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기

김만기

다른 표기 언어 金萬基 동의어 영숙, 永淑, 서석, 瑞石, 정관재, 靜觀齋, 문충, 文忠
요약 테이블
출생 1633(인조 11)
사망 1687(숙종 13)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김만기
김만기

본관은 광산. 자는 영숙, 호는 서석·정관재. 증조부는 형조참판을 지낸 장생(長生)이며, 아버지는 생원 익겸이다. 인경왕후의 아버지인 숙부 익희에게 수학하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 되었다.

1652년(효종 3) 사마시를 거쳐 이듬해 별시문과에 급제, 승문원에 등용되고 수찬·정언·교리 등을 지냈다. 1659년 효종이 죽자 자의대비의 복상문제로 논란이 일어났을 때 기년설을 주장했으며, 3년설을 제기한 남인 윤선도(尹善道)를 공격했다(→ 기해예송). 1671년(현종 12) 딸(→ 인경왕후)이 세자빈이 되었고, 1673년 영릉을 옮길 때 산릉도감의 당상관이 되었으며, 그 뒤 병조판서를 지냈다.

1674년 숙종이 즉위하자 왕의 장인으로서 영돈녕부사에 승진하고 광성부원군에 봉해졌다. 또한 총융사를 겸하여 병권을 장악했고, 김수항(金壽恒)의 천거로 대제학이 되었다. 1680년 경신대출척 때 훈련대장으로 끝까지 남인과 맞섰으며, 허적(許積)의 서자 견과 종실인 복창군(福昌君)·복선군(福善君)·복평군(福平君) 등의 역모를 막은 공으로 보사공신 1등이 되었다(→ 삼복의 옥).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정권을 잡자 관직에서 쫓겨났다가, 뒤에 복직되었다.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서석집〉 18권이 있다. 시호는 문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