닉슨

닉슨

다른 표기 언어 Richard M(ilhous) Nixon
요약 테이블
출생 1913년 1월 9일, 미국 캘리포니아 요버린더
사망 1994년 4월 22일, 뉴욕 뉴욕 시
국적 미국

요약 탄핵이 거의 확실하게 되자 대통령직을 사임한 미국 최초의 대통령이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행정부에서 8년 동안(1953~61) 부통령을 지내기도 했다.
1960년의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의 존 F. 케네디 후보에 패배한 뒤, 1968년 대통령후보로 다시 정계에 입문하여 허버트 H. 험프리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닉슨은 1972년 2월 미국의 국가원수로서는 처음으로 중국을 공식 방문했다. 중국과의 관계정상화는 같은 해 5월 최초로 모스크바를 방문하는 동안 그의 입지를 강화시켰다. 닉슨 대통령의 2번째 임기는 대통령 재선위원회와 재정위원회의 활동에서 발단이 된 이른바 워터게이트 사건 으로 파국을 맞았다. 1974년 8월 8일, 이 사건에 대한 책임으로 사퇴했다.

닉슨(Richard M(ilhous) Nixon)
닉슨(Richard M(ilhous) Nixon)

탄핵이 거의 확실하게 되자 대통령직을 사임한 미국 최초의 대통령이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행정부에서 8년 동안(1953~61) 부통령을 지내기도 했다. 캘리포니아 주 휘티어대학(1934)과 노스캐롤라이나 더럼에 있는 듀크대학교 법과대학(1937)을 졸업한 뒤, 1937년 휘티어에서 개인법률사무소를 개설했다.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직후 잠시 워싱턴 D. C.의 물가관리국에서 일했고, 1942년 8월 해군에 입대하여 태평양 지역에서 항공대 지상장교로 복무했다. 제대 후 1947년과 1949년 하원의원 선거에 당선되었으며 2년간 상원에 몸담았다.

반공주의자로서 이름이 높았던 닉슨은 반공이 강조되었던 1952년의 선거전에서 아이젠하워 대통령후보의 러닝메이트로 선정되었다. 1960년의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의 존 F. 케네디 후보에 패배한 뒤, 1962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에서 연이어 실패하자 은퇴를 선언하고 뉴욕시로 이주하여 변호사 생활을 시작했다.

닉슨은 1968년 대통령후보로 다시 정계에 입문하여 허버트 H. 험프리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취임(1969. 1) 직후 발표된 닉슨 독트린은 약소우방국이 자주국방태세를 갖추도록 경제·군사 원조를 제공하는 대신 해외주둔 미군을 감축한다는 요지였다. 닉슨은 첫번째 임기중에 베트남 전쟁 개입을 종식시키기 위해 지상군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감축시켰다. 닉슨을 가장 끈질기게 괴롭혔던 국내 문제는 인플레이션이었다.

그는 처음에 연방지출의 삭감을 기도했으나 연간 예산적자가 점차 누적되어 사상 최대 규모에 이르게 되었다. 닉슨 행정부는 1971년과 1973년 무역수지의 균형을 위해 달러 가치를 하락시켰다. 닉슨은 경제규제를 기피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었으나 평화시 임금·물가 통제가 포함된 전례없는 '신경제정책'을 실시했다(1971. 8. 15). 한편 4명의 대법원 판사를 임명할 기회를 맞아 평소 신봉해온 '엄격한 법률해석주의' 쪽으로 연방대법원의 성향을 전환시켰다. 외교분야에서의 가장 뛰어난 공적은 21년 동안이나 소원한 관계에 있었던 중화인민공화국과 대화를 재개한 점이다.

그는 1972년 2월 국가원수로서는 처음으로 중국을 공식 방문했다. 중국과의 관계정상화는 같은 해 5월 최초로 모스크바를 방문하는 동안 그의 입지를 강화시켰다. 소련 방문 결과로 쌍무(雙務) 무역협정 체결과 공동 우주·과학탐사 계획뿐 아니라 핵무기 제한에까지 커다란 진전이 이루어졌다. 1972년 대통령후보로 재지명된 닉슨은 미국 대통령 선거 사상 최대의 승리로 경쟁자인 조지 S. 맥거번 상원의원을 패배시켰다.

닉슨은 2번째 임기에 들어서자마자 미군의 베트남 참전을 사실상 종결시켰다. 그러나 캄보디아에 대한 미군의 폭격은 8월 15일까지 계속되었고 1973년 7월 베트남 전쟁과 관련하여 강한 비난을 받게 되었는데, 미공군이 1969년과 1970년초 비밀리에 캄보디아를 폭격했으며 공군과 국방부가 사실 은폐를 위해 허위보고서를 작성했었다는 것이 폭로되었기 때문이다.

닉슨 대통령의 2번째 임기는 대통령 재선위원회와 재정위원회의 활동에서 발단이 된 이른바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파국을 맞았다(워터게이트 사건). 워터게이트 사건은 민주당 전국위원회 본부 도난 및 도청사건에 대한 수사가 진척됨에 따라 확대되었고 1974년 7월 2명의 전임각료를 포함한 몇몇 측근들이 형사범으로 기소되었으며 몇 명은 유죄판결을 받았다.

같은 달 하원 사법위원회는 대통령에 대한 3가지 탄핵사항을 가결시켰다.

8월 4일, 닉슨은 이전에 자신과 보좌관들이 완강히 부인했던 사실, 즉 워터게이트 사건의 은폐에 사실상 관여했으며 사건 발생 후 수일 사이에 수사의 범위를 백악관까지는 확대하지 말도록 연방수사국(FBI)에 지시했었다는 사실을 털어놓았다. 이러한 사실의 폭로로 의회와 미국 전역에서 당의 지지를 상실하게 된 닉슨은 8월 8일 밤 사퇴성명을 발표했고 부통령인 제럴드 R. 포드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이후 닉슨은 캘리포니아 샌클러멘티에 있는 자신의 사유지로 물러나 은둔생활을 했다. 캘리포니아에서의 변호사 자격을 포기한 데 이어 1976년 뉴욕 주에서 변호사 자격을 박탈당함으로써 그의 법조계 경력은 사실상 마감되었다.

이러한 불명예에도 불구하고 닉슨은 1980년대말에 이르러 원로 정치가와 외교전문가로서의 지위를 회복하고 조용한 활동을 펼쳤으며, 소련의 해체와 더불어 탄생한 러시아 연방을 비롯한 여러 신생국들에 대한 미국의 정치적 지지와 재정적 지원을 촉구하는 운동을 벌이며 말년을 보냈다.

닉슨은 〈리처드 닉슨의 회고록 RN : The Memories of Richard Nixon〉(1978)과 국제관계 및 미국의 외교정책에 관한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으며 사망직전에는 〈평화를 넘어 Beyond Peace〉를 출간하기도 했다. 1994년 닉슨은 그의 유언에 따라 국장을 치르지 않고 고향에 있는 아내의 무덤에 함께 묻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