엇시조

엇시조

다른 표기 언어 旕時調

요약 시조 형태의 하나. 중형시조에 해당한다. 시조는 문학상 평시조·엇시조·사설시조로 분류해왔는데 이는 형태상 단시조·중시조·장형시조로 부를 수 있다.

'旕'자는 '於'에 '口'를 합한 자로 우리말 '엇'의 음차자(音借字)이다. 엇은 횡(橫)으로 비끼다·빗나가다·엇되다·엇갈리다·얼치기·중간치기의 뜻을 지니므로 엇시조는 정격형이 아닌 변격형에 속한다. 초장·중장·종장의 어느 한 장이 규칙 이상으로 길어진다.

평시조의 기본형은 3장 6구 12음보로 자수율이 '3·4 3·4 3·4·3·4 3·5·4·3'을 구성한다. 엇시조는 이 평시조의 기본형에서 어느 한 구의 자수가 벗어난 경우인데 보통은 초장 제1구 또는 제2구가 되는 일이 많고 그 자수가 10자 이상으로 늘어나게 된다. 만일 늘어난 부분이 종장일 경우 제1구는 변하지 않고 제2구가 9자 이상으로 벗어나게 된다.

예를 들어 "약산동대(藥山東臺) 여즈러진 바회틈에 왜철죽같은 저내님이/내눈에 덜밉거든 남인들 지나보랴/새많고 쥐꼬인 동산에 오조 간 듯 하여라"와 같은 시조에서 초장 첫구가 4·4·4로 기본형의 자수율 3·4에서 5자 정도 벗어났다. 첫구가 벗어났으므로 그다음 구가 보통은 3·4가 되어야 하는데 첫구에서 부드럽게 넘어들게 하기 위해 5·4로 역운(逆韻)을 이루었다. "앞못에 든 고기들아 뉘라서너를 몰아다넣거늘 든다/북해청소(北海淸沼)를 어디두고 이곳에와 든다/들고도 못나는정은 네오내오 다르랴"에서는 초장 제2구가 5·6·2로 기본 자수율에서 6자나 벗어났다.

창법상 엇시조는 사설지름시조를 말하며 가곡의 언낙(言樂) 곡조 형태와 같은 것이라고 보기도 하며, 사설자수를 제 위치에서 되풀이하는 것이 아니라, 제 위치를 떠나 박자 범위 안에서 들고 나는 기교적인 창법으로 보기도 한다. 심재완의 〈역대시조전서〉에 수록된 3,335수의 시조 가운데 325수가 엇시조 형태이다. 평시조가 강호자연류와 교훈류 시조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엇시조는 애정류 시조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