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영화제

부산국제영화제

다른 표기 언어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釜山國際映畵祭 동의어 BIFF
요약 테이블
행사시기 매년 10월 초
장소 대한민국 부산
분야 영화
채택 1996년
사이트 http://www.biff.kr

요약 매년 10월 부산에서 열리는 국내 최초의 국제 영화제. 1996년 시작되어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영화 부흥과, 영화 및 영상산업의 발전에 기여해왔다. 영화제를 대표하는 '뉴 커런츠' 섹션에서는 아시아 신인 감독들의 신작을 감상할 수 있으며, 다른 부문에서도 감독들의 신작 제작을 장려하고, 영화인들의 공로를 기념하기 위해 상금과 상을 수여하고 있다.

목차

접기
  1. 개요
  2. 주요 내용
  3. 시상
  4. 수상작
    1. 역대 뉴 커런츠 부문 수상작

개요

한국 최초의 국제 영화제. 1996년 한국 영화의 침체기에 새로운 감독과 작가를 지원함으로써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영화의 미래를 모색한다는 취지로 창설되었다. 아시아 영화의 부흥과 한국 부산 지역의 영상산업 유치 및 활성화에 기여해 왔으며, 해마다 출품작이 늘어 아시아 최고의 영화견본시장이라는 명성을 얻었다.

부산국제영화제 영화의 전당
부산국제영화제 영화의 전당

주요 내용

매년 10월 초 열흘간 부산 영화의 전당 일대에서 진행된다. 영화제 기간 동안 상영되는 작품들은 크게 11개 섹션으로 구분된다. 가장 대표적인 '뉴 커런츠'에서는 아시아 지역 신인 감독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이밖에 전 세계 감독들의 신작을 엄선하여 상영하는 '갈라 프레젠테이션', 아시아의 대표적인 신작들을 상영하는 '아시아 영화의 창', 한국의 독립영화를 비롯한 다양한 신작을 상영하는 '한국 영화의 오늘', 세계 각국의 신작을 상영하는 '월드 시네마', 비아시아권 신인 감독들의 영화를 상영하는 '플래시 포워드', 단편 애니메이션과 다큐멘터리를 상영하는 '와이드 앵글', 야외에서 상영하는 '오픈 시네마', 장르영화를 심야에 상영하는 '미드나잇 패션', 옛 한국 영화들을 상영하는 '한국 영화 회고전', 세계 각국의 영화 및 영화인들에 대한 특별전 '특별기획 프로그램' 등 10개 섹션이 있다.

시상

공식 경쟁부문인 '뉴 커런츠' 섹션의 영화들은 세계적으로 저명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심사를 거쳐 2편이 수상작으로 선정된다. 나머지 비경쟁 섹션에서도 작품 제작의 장려와 공로를 인정하고 알리는 차원에서 상과 상금을 수여하고 있다. 감독들의 차기작 제작을 장려하는 차원에서는 선재상·비프메세나상을 수여하며, 이밖에 올해의 배우상, KNN관객상, BNK부산은행상, 시민평론가상, 부산시네필상,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 한국영화공로상 등을 시상한다. 2017년부터는 같은 해에 타계한 김지석 수석 프로그래머를 기리기 위해 아시아 영화의 창 섹션에서 작품을 선정하여 지석상을 수여하고 있다.

수상작

역대 뉴 커런츠 부문 수상작
연도 작품명 감독
1996 <무산의 비구름(In Expectation)> 장밍(Zhang Ming)
1997 <모텔 선인장(Motel Cactus)> 박기용(Park Ki-yong)
1998 <소무(Xiao Wu)> 자장커(Jia Zhangke)
1999 <영원한 멜로디(Timeless Melody)> 오쿠하라 히로시(Okuhara Hiroshi)
2000 <내가 여자가 된 날(The Day I Become a Woman)> 마르지예 메시키니(Marziyeh Meshkini)
2001 <꽃섬(Flower Island)> 송일곤(Song Il-gon)
2002 <질투는 나의 힘(Jealousy is My Middle Name)> 박찬옥(Park Chan-ok)
<의례... 열정(The Rite... A Passion)> 카날라 사스트리(Kanala N.T. Sastry)
2003 <불견(The Missing)> 리캉성(Lee Kang-sheng)
<광산에 내리는 진눈개비(Tiny Snowflakes)> 알리레자 아미니(Alireza Amini)
2004 <여자, 정혜(This Charming Girl)> 이윤기(Lee Yun-ki)
[특별언급] <안식처(Sanctuary)> 호유항(Ho Yuhang)
2005 <망종(Grain in Ear)> 장루(Zhang Lu)
[특별언급] <성스러운 돌(The Silent Holy Stone)> 완마 차이단(Caidan Wanma)
2006 <빈랑(Betelut)> 양헝(Heng Yang)
<사랑은 이긴다(Love Conquer All)> 탄취무이(Chui Mui Tan)
2007 <원더풀 타운(Wonderful Town)> 아딧야 아사랏(Aditya Assarat)
<궤도(Life Track)> 김광호(Jin Guang-hao)
<주머니속의 꽃(Flower in the Pocket)> 리우성탓(Seng Tat Liew)
2008 <허수아비들의 땅(Land of Scarecrows)> 노경태(Roh Gyeong-tae)
<무방비(Naked of Defenses)> 이치이 마사히데(Ichii Masahide)
2009 <킥 오프(Kick Off)> 샤우캇 아민 코르키(Shawkat Amin Korki)
<나는 곤경에 처했다(I'm in Trouble!) 소상민(So Sang-min)
[특별언급] <마닐라의 청춘, 빛과 그림자(Squalor)> GB 삼페드로(Giuseppe Bede Sampedro)
2010 <무산일기(The Journals of Musan)> 박정범(Park Jung-bum)
<파수꾼(Bleak Night)> 윤성현(Yoon Sung-hyun)
2011 <소리없는 여행(Mourning)> 모르테자 파르샤바프(Morteza Farshbaf)
<니뇨(Nino)> 로이 아르세나스(Loy Arcenas)
2012 <36(36)> 나와폰 탐롱라타나릿(Nawapol Thamrongrattanarit)
<카얀(Kayan)> 마리암 나자피(Maryam Najafi)
[특별언급] <시네마(FILMISTAAN)> 니틴 카카르(Nitin Kakkar)
2013 <파스카(Pascha)> 안선경(Ahn Seon-kyoung)
<리모트 콘트롤(Remote Control)> 비암바 사키아(Byamba Sakhya)
[특별언급] <경유(Transit)> 한나 에스피아(Hannah Espia)
2014 <철원기행(End of Winter)> 김대환(Kim Dae-hwan)
[특별언급] <13(13)> 호우만 세예디(Hooman Seyedi)
2015 <아야즈의 통곡(Immortal)> 하디 모하게흐(Hadi Mohaghegh)
<호두나무(Walnut Tree)> 예를란 누르무캄베토프(Yerlan Nurmukhambetov)
2016 <깨끗한 물 속의 칼(Knife in the Clear Water)> 왕수에보(Wang Xuebo)
<아버지의 마지막 선택(The Donor)> 장치우(Zang Qiwu)
2017 <죄 많은 소녀(After My Death)> 김의석
<폐색(Sade Ma'bar, Blockage)> 모흐센 가라에이(Mohsen GHARAEI)
2018 <호흡(Clean up)> 권만기
<폭설(SAVAGE)> 추이시웨이(CUI Si Wei)

 

부산국제영화제 역대 뉴 커런츠 부문 수상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