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여

균여

다른 표기 언어 均如
요약 테이블
출생 923(태조 6)
사망 973(광종 24)
국적 고려, 한국

요약 고승일 뿐 아니라 국문학사에서 중요한 향가시인이기도 하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15세 때 사촌형 선균을 따라 승려가 되었다. 처음에 부흥사에서 식현화상에게 불도를 배우다가, 이어 영통사의 의순공 밑에서 배웠다. 이후 명산을 찾아다니며 종풍을 폈다. 균여의 화엄사상은 성상융회로 특징지어진다. 이 사상은 공을 뜻하는 성과 색의 상을 원만하게 융합시키는 이론으로서, 화엄사상 속에 법상종의 사상을 융합하여 교종 내의 대립을 해소시키고자 한 통합사상이다. 균여는 964년 광종이 그를 위해 발원하여 송악산 아래에 창건한 귀법사의 주지가 되었다. 왕명에 따라 향화를 받들며 민중을 교화하고 불법을 널리 펴다가 973년 6월 입적했다.

목차

접기
  1. 출가와 수행
  2. 보현십원가

출가와 수행

황주(黃州) 교외의 둔대엽촌(遁臺葉村)에서 태어났다.

속성(俗姓)은 변씨(邊氏)이다. 아버지는 환성(煥性)이며, 어머니는 점명(占命)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15세 때 사촌형 선균(善均)을 따라 승려가 되었다. 처음에 부흥사(復興寺)에서 식현화상(識賢和尙)에게 불도를 배우다가, 이어 영통사(靈通寺)의 의순공(義順公) 밑에서 배웠다.

신라 말엽 가야산 해인사(海印寺)에는 화엄종을 교리로 받드는 두 사람의 종장(宗匠)이 있었다. 그 가운데 관혜공(觀惠公)은 후백제 견훤의 원(願)을 받드는 승려였고, 다른 한 사람 희랑공(希朗公)은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복을 빌고 있었다. 관혜와 희랑은 다같이 화엄교리를 종지(宗旨)로 삼아 각각 남악과 북악(北岳)으로 불리고 있었지만, 서로 자파의 교법을 주장하여 대립과 갈등이 심했다.

균여는 북악의 법통을 계승하여 남악까지 종합했으나, 이러한 모습을 보고 탄식하여 수좌(首座) 인유(仁裕)와 함께 명산을 찾아다니며 독자적인 종풍(宗風)을 폈다.

균여의 화엄사상은 성상융회(性相融會)로 특징지어진다. 이 사상은 공(空)을 뜻하는 성(性)과 색(色)의 상(相)을 원만하게 융합시키는 이론으로서, 화엄사상 속에 법상종의 사상을 융합하여 교종 내의 대립을 해소시키고자 한 통합사상이다.

보현십원가

균여는 고승일 뿐만 아니라 국문학사에서 중요한 향가시인이기도 하다. 균여의 향가 〈보현십원가 普賢十願歌〉는 석가모니의 왼팔격인 보현보살의 십종원(十種願)을 주제로 하여 불교의 교화를 목적으로 지은 것이다.

이 작품은 균여의 신앙생활을 보여주는 것으로 세련된 10구체로 되어 있다. 균여는 964년에 광종이 그를 위해 발원하여 송악산 아래에 창건한 귀법사의 주지로서, 왕명에 따라 향화(香火)를 받들며 민중을 교화하고 불법을 널리 펴다가 973년 6월에 입적하여, 팔덕산(八德山)에 장례 지냈다.

그의 저술로는 〈수현방궤기 搜玄方軌記〉 10권, 〈공목장기 孔目章記〉 8권, 〈오십요문답기 五十要問答記〉 4권, 〈탐현기석 探玄記釋〉 28권, 〈교분기석 敎分記釋〉 7권, 〈지귀장기 旨歸章記〉 2권, 〈삼보장기 三寶章記〉 2권, 〈법계도기 法界圖記〉 2권, 〈십구장기 十句章記〉 1권, 〈입법계품초기 入法界品抄記〉 1권 등이 있다. 균여의 일생은 1075년(문종 29)에 진사 혁련정(赫連挺)이 쓴 〈균여전〉에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