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갈란드

나갈란드

다른 표기 언어 Nagaland
요약 테이블
위치 인도 북동부, 미얀마와의 국경 나가 구릉지대
인구 2,083,000명 (2021년 추계)
면적 16,579㎢
언어 영어, 힌디어
대륙 아시아
국가 인도

요약 인도 북동부 가장자리에 있는 주. 동쪽으로 미얀마, 남쪽으로 마니푸르 주, 서쪽과 북서쪽으로는 아삼 주를 각각 경계로 하고 있다. 이웃한 아삼에 있던 아홈 왕국의 13세기 연대기에서 나갈란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가 처음으로 나온다. 경제는 농업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생산인구 가운데 4/5가 농민이다. 면적 16,579㎢, 인구 2,083,000(2021 추계).

목차

접기
  1. 개요
  2. 역사
  3. 자연환경
  4. 인구/언어
  5. 경제
  6. 문화/교육
나갈란드(Nagaland)
나갈란드(Nagaland)

개요

동쪽으로 미얀마, 남쪽으로 마니푸르 주, 서쪽과 북서쪽으로는 아삼 주를 각각 경계로 하고 있다. 북쪽부분은 미얀마 국경에서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에 걸쳐 뻗어 있다.

역사

나갈란드의 초기 역사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이웃한 아삼에 있던 아홈 왕국의 13세기 연대기에서 나갈란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가 처음으로 나온다. 나가라는 말은 이 지역에 살았던 여러 부족과 소부족을 가리킨다. 이 이름은 산스크리트인 나가(뱀), 힌디어인 낭가(벌거벗은)나 나가(구릉에 속하는), 또는 노크(사람들 또는 부족)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아홈 왕국과 나가족은 가끔 충돌하기도 했지만 대체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미얀마는 1819~26년에 나가족을 지배했다. 이때 영국은 아삼을 손에 넣고서 나가 구릉지대를 점차 합병하고 있었다. 영국은 머리 사냥이나 부족들 사이에 서로 습격하는 행위를 완전히 금지시켰으며, 이로써 나가족은 농사를 짓고 무역을 하면서 비교적 평화로운 생활을 했다. 1947년 인도가 독립하자 나갈란드에서도 자치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일어났으나 오랜 협상 끝에 1963년 나가족은 인도의 주(州)가 되는 안을 받아들였다.

자연환경

나갈란드 주는 약간의 평원지역을 빼고는 전체가 히말라야 산맥 일부인 구릉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나가 구릉지대는 브라마푸트라 평원 남쪽에 솟아 있으며 고도는 610~1,830m에 이른다. 따로 솟은 봉우리 가운데에는 해발고도가 3,000m 이상 되는 것도 있다. 구릉은 팟카이 산맥과 이어지며, 팟카이 산맥을 경계로 나갈란드 주와 미얀마가 갈라진다. 국경지대에 있는 사라마티 산은 고도 3,826m나 된다.

나갈란드 주 북서쪽은 브라마푸트라 강 지류에서, 남동쪽은 미얀마의 친드윈 강 지류에서 물을 끌어 쓴다. 남서쪽으로는 바라크 강 상류가 흐른다. 비가 많이 오는 몬순기후로 평균강우량은 남동부 1,800㎜에서 북동부 2,500㎜에 이르는 편차를 보이며 7, 8월에 비가 가장 많이 온다. 여름기온은 21~40℃로 심한 차이를 보이며 겨울에도 4℃ 아래로 내려가는 때는 드물지만 높은 지대에서는 서리가 내린다.

인구/언어

나가족은 인도-몽골 인종에 들어간다. 오랫동안 고립된 생활을 해왔으면서도 단일 민족으로서의 응집력은 부족하다. 15개 이상의 주요부족과 몇 개의 소부족으로 나누어지며 체격·언어·관습이 서로 다르다. 공용어는 없고 60개가 넘는 방언을 쓰며 마을마다 다른 방언을 쓰는 곳도 있다. 부족들끼리는 나가어라고 부르는 불완전한 아삼어로 의사소통을 한다. 힌디어와 영어를 쓰는 사람들도 많다. 주민 가운데 2/3 정도가 그리스도교를 믿고 1/10이 힌두교도이며 나머지는 이슬람교나 그밖의 다른 종교를 믿는다. 나가족은 대부분 시골마을에 사는데 주민이 5,000명이나 되는 곳도 있다.

경제

코히마(주도)·모콕충·디마푸르가 중요한 도회지로 손꼽히며 1960년대초 이후로 도시가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경제는 농업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생산인구 가운데 4/5가 농민이다. 가을 및 겨울 벼·작은 기장·식용종자·유료종자·사탕수수·감자·담배 같은 작물을 생산한다. 기름진 땅이 많지 않고 화전경작을 하기 때문에 소출이 적어 많은 식량을 수입해야 하는 형편이다. 낭비가 많았던 경작법 대신에 개선된 방법으로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농업상황은 느린 속도이지만 꾸준하게 달라지고 있다.

임업은 주요수입원이자 고용원이다. 다른 광물자원이 발견될 가능성도 있으나 지금은 석회암과 질낮은 석탄만이 채광되고 있다. 염전에서 소금을 생산하며 디쿠 강 유역에서는 석유가 솟아나온다. 나갈란드 주 최초의 수력발전소는 1978년에 가동되었다. 원자재와 금융자원, 전력 부족과 통신·교통 시설 부족(전천후 도로가 적으며 철도도 몇 km 되지 않음)으로 산업이 제대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제빵, 자동차 서비스, 정미(精米), 진열장을 비롯한 가구 제작, 제지 및 펄프가공, 제당, 과일통조림 제조 같은 소규모 산업을 주로 하고 있다. 직물, 바구니 짜기, 목공, 도기제조 등의 가내공업도 많이 한다.

문화/교육

나가족 사람들은 가족과 씨족 및 마을을 중요하게 여기며 자신들이 사는 땅과 전통 관습에 커다란 애착을 가지고 있다. 미혼 남성들을 위한 모룽(공동주택 또는 기숙사)이 마을의 명물이고 미혼 여성들을 위한 공동주택을 갖춘 부족도 있다. 축제가 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 행사는 여러 가지 예식으로 이루어지며 산 제물로 소를 바치는 의식에서 절정을 이룬다. 나가 사회에서 여성은 지위가 높고 존경을 받으며 밭에서 남성과 똑같은 조건으로 일하고 부족회의에서 영향력을 발휘한다.

외부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나가족은 풍요로운 시적(詩的) 사고를 지니고 있다. 이들의 시·민요·이야기·민간전승에는 풍부한 활력과 낭만, 기사도에 대한 애착이 표현되어 있다. 인구의 2/5가 글을 읽고 쓸 줄 안다. 여러 일반 교양대학과 법과대학, 농과대학이 있다. 이들은 모두 메갈라야에 있는 노스이스턴힐대학교의 부속대학이다.

지도
나갈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