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표기 언어 rain

요약 물방울의 지름이 0.5㎜ 이상인 강수.

비(rain)
비(rain)

지름이 이보다 더 작은 경우는 이슬비라 한다(→강수). 빗방울의 개수는 100~1,000개/㎡이고, 이슬비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더 많다. 물방울은 4㎜ 이상의 지름을 가질 수 없는데, 이는 크기가 증가하면 물방울이 부서지기 때문이다. 지름이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개수밀도는 감소한다. 그렇기 때문에 비는 억수같이 쏟아질 때를 제외하고는 이슬비만큼 시정이 감소되지는 않는다.

기상학자들은 비를 강수강도에 따라서 분류한다. 즉 강수강도가 2.5㎜/h 이하일 때는 약한비, 2.8~7.6㎜/h일 때는 중간비, 7.6㎜/h 이상일 때는 강한비로 구분한다. 빗방울은 작은 물방울들의 충돌에 의한 병합과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눈송이나 빙정이 낙하하면서 지면 근처의 온난한 공기에 의해 녹으면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와이의 와이알레알러 산은 열대에서 부는 동풍에의해 20년 동안 연평균 1만 1,700㎜의 강수가 내린, 지구에서 가장 습윤한 지역이다. 그 다음으로는 아삼의 체라푼지 지역으로 습윤한 열대계절풍으로 인해 연평균 1만 1,430㎜의 강수가 내렸다. 전대륙을 통해 연평균강수가 가장 많았을 때는 대략 1,500㎜이고, 강수가 가장 적었던 경우는 250㎜이다. 비는 아열대 고기압 중심지역에서 가장 적게 오는데, 이로 인해 이러한 지역에 사막이 위치한다. 사막에서는 감지할 수 있을 만큼의 비가 온 적이 없다.

유럽 대부분의 지역과 남아메리카, 북동 아메리카, 중앙 아프리카의 연평균강수량은 500㎜ 이상이지만, 인도·티베트·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아시아 지역의 연평균강수량은 500㎜ 이하이다. 또한 아라비아에서 북동 몽골에 걸친 지역에서는 250㎜ 이하의 강수가 내린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중심지역과 대부분의 아프리카 북부지역, 아프리카 남서쪽의 일부지역, 미국 산간지역 일부, 남아메리카 서쪽의 중앙해안과 남부 동해안지역도 연평균 250㎜ 이하의 강수량을 나타낸다.

적도와 북위 10° 사이에 있는 아프리카 서해안과 인디아 서해안의 해협, 아삼 일부, 미얀마의 좁고 긴 해안, 남북 아메리카의 중위도에 위치한 풍상측 산사면과 고립되어 있는 열대지역 관측소의 연평균강수량은 2,500㎜ 이상의 값을 나타낸다. 강수 강도가 5분에 30㎜ 이상이거나 1시간에 150㎜ 이상, 혹은 1일에 500㎜ 이상인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2배 이상의 값을 나타낼 때도 있다. 세계의 최고 강수량에 대해서는 다음의 표 참조.

연간최고량 26,467mm, 인도 메갈라야의 체라푼지(해발고도 1,313m)에 1860년 8월부터 1861년 7월까지 내린 강수
월간최고량 9,300mm, 체라푼지 지역에 1861년 7월 내린 강수
1일최고량 1,870mm, 레위니옹 섬(남위 27°, 동경 55.5°)의 실라오스(해발고도1,200m)에1952년 3월 16일 내린 강수
1,166mm, 필리핀 루손의 바기오(해발고도 1,482m)에 1911년 7월 15일 내린 강수
시간당최고량 305mm, 미주리 주 홀트에 1907년 6월 22일 내린 강수
5분당최고량 63mm, 파나마의 포르토벨로에 1911년 11월 29일 내린 강수
1분당최고량 31mm, 메릴랜드의 유니온빌에 1956년 7월 4일 내린 강수
세계의 최고 강수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