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마

브라마

다른 표기 언어 Brahma 동의어 범천, 梵天, 프라자바티

요약 인도 후기 베다 시대의 힌두교 주요 신의 하나.

브라마
브라마

'범천'이라고도 한다. 종파적 신앙이 대두됨에 따라 브라마는 점차 비슈누시바에게 가려지게 되었다.

우주의 궁극적 실재로서 중성(中性)인 브라만과 달리 남성으로 표현되는 브라마는 베다의 창조신 프라자파티와 연관되어 있고, 뒤에는 프라자파티와 동일시되었다. 브라마는 황금알에서 태어나 땅과 그 위의 모든 것을 차례로 창조했다고 한다. 후대의 종파적 신화들에서는 그가 비슈누의 배꼽에서 피어난 연꽃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고전 시대에 다양한 종파의 전통을 통합하려 했던 시도는 비슈누·시바·브라마를 눈에 보이지 않는 최고신의 세 형태로 생각한 삼신일체 사상에 명백히 나타나 있다.

7세기에 정통 힌두교를 내세우는 스마르타교가 브라마를 빼고 다른 다섯 신을 숭배하기 시작하면서 그는 권능을 상실했다. 오늘날 브라마만을 숭배하는 교단이나 종파는 없고, 그에게 봉헌된 사원도 거의 없다. 유일한 사원이 아즈메르(라자스탄 주) 근처 푸슈카르에 있다. 하지만 시바와 비슈누를 모시는 사원에서는 반드시 브라마 신상을 모시고 있다. 브라마는 예술 작품에서 흔히 4베다(인도 최초의 성전), 4유가(세계의 1순환기를 4단계로 구분한 것 중의 한 시대)와 4바르나(사회계급)를 상징하는 4개의 얼굴을 지닌 것으로 묘사된다. 그는 4개의 팔에 제의도구, 염주, 책을 든 채 연화좌나 그의 탈 것인 백조(haṃsa) 위에 앉거나 서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의 부인들인 사비트리와 사라스바티가 같이 등장하기도 한다. 회화에서는 누런 피부색에 흰 옷과 화환을 걸친 모습으로 묘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