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생산

대량생산

다른 표기 언어 mass production , 大量生産

요약 특화·분업·부품규격화 등의 원리를 제품생산에 적용한 것.

대량생산
대량생산

대량생산이라는 현대적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비용, 품질, 수량, 제품선택 범위 등 생산의 모든 면이 개선되어왔다.

그결과 오늘날엔 전세계적으로 역사상 최대 인구가 최고의 평균생활수준을 누리고 있다.

1913년 미시간 주 디어본의 자동차공장에서는 이동식 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함으로써, 플라이휠 자석 발전기의 생산 소요시간을 18분에서 5분으로 단축시켰다. 이것은 최초로 현대의 종합적 대량생산 기술이 실용화된 사례였다.

헨리 포드와 그의 동료들은 제조업운영을 구상하면서 과거부터 시도되었던 작업분할방식의 구상과 실례를 이용했는데, 그것은 제조공정을 각각 숙련노동자가 수행하는 연속적인 단계로 분할함으로써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었다. 한편 조면기(繰綿機)를 발명한 엘리 휘트니는 1798년 상대적으로 숙련도가 낮은 아동 노동력을 사용해 1만 자루의 화승총을 생산했는데 그결과는 고도의 숙련기술공을 대체하려면 도구를 특수화·규격화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포드사(社)가 컨베이어벨트 작동에 필요한 고도의 정밀도를 갖추게 된 것은 19세기말과 20세기초 프랭크, 릴리언 B. 길브레스 부부와 F.W. 테일러 등의 선구적인 시간동작 연구의 결과였다.

특정상품의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투자를 보장해 줄 넓은 시장을 확보해야 한다.

그 다음엔 규격화된 부품 및 공정에 적합한 상품 디자인과 원료처리 과정에서 신체동작을 최소화하기 위한 동작모형을 개발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작업과정을 단순하면서도 짧고 반복적인 여러 단계로 세분해야 하며, 작업수행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여러 도구들도 갖추어야 한다.

현대의 대량생산 공정에서는 각 노동자가 하나 또는 2~3가지 작업을 교대로 여러 차례 반복한다.

사용 도구의 배치와 작동체계, 컨베이어벨트나 작업대의 높이 등 세부적인 작업 배치는 모두 노동자들이 작업을 마칠 때까지 동작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게 고안된다. 시간 및 동작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작업은 연속동작으로 행해지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워 습득하기도 쉬우며, 소모적인 동작이나 정신적·신체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입증되었다. 이렇게 계산된 노동절감을 통해 대량생산 비용을 많이 절감할 수 있다.

작업장을 주의깊게 설계함으로써 여러 단계의 대량생산 공정을 조정하는 데 필요한 노동생산성 평가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대량생산 과정에서는 노동자 각자가 매번 동일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의 성격에 잘 맞는 기계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최종생산물이 완성된 뒤 각 부품들은 어느 제품에든 바꿔 끼워서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자동차제조업과 같은 산업에서는 판매를 늘리기 위해 다양한 모델의 상품을 제공한다.

따라서 가능한 한 많은 종류의 모델에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품을 선택해야, 각 모델에 대한 시장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면서 생산을 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부품을 규격화할 경우 각각의 부품을 대량으로 생산 또는 구매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경제적으로 이익이다.

생산 라인 설계는 노동자와 기계 사이에 가장 경제적으로 노동기능을 분할하는 일부터 시작된다.

그 다음엔 단계별로 특수한 도구와 작업장 배치를 구상하고, 노동자를 훈련하며, 원료를 운반·처리하기 위한 배열을 만든다. 또한 공정의 실행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실험 라인(pilot line)을 만들어 실제 상황을 시험해본 뒤 그 결과에 따라 공정을 조정할 수도 있다. 주어진 제조공정이나 제반 설비에 따라 각각의 최적생산율이 정해진다. 이상적인 비율보다 낮게 생산하는 것은 숙련노동이나 기계를 낭비하는 결과를 가져오며, 반대로 최적생산율 보다 높은 비율로 생산할 경우 노동자를 피로하게 하고 기계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적정률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여러 가지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조정이 필요하다. 한편 생산 라인을 설정할 때에는 화학산업에서처럼 모든 제품을 동시에 완성시키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고 생산공정의 순서에 따라 차례로 완제품을 내놓는 방식을 쓸 수도 있다. 많은 공정을 거치면서 어떤 부품은 일괄적으로 생산되어 연속생산 주(主) 라인으로 통합하기 위해 적합한 단계로 운반된다. 수천 가지 중에 하나만을 예로 들자면 일괄생산기술을 갖추고 있을 경우 8,000명의 노동자를 고용하고 3,000여 명의 서로 다른 공급자로부터 원료를 구입해 종류와 색상을 1,000가지로 조합하면서 매년 800만 대의 전화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노동량절감 외에도 또다른 '규모의 경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원료와 공급물자를 대량으로 구입한다는 장점이 있으며 장기생산을 하기 때문에 조립 등의 여러 비생산적인 단계에서 많은 시간을 낭비해야 하는 단기생산보다 더 많은 이익을 얻게 된다. 뿐만 아니라, 노동자와 생산기술자가 경험을 축적함에 따라 생산의 효율성은 차츰 높아지고 단위비용은 절감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대량생산 체제의 등장은 노동과 소유권 양자의 본질에 모두 관련을 가진다.

반복되는 노동은 지루함과 피로를 느끼게 해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실수나 재해를 초래할 수도 있다. 노동자들은 완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아주 작고 눈에 띄지도 않는 한 부분에만 기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노동자들이 제품과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야만 한다. 대량생산 공정을 수립하는 데에는 매우 많은 자본이 소모되므로, 개인 혼자 힘으로는 그 막대한 자금을 조달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현대적인 대규모 제조업체에서는 소유권이 각 개인의 수중에서 법인체로 이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