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론

다른 표기 언어 金剛三昧經論

요약 불교경전 〈금강삼매경〉을 원효(元曉:617~686)가 최초로 주해한 주석서.

3권. 당시 국왕이 〈금강삼매경〉에 대한 설법을 듣고자 마련한 대법회에서 강론을 하기 위해 집필한 것으로, 송(宋)의 〈고승전 高僧傳〉 권4의 〈신라국사문원효전 新羅國沙門元曉傳〉에 이 논을 저술한 연기가 소개되어 있다.

이 책은 〈대승기신론소 大乘起信論疏〉의 일심에 관한 사상을 토대로 이를 더욱 확대시킨 것으로, 삼매라는 주제를 고답적인 수도상의 정신적 단계와 원리를 설명하는 데 국한하지 않고, 인간현실에서 회복되어야 하는 하나의 마음[一心]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논구하였다. 즉 인간이 자기소외에서 본래의 자기로 회복될 수 있는 것은 어떠한 마음의 원칙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인가를 가장 주요한 논제로 삼고 있다.

아울러 중국 남북조시대에서 당(唐)까지 중국 불교에서 제기되었던 교리를 고루 포함하여, 교리의 정립은 물론 불교학의 체계를 집대성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이 저술은 당의 학승들에 의해 대승불교에 대한 귀중한 사상적 업적으로 떠받들어졌다. 서두에 "합해서 말하면 일미관행(직관과 행동이 일미로 구현되는 것)이 그 요(要)이고, 열어서 말하면 십중법문이 그 종(宗)이다"라고 한 표현은 이 논이 대승불교의 신앙지침서이며 믿음과 참회의 차원을 직결시킨 위력이 있음을 잘 드러내준다.

〈대승기신론소〉와 더불어 대승불교철학의 대표적인 저작이자 한국불교의 고전적인 지침서로 꼽힌다. 판목은 해인사에 남아 있다. → 원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