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키

아스키

다른 표기 언어 ASCII 동의어 미국정보교환표준부호,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요약 미국정보교환표준부호(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ASCII)의 약어로, 소형컴퓨터에서 문자 데이터(문자, 숫자, 문장 부호)와 비입력장치 명령(제어문자)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표준 데이터 전송 부호.

아스키(ASCII)
아스키(ASCII)

다른 부호체계와 마찬가지로 ASCII 역시 정보를 표준화된 디지털 형식으로 바꿈으로써 컴퓨터 상호간에 정보를 주고받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 및 저장할 수 있게 해준다.

ASCII 부호는 원래는 텔레타이프 타자수를 위해 개발된 것이지만,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PC)에 널리 쓰이게 되었다. 표준 ASCII 부호는 7자리의 이진수(0과 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수)를 사용한다. 0과 1로 이루어진 7자리 수의 조합은 모두 128가지이기 때문에 이것은 128가지 문자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1010000은 'P'를 나타내고, 1110000은 소문자 'p'를 나타낸다.

디지털컴퓨터에서는 7자리 이진수인 7비트보다는 8자리 이진수인 8비트의 이진수를 사용한다. 이러한 단위를 바이트(byte)라 부른다. 디지털컴퓨터에서 8비트 바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ASCII 코드는 일반적으로 7비트의 정보 외에 에러 검색용 또는 특수기호를 나타내는 패리티 비트(parity bit)를 추가하여 8비트를 이룬다. 8비트 체계를 사용함으로써 ASCII 코드가 나타낼 수 있는 문자의 수는 256가지로 늘어났다.

확장 ASCII 코드라고 부르는 8비트 체계는 1981년 국제사무기기회사(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IBM)에서 생산하기 시작한 PC의 첫 모델에 사용되었다. 확장 ASCII 코드는 곧 컴퓨터산업에서 PC의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여기서는 32개의 부호 조합은 '문장의 시작', '자판의 Return', '문서양식 전달'과 같은 기계 및 제어 명령에 사용되고, 그 다음 32개의 조합은 숫자와 여러 가지 문장 부호에 사용되고, 그 다음 32개의 조합은 대문자 및 기타 문장 부호에 사용되고, 나머지 32개의 조합은 소문자에 사용된다.

메인프레임 컴퓨터와 미니컴퓨터에는 확장이진화십진부호(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EBCDIC)가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