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표기 언어 eye

요약 빛을 수용하는 특수화된 감각기관(광수용).

눈(eye)
눈(eye)

척추동물에서는 눈에 수용된 시각적 영상이 뇌의 시각중추로 전달된다.

눈은 상을 맺지 않는 것(直眼)과 상을 맺는 것의 2가지 범주로 크게 나누어진다.

홑눈(ocellus)이라는 용어는 넓게는 단순한 모든 눈에 적용되며 어떤 단세포 생물에 있어서는 눈과 유사한 구조인 안점(眼點)을 지칭하기도 한다. 직안은 많은 연형동물·연체동물·자포동 물·극피동물 및 다른 무척추동물 등에서 발견되며, 공통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보통 다수) 광감각세포(光感覺細胞)와 그 위를 부분적으로 감싸고 있는 색소세포들로 이루어진 피부판을 갖고 있다.

이 피부판은 컵 모양으로, 광감각세포들을 거의 둘러싸기도 한다. 좌우 대칭 동물에서 눈은 보통 쌍을 이룬다. 상을 맺는 눈은 몇몇 연체동물(두족류나 몇몇 이매 패류), 대부분의 절지동물 및 거의 모든 척추동물에서 볼 수 있으며 홑눈과 겹눈의 2가지 유형이 있다.

홑눈의 기본 요소는 수정체와 망막인데 수정체는 상으로서 들어오는 빛이 망막 위에 초점을 맺도록 해주며 망막의 광감각세포들은 상이 받고 있는 빛의 강도에 따라 다양한 강도의 신호를 뇌로 전달한다.

어떤 동물의 망막세포는 광도가 증가되거나 감소될 때에만 자극되어 신경충격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절지동물에서만 발견되는 겹눈은 곤충과 갑각류에서 고도로 발달되어 있다. 겹눈은 빽빽이 모인 낱눈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각각은 분리된 시각수용기로, 수정체 1개와 감각요소를 가진 6각형, 4각형, 또는 원형의 관상체인 감간분체(感杆分體 rhabdomere) 1개로 되어 있다.

감간분체 가까이 있는 자체의 수정체만을 통해서, 또는 주위의 수정체를 통해서 빛을 받아들이게 되는데, 어떤 경우든 이웃 수정체들의 시야와 겹치게 되어 절지동물은 복합상(multiple image)을 보게 되며 이는 뇌에서 부분적으로 통합·조정된다.

사람의 눈은 대략 구형(球形)이며 옆과 뒤가 불투명하고, 앞이 투명해서 빛이 통과할 수 있다. 안구는 망막과 수백만의 광수용기로 이루어진 1층의 신경조직을 가지며 이 모든 구조는 초점을 맺는 데 필요하다. 안구의 단단한 외막인 공막은 치밀한 섬유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막의 일부인 각막은 빛이 눈으로 들어오도록 하여 초점 맞추는 일을 돕는다.

안구는 투명한 젤리 같은 물질인 유리체(琉璃體)로 채워져 구형의 모양이 유지된다. 공막 바로 밑에는 혈관층인 맥락막(脈絡膜)이 있고 이는 눈의 전역에 영양소를 공급하는 역할뿐 아니라 일종의 근육 구조로 된 모양체(毛樣體)를 가지고 있어 초점을 맞출 때 수정체의 모양을 변화시킨다.

맥락막 안쪽에는 망막이 있다. 눈의 노출 부위의 공막 표면은 점액성의 막인 결막이 있어 눈이 건조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빛이 굴절되어 초점을 형성하도록 하는 투명한 각막은 안구에 있어서 가장 휘어져 있는 부분이다. 각막 뒤에는 수양액(水樣液)으로 채워진 안구앞방과 근육성 막인 홍채가 있는데, 홍채 중앙의 동공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은 홍채의 개폐작용에 의해 조절된다.

수양액은 동공을 통해 홍채와 수정체 사이의 작은 공간인 안구뒷방으로 흘러들어간다. 수정체의 모양은 모양체의 작용에 의해 조절되는데 수정체의 초점거리는 필요에 따라 변한다. 수정체는 상을 눈 뒤쪽에 있는 망막의 광수용세포들인 간상세포와 원추세포에 맺히게 한다. 대부분의 상은 망막 중심 가까이에 있는 황반중심와(黃斑中心窩)에 투영되며 여기에는 많은 수의 원추세포가 있어 선명한 상이 맺히도록 해준다.

이들 광수용체들은 상을 기록하여, 맹점(盲點) 뒤에서 안구로부터 나와 뇌의 시각중추로 가는 시신경으로 그 기록을 전달한다.

흔히 있는 시각장애로는 근시·원시·난시를 들 수 있는데 근시에서는 수정체로 들어온 상의 초점이 망막 전방의 유리체에 쏠려 광이 망막에 도달할 때 초점이 맞지 않게 된다.

반대로 원시에서는 초점이 망막 뒤에 쏠리게 되며, 난시는 각막의 만곡에 결함이 생기는 경우에 나타난다. 앞에서 말한 시각장애는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써서 개선할 수 있다. 이밖의 시각 장애로는 야맹증이나 색맹등이 있다.

눈에 영향을 끼치는 많은 다른 질병들이 있는데, 이 중에는 눈의 근육 조절에 지장을 주거나 망막퇴화를 일으키는 것도 있다. 후자의 경우, 시야가 터널처럼 좁아지거나 중심부는 어둡고 주변부가 오히려 선명하게 된다. 녹내장은 좀더 흔한 질병으로 특히 노인들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는 눈 내부 액압의 증가가 원인이며 맹인이 되는 수도 있다.→ 감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