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아전

외아전

다른 표기 언어 外衙前

요약 조선시대 지방관사와 군영에서 서기·사역·잡무 등에 종사하던 서리.

아전이란 이들의 집무소가 관아 앞에 있어 비롯된 말이다. 향리부터 관속까지 포함하는 용어로 종류와 업무가 다양했다. 호장·6방(六房)을 비롯해서 나장·일수·서원·전수(典守 : 창고지기)·지인·사령·관아직속군·관청수공업자까지도 포함한다.

조선시대 이들은 향리나 천인으로 천대받았으며, 역은 자손에게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들은 지방행정의 실무를 장악하여 수령들이 함부로 다루지 못했다. 특히 이들에게는 녹봉이 없으며 조세수취, 관아의 경비나 수령의 접대비 및 잡비 조달 등의 책임이 있었으므로 관권과 실무를 무기로 모리행위를 하는 경우가 많아 커다란 폐단을 낳기도 했다. 반대로 이들은 향소와 지방관 사이에서 침학을 당하는 존재이기도 했다.

아전도 하나의 역이므로 이들에게는 다른 국역을 면제했는데 이로 인해 피역의 수단으로도 널리 활용되었다. 즉 예차아전(預差衙前)이라 해서 관아에서 정액 이상의 아전을 미리 확보하는 것이다. 이들은 실제로 아전으로 근무하지 않고 일정한 역가를 관청에 납부했다. 이는 국역부담인을 크게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각종 지방관아에서 자신의 수입증대를 위하여 정규 국역인의 보인까지 강제로 아전으로 차출하는 등 큰 문제가 되었다. 이 현상은 특히 양계지방에서 심했다고 한다.→ 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