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목월

박목월

다른 표기 언어 朴木月 동의어 박영종, 朴泳鍾
요약 테이블
출생 1916. 1. 16, 경북 경주
사망 1978. 3. 24, 서울
국적 한국
직업 시인, 교육자

요약 한국의 시인. 본명은 영종. 향토적 서정을 민요가락에 담담하고 소박하게 담아냈다. 조지훈 박두진과 함께 발간한 <청록집>이 계기가 되어 이들과 함께 '청록파'로 알려졌다. 대표작으로 <청노루>·<산도화>·<윤사월>·<나그네> 등이 있다.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지냈으며 여러 시인을 제자로 두었다. 아세아자유문학상(1954), 대한민국 문예상(1968), 서울시 문화상(1969), 국민훈장 모란장(1972), 대한민국 예술원상(1975) 등을 받았다.

박목월(朴木月)
박목월(朴木月)

한국의 현대 시인. 본명은 영종(泳鍾). 한국시단에서 김소월과 김영랑을 잇는 시인으로, 향토적 서정을 민요가락에 담담하고 소박하게 담아냈다.

태어난 지 100일 만에 경상북도 월성(지금의 경주)으로 이사가 그곳에서 자랐다. 1933년 대구에 있는 계성중학교에 다닐 때 〈어린이〉에 동시 〈통·딱딱 통·짝짝〉이 특선되었고, 그해 〈신가정〉에 동요 〈제비맞이〉가 당선된 바 있다.

1935년 일본으로 건너가 영화인과 어울려 지냈으며, 1946년경부터 계성중학교·이화여자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했고, 이어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홍익대학교에서 강의했다. 한국문필가협회 상임위원, 조선청년문학가협회 중앙위원, 한국문인협회 사무국장, 문총구국대 총무, 공군종군문인단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1957년 한국시인협회 간사로 있다가 1968년 회장이 되었다.

한때 '산아방'·'창조사' 등의 출판사를 운영했고,〈아동〉·〈동화〉·〈여학생〉·〈시문학〉 등에서 편집일을 했다. 1962년 한양대학교 교수로 취임해 1976년 문리대학 학장을 지냈다. 1973년 시전문지 〈심상 心象〉을 펴냈다.

문학세계

1939년 정지용의 추천을 받아〈문장〉에 시 〈길처럼〉·〈그것은 연륜이다〉·〈산그늘〉 등이 발표되어 문단에 나왔다(→ 청록파). 이어 발표한시들은 초기·중기·후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초기는 시집 〈청록집〉(1946)·〈산도화 山桃花〉(1955)를 펴낸 시기이며, 중기는 시집 〈난·기타〉(1959)·〈청담 晴曇〉(1964)을 펴낸 시기이고, 후기는 〈경상도의 가랑잎〉(1968)을 펴낸 이후의 시기이다. 초기에는 자연을 보는 입장에 서 있고 후기에는 사회현실을 인식하는 입장에 서 있다고 할 수있는데, 소재가 자연에서 일상적인 삶으로 바뀌고 표현방법도 객관적인 스케치에서 주관적내지 자아응시로 바뀌었다. 그래서 초기에는 '보는 자'로서의 입장에 충실했다면 후기에는 '느낀 자'로서의 입장에 충실했고, 대상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동화내지 화해를 꾀했던 것이, 후기에 와서는 어긋남과 비틀어짐 속으로 빠져들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연을 노래하고 대상에 대한 주관적인 인상을 그리는데 힘썼던시적 태도, 율격과 간결미에 치중했던 시적방법은 시집 〈난·기타〉에 와서 변화를 겪게 된다. 이시집에 실린 〈넥타이를 매면서〉·〈모일〉·〈서가〉·〈정원〉 등을 보면, 초기시보다 운율과 시각적 효과를 그다지 고려하지 않고 시적 대상도 자연에 대한 순수한 관심에서 일상적인 생활에서 우러나오는 감정으로바뀌어 생활인의 아픔과 소시민의 고달픔을 읊고 있다.따라서 〈난·기타〉는 〈청록집〉이나 〈산도화〉에서 보여주었던 '동화적 욕구'의 좌절을 알리는 첫 신호라할 수 있다. 대표작 〈나그네〉는 조지훈의 시 〈완화삼 玩花衫〉에 화답한 것으로서, 초기 시가 그렇듯 향토성이 짙고 민요가락을 빌려 섬세한 서정을 읊고 있다.

그의 시관(詩觀), 시 기능론, 시 방법론은 전통적인 것에 아주 가깝다. 그의 시는 "시는기껏 시인 자신을 정화하고 구제해주는 것"이라는 시효능론에 뿌리를 두고있으며, 시는 "생활 속에서 만들어지고 읽히고 에네르기화 된다"고 믿었다. 그래서 시는 신념 또는 철학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표현양식이라는 통념을 완강하게 뿌리치고, 한편의 시를 쓰는 과정이나 지식인으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지나칠 만큼 욕심을 내지 않았다.

그밖에 평론으로 〈동요교육론〉(새교육, 1949. 9)·〈시와 관조의 세계〉(세대, 1963.11)·〈자전적 시론〉(사상계, 1965.8) 등을 발표했다.

시집으로〈구름에 달가듯이〉(1975)·〈박목월시집〉(1983)·〈달빛에 목선가듯〉(1986)·〈소금에 빛나는 아침에〉(1987)등과 동시집으로 〈동시집〉(1946)·〈산새알 물새알〉(1962) 등이 있고, 수필집으로 〈구름의 서정시〉(1956)·〈여인의 서(書)〉(1959)·〈밤에 쓴 인생론〉(1966) 등이 있다. 1955년 아세아 자유문학상, 1969년 서울특별시 문화상, 1972년 국민훈장모란장, 1975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등을 받았다.

2024년 3월 12일 박목월의 유작 노트에서 미발표작이 대량 발굴되어 공개되었다. 경상북도 경주시 동리목월문학관에 유족이 기증한 노트 18권과 아들인 박동규의 자택에 소장하고 있던 노트 62권 등의 유작 노트에서 318편이 발견되었으며, 이중 미발표작 290편 가운데 <무제> 등 166편이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의 기자회견을 통해 공개되었다. 해방과 전쟁, 근대화와 종교 등 이제까지 알려진 박목월의 문학 세계를 더 확장할 수 있을 다양한 주제의 시들이며, 동시가 60편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목월 시인 생가
박목월 시인 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