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브어군

슬라브어군

다른 표기 언어 Slavic languages

요약 동유럽의 대부분 지역, 발칸 반도, 중부 유럽의 일부 지역 및 아시아 북부지방에서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어군.
Slavonic languages라고도 함.

슬라브어군은 발트어군에 속한 언어들, 즉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 지금은 사라진 고대 프로이센어 등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학자들은 슬라브어군을 3갈래로 분류하는데, ① 유고슬라비아에서 쓰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슬로베니아어, 불가리아와 그 인접 지역에서 쓰는 불가리아어, 유고슬로비아와 인접한 그리스 일부 지역에서 쓰는 마케도니아어 등으로 이루어진 남슬라브어군, ② 체크어와 슬로바키아어, 독일 동부지역에서 쓰는 루사티아어(또는 소르비아어) 및 레키트어(폴란드어 및 그것과 관련이 있는 방언들)로 이루어진 서슬라브어군, ③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소러시아어), 벨라루스어(백러시아어)로 이루어진 동슬라브어군이 있다.

슬라브어군을 이처럼 3갈래로 나누는 방법은 각 언어의 구어 방언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구어 방언들 가운데 이른바 과도(過度) 방언과 혼종(混種) 방언들은 슬라브어의 문어(표준어)들을 비교할 때는 분명히 나타나지 않는 유사점을 보이면서 종종 다른 언어들 사이의 틈을 이어준다. 그러나 다양한 슬라브 방언과 언어들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슬라브족에 속하는 여러 민족들 사이의 상호 의사소통은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매우 어려운 편이다. 슬라브어군 각각의 언어에는 여러 방언이 있는데, 러시아어의 경우처럼 방언들이 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고 슬로베니아어의 경우처럼 방언들이 서로 크게 다를 수도 있다.

그러나 근대의 대중 매체의 확산으로 인해 모든 슬라브어 사이의 차이점이 상당히 줄어들게 되었다.

슬라브어군은 조상 언어인 슬라브 공통 조어의 한 방언에서 유래했고, 슬라브 공통 조어의 조상은 발트 어군의 조상 언어인 발트 공통 조어의 조상이기도 하다. 발트어군과 슬라브어군의 공통된 조상인 이 고대 언어는 인도유럽어권이 여러 개의 방언지역으로 갈라진 뒤에(BC 3000경) 오늘날의 리투아니아를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리라 여겨진다.

슬라브족은 기원 후 몇 세기까지 카르파티아 산맥 북쪽에 살다가, 처음에는 서쪽과 동쪽으로, 다음에는 카르파티아 산맥 남쪽과 산맥 주변지역으로 급속히 확산되기 시작하여, 6세기에는 다뉴브 강 전유역에 모습을 나타내게 되었다.

슬라브족은 이 무렵에는 여러 집단으로 나뉘어 있었지만 근본적으로는 동일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모든 언어가 그렇듯이 이들의 언어는 지역 방언으로 나누어졌지만, 그 차이점은 거의 무시해도 좋을 만큼 미미한 것이었다. 슬라브족은 9~11세기에 나라를 세우기 시작했다. 10~12세기 슬라브어 방언들은 모음 체계에 중요한 변화를 일으켰는데 이 변화는 각 방언마다 서로 다른 결과를 낳았고, 결국 슬라브어군에서 오늘날 구분하고 있는 것과 비슷한 별개의 어군들로 발전하게 되었다. 역사적 사건과 외국 문물의 영향도 남슬라브어군과 서슬라브어군 사이의 관계 및 남슬라브어군과 동슬라브어군 사이의 관계를 단절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9세기에 성 키릴로스와 성 메토디오스가 발전시킨 교회 슬라브어는 지역 방언의 영향으로 차츰 변화했고, 슬라브족의 문어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11세기에 이르러 교회가 그리스 정교회와 로마 교회로 분리되자, 교회 슬라브어는 서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지역과 남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대다수 서부지역에서 탄압을 받았다. 오늘날 동부와 남동부에서 쓰는 슬라브어는 성 키릴로스가 만든 글라골 문자를 대신하는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 로마 가톨릭을 믿는 서슬라브족은 로마 문자를 사용한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는 민족에 따라 표기 문자가 다른데, 세르비아인과 몬테네그로인은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크로아티아인은 로마 문자를 사용한다.

슬라브어군의 어휘에는 고대에 이란어와 게르만어에서 단어를 차용한 흔적이 뚜렷이 나타나 있다. 각 언어의 어휘는 비교적 최근에 받은 지역적 영향을 반영하고 있는데, 서부에서는 독일어의 영향이 가장 중요하고 발칸 반도에서는 터키어의 영향이 가장 중요하다. 새로운 용어를 만들 때는 대개 그리스어와 라틴어 용어를 슬라브어에 맞게 변형했고, 슬라브어들 사이에서도 서로 어휘를 차용하는 일이 많았다.

접두사와 접미사를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도 슬라브어의 어휘 증가에 이바지했다.

슬라브어군은 슬라브 공통 조어의 격체계(주격·소유격·여격·대격·처소격·도구격·호격)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종합 언어라고 한다. 이는 어미로 문법 정보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슬라브어군 가운데 현대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는 분석어적 성격이 강한데, 이들은 어미보다 낱말의 순서로 문법 정보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동사는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과거와 현재 시제일 때 변화하고 2가지 상(相), 즉 완전히 끝난 행위를 나타내는 완료상과 끝나지 않은 행위를 나타내는 미완료상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