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

손자병법

다른 표기 언어 Suntzu pingfa , 孫子兵法 동의어 손자, 오손자병법, 손무병법

요약 춘추시대말 손무가 지었으며, <손자>·<오손자병법>·<손무병법> 등으로도 불린다. <한서> 예문지에는 82편, 도록 9권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 남아 있는 송본에는 계·작전·모공·형·세·허실·군쟁·구변·행군·지형·구지·화공·용간 등의 13편만이 전해진다. 1972년 산둥 성 린이 현에 있는 전한시대 묘에서 죽간으로 된 <손자병법> 13편이 출토되었는데 기본적으로 송본과 같다. 이 책은 춘추 말기의 군사학설 및 전쟁경험을 모두 묶은 책이다. 그 중에서 "적을 알고 나를 알면 100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우세한 병력의 집중, 민첩한 기동작전 등의 수많은 기본원칙은 전세계적으로 군사가들의 높은 평판을 얻었다. 영어·일어·프랑스어·독일어·체크어·러시아어·한국어 등으로 번역되었다.

손자병법(Suntzu pingfa)
손자병법(Suntzu pingfa)

〈손자 孫子〉·〈오손자병법 吳孫子兵法〉·〈손무병법 孫武兵法〉 등으로도 불린다. 춘추시대말 손무(孫武)가 지었다.

〈한서 漢書〉 예문지에는 82편, 도록 9권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지금 남아 있는 송본(宋本)에는 계(計)·작전(作戰)·모공(謨攻)·형·세(勢)·허실(虛實)·군쟁(軍爭)·구변(九變)·행군(行軍)·지형(地形)·구지(九地)·화공·용간(用間) 등의 13편만이 전해진다.

1972년 산둥 성[山東省] 린이 현[臨沂縣] 인췌 산[銀雀山]에 있는 전한시대 묘에서 죽간(竹簡)으로 된 〈손자병법〉 13편이 출토되었는데 기본적으로 당시 동행되던 송본과 같다. 그밖에 오문(吳問)·황제벌적제(黃帝伐赤帝) 등의 중요한 유실문이 있다. 이 책은 춘추 말기의 군사학설 및 전쟁경험을 모두 묶은 책이다. 그 가운데 "적을 알고 나를 알면 100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知彼知己百戰不殆), 우세한 병력의 집중, 민첩한 기동작전 등의 수많은 기본원칙은 세계 각국 군사가들의 높은 평판을 얻었다.

조조(曹操)를 포함한 11명이 주를 달았으며, 영어·일어·프랑스어·독일어·체크어·러시아어·한국어 등으로 번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