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립간

마립간

다른 표기 언어 麻立干

요약 신라시대의 왕호.

〈삼국유사〉를 보면, 제17대 내물왕부터 그전의 왕호인 이사금 대신 쓰이기 시작해 제22대 지증왕이 중국식 왕호로 바꿀 때까지 였다고 한다.

〈삼국사기〉에 실린 김대문(金大問)의 설명에 의하면 "마립간은 국어의 말뚝 즉 궐을 이름이요, 궐은 아래에 벌려 있음을 이름한 것"이라고 했다. 또 마립간은 마리[頭]·마루[宗·棟·廳] 등과 같은 어원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이는 대수장을 뜻하며 주석·상석·수석의 뜻과 통하고, 누한·종간이라고도 표기되었다.

이 왕호는 신라의 왕권이 신장되어 왕이 화백회의 의장으로 자리를 굳히고, 왕위 세습이 이루어지던 당시의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이것을 쓰기 시작한 시기는 〈삼국유사〉에는 17대 내물왕부터, 〈삼국사기〉에는 19대 눌지왕부터라고 되어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다. 사로국이 고구려의 지원을 받아 진한 여러 나라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고, 백제·가야·왜의 세력을 물리치면서 지배질서를 확립해갔다는 점에서 내물왕 때부터 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구려의 간섭에서 벗어나 왕위의 부자상속이 확립된 때는 눌지왕 때부터로 이 시대 차이로 당시 신라의 왕권 성장과정을 짐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