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보시

승보시

다른 표기 언어 陞補試

요약 조선시대 과거시험의 하나.

소과 초시에 해당하는 시험으로, 합격하면 복시에 응시할 수 있었다. 성균관 대사성이 사학유생을 대상으로 매달 1일과 15일에 부 1편, 고시 1편을 시험보았다. 연말에 분수를 계산해 10분 이상인 자를 골라 예조에 보고해서 복시에 응시할 자격을 주었다. 1년에 24회로 시험이 너무 잦아 〈속대전〉에서 1년 10회로 줄였다가, 〈대전통편〉에서 다시 12회로 늘렸다. 외방의 개성과 제주에서도 시험을 보았는데 개성은 4명, 제주는 2명을 뽑아 소과 복시의 응시자격을 주었다. 1793년(정조 17)에는 수원에서도 시험을 보았다.→ 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