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앙정보국

미국중앙정보국

다른 표기 언어 Central Intelligence Agency , 美國中央情報局 동의어 CIA
요약 테이블
설립 1947년 9월 18일
국가 미국
사이트 https://www.cia.gov

요약 국제적 정보수집과 특수공작을 담당해온 미국의 대통령 직속 국가정보기관. 세계 최고의 첩보기구로써 1947년 공식 창설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중이었던 당시의 전략사무국(OSS)을 모체로 발전해왔다. 국가적 기밀의 수집 및 분석, 비밀첩보활동과 특수임무의 수행이 주된 활동 내용이다.

목차

접기
  1. 역사
  2. 주요 임무 및 조직 구성
  3. 주요 활동내용
  4. 출신 인물
미국중앙정보국(CIA)
미국중앙정보국(CIA)

역사

미국의 대통령 직속 국가정보기관. 국제적 정보수집과 특수공작을 담당하고 있는 세계 최고의 첩보기구이다. 1947년 해리 S. 트루먼(Harry S. Truman) 대통령이 서명한 <국가보안법 (National Security Act)>에 의해 공식 창설되었다. 과거에는 육군·해군 및 연방수사국(FBI,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에서 첩보·방첩 활동을 담당했는데, 업무 중복이나 기관 상호간의 경쟁으로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문제가 적지 않았고, 동맹국들은 미국이 중앙정보기구를 갖추고 있지 않은 점을 비판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이었던 1942년 6월, 프랭클린 D. 루스벨트(Franklin D. Roosevelt) 대통령은 잡다한 정보수집기관을 하나의 조직으로 통합시키기 위해 전략사무국(OSS, Office of Strategic)을 설립했다. 1941년 7월에도 같은 목적을 가진 정보사무국이 구성되었으나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다. 정보사무국의 윌리엄 J. 도노번(William J. Donovan) 국장은 OSS의 책임자로 지명되어 설립 당시부터 조직기반의 형성을 관할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OSS는 첩보요원을 통해 미국 작전지역에 관한 대외정보를 수집·분석했으며, 역선전·역정보 활동을 벌이고, 적의 후방에서 사보타주·건물폭파활동에 착수하는 한편 레지스탕스 운동을 지원하는 등 특수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요원들이 경험이 없는 초심자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OSS는 비정상적이기는 했지만 뛰어난 수완가였던 도노번의 지휘 아래 놀라운 효율성을 발휘했고, 전성기의 요원 수는 최고 1만 2,000명에 달했다.

OSS는 1945년 10월 해체되었으나 해리 S. 트루먼(Harry S. Truman) 행정부는 통합된 전후 전문기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이듬해 대통령은 행정명령으로 중앙정보그룹과 국가정보위원회를 설립했다. 양 기구는 OSS의 전시활동에 관여한 여러 부류의 인사들로 충원되었고, 중앙통제체제의 마련에 부심했으나 육군·해군·공군은 독자적인 정보활동을 계속했다. 1947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National Security Council)의 설립안이 연방의회를 통과하고 산하에 중앙정보국(CIA)이 설치되어 국가안보에 관련된 정보의 제공 및 자문, 정부 내 기관들의 정보활동 조정, 정보의 비교 및 평가, 정부 내 정보유통관리, 그리고 NSC가 규정하는 보안첩보임무의 수행을 담당하게 되었다.

주요 임무 및 조직 구성

CIA의 최고책임자인 국장은 국가정보국(DNI, Office of the Director of National Intelligence)의 지휘 아래, 인적자원을 포함한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수집 활동을 수행한다. 또한 국가안보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필요한 대상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CIA 이외에 해외에서 정보활동을 할 수 있도록 권한이 수여된 다른 정부기관 및 관련된 정보기구들과 협의하고 수집활동을 종합적으로 지휘하는 것 또한 주된 임무이다. 대통령과 DNI의 지시에 따라 국가안보와 관련된 역할을 수행하는 것 역시 동반된다. CIA는 국장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조직은 크게 4개의 하위부서로 이루어진다. 우선 정보부는 공개적으로 취합된 자료들과 스파이 활동, 항공·위성 사진, 전파·전화 기타 통신도청을 통한 비밀정보들을 분석하며, 분석한 결과는 충분한 검토과정을 거쳐 많은 보고서로 작성한다. 작전부는 비밀첩보활동과 그밖의 특수임무를 수행한다. 과학·기술부는 유용한 설비와 장치를 개발하며 임무수행을 기술적·과학적으로 보조한다. 집행부는 행정기능의 수행뿐 아니라 요원 및 시설·정보 그리고 망명자와 같은 정보원(情報源)을 보호하는 보안국을 운영한다.

주요 활동내용

CIA가 수행한 비밀활동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으로 1953년 이란의 내정에 간섭해 모사데크 총리를 축출하고 를 복위시킨 일과 이듬해 과테말라에서 미국에 비우호적인 좌익 정부를 전복시킨 예가 있다. 그러나 1961년 쿠바의 반정부세력을 동원한 피그스 만 침공은 대실패로 막을 내렸고, 1973~74년에는 전직 요원들이 워터게이트 사건에 연루된 사실이 밝혀져 위신이 크게 실추되었다.

일반적으로 CIA는 소련의 케이지비(KGB)와 같은 맥락에서 생각할 수 있지만 CIA는 활동이 대외적인 첩보·방첩 활동으로 법적인 제한을 받고 있는 반면 KGB는 국내적으로도 광범위한 정보수집기능과 경찰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스파이·방첩 활동에 있어서의 기밀유지의 필요성이 CIA의 권한을 법적 한계 이상으로 확대시켜온 것도 사실이지만, 이러한 일탈은 언론의 자유가 비밀활동의 취지나 전직 CIA 요원들의 침묵의무를 압도할 수 있는 미국에서는 국민들의 감시와 제재를 피하기 어렵다.

미국의 언론은 경찰과 언론이 1당의 관할하에 놓인 공산국가나 비밀공무집행이 언론의 자유를 유보할 수도 있는 영국과는 달리 언제나 정부의 시책과 그 집행을 비방할 수 있다. 더구나 양당제도와 엄격한 3권분립 구조로 말미암아 입법부와 행정부 사이에는 알력이 항존하기 마련이며, 그결과 특정한 CIA의 활동이나 그 기능 전반에 관한 공개토론들이 심심치 않게 전개되고 있다.

출신 인물

역대 CIA의 국장들은 다양한 배경을 소유하고 있었는데, 예를 들면 초대 로스코 힐런코터(Roscoe Hillenkoetter) 제독과 아이젠하워(Dwight David Eisenhower) 원수의 참모장을 지낸 월터 B. 스미스(Walter B. Smith) 장군은 군인이었고, 앨런 W. 덜레스(Allen W. Dulles)는 외교관이자 정보전문가였으며, 존 A. 매콘(John A. McCone)은 기업경영인이었다. 윌리엄 E. 콜비(William E. Colby)는 CIA 자체에서 성장한 인물이었으며, 조지 부시(George H. W. Bush)는 정당지도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