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굴

발굴

다른 표기 언어 excavation , 發掘

요약 고고학 연구의 대상이 되는 유물을 체계있게 수집하는 작업.

일반적으로 고고학 연구의 첫 단계가 된다. 고고학에서는 옛사람들이 남긴 물질자료를 통하여 그때 사람들이 살아온 자취를 밝히는데, 물질자료를 모으는 방법에는 지표조사와 발굴이 있다. 지표조사는 땅속에 묻혀 있던 유물이 자연작용이나 사람들의 파괴로 드러난 것을 찾아 모으는 것이다. 밭갈이하면서, 집을 지으면서, 길을 닦으면서, 산을 깎으면서, 여러 가지 건설공사에서 드러나는 유물들은 모두 고고학의 연구대상이 되지만 그 가운데 문화층이 있어 유적과 유물의 성격을 밝혀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적을 가려 뽑아 발굴을 하게 된다.

발굴
발굴

발굴은 단순히 유물을 건져내는 작업이 아니라 유물이 유적 안에서 어떤 상황 아래 놓여 있고 한 유물이 다른 유물과 어떤 관계에 놓여 있는지를 밝혀야 유적 전체의 성격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발전된 방법에 따라 과학성과 체계를 갖춘 상태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굴방법의 발전은 고고학발달사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발굴은 유물을 찾아 연구자료로 삼을 수 있는 한편, 땅속에 있는 유적을 파괴하여 없애는 일이기 때문에 다시 돌이킬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때문에 발굴에서는 철저히 기록을 남겨야 한다. 모든 유물과 유구를 그리고, 재고, 사진 찍고, 기록하여 뒷사람들이 쓸 수 있는 자료로 만들어두어야 한다. 또한 유적의 일정 부분을 반드시 남겨두어 뒤에 더 좋은 방법으로 훌륭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할 때가 있다.

발굴은 한두 사람의 힘으로 되는 일이 아니므로 전문성을 갖춘 여러 사람들을 모아 발굴단을 만들어야 한다. 특히 유적형성 과정을 알기 위해 지질학자가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밖에 유적의 성격에 따라 생물학자·화학자·토양학자·금석학자 등이 함께 참여하기도 한다. 또한 사진이나 그림을 전문으로 하는 기술자도 필요하다. 발굴현장에서 유물의 파괴를 막기 위해 보존과학전문가가 함께 일해야 할 때도 있다. 이와 같이 여러 분야의 전문인들을 모아 유적으로부터 최대한의 정보를 끌어내기 위해 발굴방법을 잘 고안해야 한다.

발굴방법은 유적에 따라 알맞는 것을 찾아서 효과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근대고고학이 발굴과 함께 시작되면서 여러 가지 방법들이 나왔는데 이제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바둑판식을 비롯해 사분법과 계단식 발굴 등이 있다. 그 가운데 바둑판식 발굴방법이 가장 효과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적의 주요부분을 바둑판처럼 동서·남북 축을 중심으로 나누고 서로 엇갈려 발굴구덩을 벗겨내는 것이다.

이 방법은 유적 전체를 발굴하지 않아도 발굴된 구덩들의 지층이 어떻게 쌓이고 서로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알 수 있고 유물들 사이의 관계를 아는 데도 편리하다. 이때 발굴장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 매일 작업량·일일계획·발굴인원을 비롯해 발굴장에 찾아온 사람까지도 기록으로 남긴다. 유적에 관한 기록으로는 발굴구덩 평단면 그림, 현장관찰 의견을 적어둠으로써 실험실에서 정리할 때 연구의 바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적전체 구조를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 발굴구덩 배치, 유구 사이의 관계, 하층구조 등을 기록하고 특히 발굴기준점을 표시하여 계속 발굴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유물과 유구의 기록은 3차원 좌표로서 유물의 공간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