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옥한 초승달 지대

비옥한 초승달 지대

다른 표기 언어 Fertile Crescent

요약 이 용어는 미국의 동양학자 제임스 헨리 브리스테드가 처음 사용했다. 초승달 모양의 비교적 비옥한 지역에 걸쳐 있다. 남쪽 아라비아 사막과 북쪽 아르메니아 산맥 사이에 있으며, 바빌로니아와 그 주변의 수시아나에서 티그리스 강, 유프라테스 강을 거슬러 올라가 아시리아까지 뻗어 있다. 아시리아 동쪽에 있는 자그로스 산맥으로부터 서쪽의 시리아를 지나 지중해에 이르고 남쪽의 팔레스타인 남부까지 내려간다. 이집트 나일 강 유역까지 비옥한 초승달 지대로 포함시키는 경우가 많다.
<창세기>의 히브리인들 이야기에 나오는 지역과 일치하며, 그리스·로마 문명의 토대가 된 바빌로니아·아시리아·이집트·페니키아도 이곳에 있었다. BC 8000년경부터 원시농업이 이루어졌고 촌락이 형성되었으며 관개시설도 이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옥한 초승달 지대(Fertile Crescent)
비옥한 초승달 지대(Fertile Crescent)

이 용어는 미국의 동양학자 제임스 헨리 브리스테드(1865~1935)가 처음 쓰기 시작했다.

대체로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는 비교적 비옥한 지역에 걸쳐 있다. 아마 옛날에는 오늘날보다 더 온화하고 농사짓기에 좋은 기후였을 것이다. 특히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나일 강 유역은 농업 생산성이 높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남쪽의 아라비아 사막과 북쪽의 아르메니아 산맥 사이에 자리잡고서 바빌로니아와 그 이웃의 수시아나(페르시아 남서지방)에서 티그리스 강, 유프라테스 강을 거슬러 올라가 아시리아까지 뻗어 있다. 아시리아 동쪽에 있는 자그로스 산맥으로부터 서쪽으로 시리아를 지나 지중해에 이르고 남쪽으로 팔레스타인 남부까지 내려간다.

팔레스타인과 이집트 사이에는 시나이 반도가 있으나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 사이에 놓여 있는 사막보다 큰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집트의 나일 강 유역까지 비옥한 초승달 지대로 포함시키는 경우가 많다. 농업에 있어 만족스러운 수확을 얻으려면 이 지역 전역에 걸쳐 관개가 필요하며, 관개시설을 하지 않으면 농사를 지을 수 없는 곳도 많다.

넓게 잡아 나일 강 유역까지 포함하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는 〈창세기〉에 나타나는 히브리인들의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지역과 정확히 일치한다. 그리스·로마 문명의 토대가 된 고대국가인 바빌로니아·아시리아·이집트·페니키아도 이곳에 자리잡고 있었다.

인류가 알고 있는 최초의 문명이 이 초승달 지대에서 일어났다는 해묵은 믿음은 1948년 이후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이 발달하면서 정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BC 8000년경부터 원시적인 농업이 이루어졌고 촌락이 형성되었으며 관개시설도 이용했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