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주

김석주

다른 표기 언어 金錫胄 동의어 사백, 斯百, 식암, 息庵, 문충, 文忠
요약 테이블
출생 1634(인조 12)
사망 1684(숙종 10)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목차

접기
  1. 개요
  2. 제2차 예송 및 경신대출척
  3. 노론·소론의 분열
김석주(金錫冑)
김석주(金錫冑)

개요

서인으로서 경신대출척을 일으켜 남인을 숙청했다. 그뒤에도 남인의 철저한 숙청을 주장하면서 노론을 이끌었다. 본관은 청풍. 자는 사백, 호는 식암. 할아버지는 영의정 육이고, 아버지는 병조판서 좌명이다.

1657년(효종 8) 진사가 되었으며, 1662년(현종 3) 증광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전적이 된 뒤, 이조좌랑·정언·지평 등을 지냈다. 특히 홍문관에 들어가 오랫동안 교리·부교리·수찬 등을 맡았다.

제2차 예송 및 경신대출척

당시 서인 가운데 한당에 가담해 집권당인 산당에게 중용되지 못했다. 1674년(숙종 즉위) 자의대비의 복상문제로 제2차 예송이 일어나자 남인 허적(許積) 등과 함께 송시열·김수항(金壽恒) 등 산당을 몰아내고 수어사·도승지가 되었다. 그러나 남인 집권층이 송시열을 죽이려는 것을 좌절시켜 송시열과의 관계를 긴밀히 했다.

1680년 왕이 쓰는 장막을 사사로이 사용한 사건으로 남인의 영수 허적이 영의정에서 물러나자, 남인의 잔여세력을 완전히 몰아내기 위해 허적의 아들 허견(許堅)의 모역사건을 고변했다. 경신대출척이라 불리는 이 사건에서 인평대군(麟坪大君)의 세 아들인 복창군(福昌君)·복선군(福善君)·복평군(福平君)과 윤휴(尹鑴)를 죽이는 등 남인의 인물들을 숙청하고, 그 공으로 보사공신 1등으로 청성부원군에 봉해졌다. 그뒤 영의정 김수항, 좌의정 민정중, 우의정 이상진 등 서인정권이 굳어지자 이조판서가 되었다(→ 삼복의 옥).

노론·소론의 분열

1682년 우의정으로 호위대장을 겸했다. 이어 김익훈(金益勳)·이사명과 함께 남인의 잔여세력을 완전히 없애기 위해, 전익대를 사주하여 확실한 증거도 없이 허새(許璽)·허영(許瑛) 등 남인들이 모역한다고 고변케 하는 등 무자비한 방법으로 남인들을 공격하는 데 앞장섰다. 이에 서인 내부의 소장파들이 김익훈의 무고혐의를 주장하면서 소론을 형성하자, 김익훈을 두둔한 송시열과 함께 노론을 이끌며 이들과 대립했다.

1675년(숙종 1) 9월 향촌의 재편성을 도모한 오가작통제의 제정에 참가했으며, 호패와 호포 논의에 적극 참여하여 이의 실시를 주장했다. 죽은 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정권을 장악하자 김익훈·김만중과 함께 공신호를 박탈당했다가, 1694년(숙종 20) 갑술옥사 이후 다시 복구되었다. 저서에는 〈식암집〉·〈해동사부 海東辭賦〉가 있다. 숙종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