 된 여러 〈카논 kanōn〉(그리스 전례를 위한 찬송)이 있다. 그러나 전례 시에 대한 명성이 높았는데, 그것은 주로 동방교회의 찬송가인 〈Octoēchos〉를 개정한 데서 비롯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