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모

섬모

다른 표기 언어 cilium , 纖毛

요약 대부분의 동물 조직세포에 다수로 존재하는, 짧고 속눈썹같이 가는 필라멘트 형태의 구조물. 복수형은 ‘cilia’, ‘ciliums’이다. 유모충아문에 속하는 원생동물의 이동수단으로 이용되며, 각 섬모들은 동물의 조직세포 안에서 함께 움직이며 장기의 기능을 돕는다.

목차

접기
  1. 개요
  2. 형태
  3. 활동
  4. 종류
  5. 활용
섬모(cilium)
섬모(cilium)

개요

동물 조직세포에 있는 구조물의 하나. 유모충아문에 속하는 원생동물의 이동수단으로 사용된다.

형태

편모와 같이 섬모는 2개의 중심섬유를 9개의 섬유가 에워싼 중심체[軸絲]로 구성되어 있다. 섬유들은 세포막과 연속된 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운동을 조절하는 기저체(basal body/kinetostome)는 섬모의 기부에 있는 세포 표면 바로 안쪽에 위치한다. 어떤 세포에는 표면 아래에 상피를 지지하거나 원생동물의 통합된 섬모운동을 돕는 역할을 하는 미세소관의 다발 또는 섬유상 세근망이 존재한다.

활동

섬모들은 종단 방향으로 융합해 막을 형성하거나 짧게 횡단으로 융합해 소막을 이루고, 여러 개가 모여 술을 형성하기도 한다. 또 각 섬모들은 모두가 통합된 운동을 해 포유류의 난세포를 난관으로 이동시키고, 조개류에서는 아가미를 지나 음식물과 산소를 운반하도록 물의 흐름을 일으키며, 달팽이류의 소화계에서는 음식물을 이동시킨다. 이 밖에도 동물의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CSF)을 순환시키며, 포유동물의 호흡계에서는 축적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종류

생물에 따라 변형된 섬모의 종류가 있다. 가령 해파리에서는 변형된 섬모에서 자침이 방출되고, 포유류의 망막에서는 변형된 섬모가 빛을 감지하는 간상세포를 이룬다.

활용

2020년 섬모의 한 종류인 원발성 섬모에 대해 연구한 연구진이 그 연구결과와 함께 이를 이용한 항암제가 개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 섬모의 구조를 활용하여 인간의 미세한 움직임을 읽을 수 있는 센서도 개발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