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어

아랍어

다른 표기 언어 Arabic language 동의어 아라비아어

요약 고전 아랍어라고도 하는 아랍 문어는 〈코란〉에 사용된 바로 그 언어인데, 현대에서는 약간 수정되어 사용된다. 아랍어는 모든 아랍 세계에서 똑같은 형태로 쓰인다. 가장 오래 된 것으로 알려진 아랍 문어는 328년에 만들어진 왕족 장례식의 비문이다.
아랍 어의 음운 체계는 영어를 비롯한 유럽에서 사용되는 다른 언어들의 체계와 매우 다르며 전형적인 셈어의 단어구조가 완전히 발달한 모습을 보여준다. 아랍어의 동사는 활용면에서 보면 규칙 변화하며 1인칭의 양수와 성의 구별이 없다. 아랍 세계에서 문맹자가 점차 줄어들고 고등교육이 늘어남에 따라 구어 방언들에 대한 고전 아랍어의 영향도 점점 커지고 있다.

이슬람교의 경전인 〈코란〉에 쓰였고, 모든 이슬람교도가 쓰는 종교 언어이다. 보통 고전 아랍어라고도 하는 아랍 문어는 〈코란〉에 사용된 바로 그 언어 형태인데, 현대에서는 약간 수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언어는 모든 아랍 세계에서 똑같은 형태로 쓰고 있다.

언어
언어

아랍어 구어에는 많은 방언이 있는데, 이들 가운데는 서로 뜻이 통하지 않는 것도 약간 있다. 주요방언군에는 아랍·이라크·시리아·이집트·북아프리카 방언들이 있다. 알제리아 방언을 제외한 모든 아랍 방언은 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왔다.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아랍 문어는 328년에 만들어진 왕족 장례식의 비문이다.

아랍어의 음운체계는 영어를 비롯한 유럽에서 사용되는 다른 언어들의 체계와 매우 다르다. 여기에는 뚜렷한 후두음(인두마찰음 및 구개수마찰음)이 여러 개 있고, 인두를 수축시키면서 혀뿌리 부분을 위로 올려 발음하는 일련의 연구개음화한 자음이 있다. 단모음 'a·i·u'와 3개의 장모음 'ā·ῑ·ū'도 있으며, 아랍어의 단어들은 1개의 자음으로 시작하여 뒤에 모음이 따르고, 장모음 뒤에 1개 이상의 자음이 오는 경우는 드물다.

또한 아랍어에는 2개 이상의 자음으로 구성되는 자음군은 없다. 아랍어는 전형적인 셈어의 단어구조가 완전히 발달한 모습을 보여준다. 아랍어 낱말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3개의 자음으로 구성되어 낱말의 기본적인 사전적 의미를 나타내는 어근과, 모음으로 구성되어 말에 문법적 의미를 부여하는 어형부분이다. 따라서 어근 'ktb'에 어형 '-i-ā-'가 결합되면 'kitāb'(책)가 되는 반면, 같은 어근에 어형 -ā-i를 합치면 'kātib'(쓰는 사람, 즉 서기)가 된다. 또한 아랍어는 접두사와 접미사를 이용하여 주어역할과 대명사·전치사·정관사 구실을 하게 한다.

아랍어의 동사는 활용면에서 보면 규칙변화한다. 2가지 시제가 있는데, 접미사를 덧붙여 만든 완료시제는 주로 과거를, 접두사·수·문법성을 나타내는 접미사를 덧붙여 만든 미완료시제(반과거시제)는 종종 현재나 미래를 나타내는 데 쓰인다. 이 두 시제 외에도 명령형, 능동분사, 수동분사, 동사적 명사가 있다.

동사는 3인칭, 3가지 수(단수·양수·복수), 2성에 따라 변화된다. 고전 아랍어에는 1인칭의 양수와 성의 구별이 없으며, 따라서 현대의 방언에는 모든 양수의 형태가 없다. 고전 아랍어에는 또한 수동태라고 할 수 있는 형태가 있다. 고전 아랍어에서 명사의 격변화 체계에는 3개의 격인 주격·소유격·목적격이 있는 반면, 근대방언에서는 명사가 더이상 격변화하지 않고 있다. 대명사는 접미사뿐만 아니라 독립된 낱말로도 쓰인다. 아랍 세계에서 문맹자가 점차 줄어들고 고등교육이 늘어남에 따라 구어 방언들에 대한 고전 아랍어의 영향도 점점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