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

교육사

다른 표기 언어 敎育史

요약 교육의 발생·사상·제도 등에 관한 교육과정의 역사 또는 그것을 연구하는 학문.

교육사는 과거의 삶의 현상으로서의 교육현상을 역사적으로 구명하고 구명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교육현상을 관통하는 여러 가지 법칙이나 경향을 살펴보아 이를 통해 교육현상을 보는 안목을 길러 현재의 교육실천을 풍부하게 하고 미래의 교육 또는 교육학을 전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교육학의 한 연구분야이다.

그러므로 교육사 연구는 1차적으로 사료의 객관성을 충분히 음미하여 과거의 교육현상을 밝혀야 하며, 다음으로는 특정한 교육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발생의 과정과 그 현상의 변화과정을 고찰하여 어떤 경향성이나 법칙을 음미해 교육현상의 역사적 구조를 파악해내야 한다.

교육사는 교육현상에 대한 연구이므로 교육현상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교육사 연구가 있을 수 있다.

교육현상은 단순히 학교교육이나 제도교육만이 아니라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인류가 해온 문화유산 전달의 모든 과정이므로 이것을 몇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도 있다. 또 교육사 연구는 교육현상을 관통하는 경향이나 법칙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양한 입장에서의 연구와 교육의 역사 서술이 가능하다. 여기서 교육사 연구의 영역과 분야, 연구의 입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육사 연구는 대개 한국교육사·서양교육사·동양교육사 등 3영역으로 나뉘어 있다.

이 3영역의 교육사 연구를 통해 교육현장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음미해볼 수 있다. 한국교육사는 주로 고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과 교육제도의 변천을 중심으로 연구해오고 있다. 통일신라까지의 교육을 고대의 교육으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학교교육제도의 성립과 귀족적 인간의 형성이라고 파악한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교육은 중세의 교육으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유교적 교육이념하에 교양인을 형성하려 했던 교육이라고 파악한다.

개항 이후에 전개되었던 교육은 근대교육으로 구분하여 근대교육의 형성과정과 특징을 학교제도의 대중화와 민주주의 교육의 실천과정이라고 파악한다.

여기서 서양의 교육역사를 살펴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문자사용 이전의 원시시대의 어린 세대들은 무의식적·비합리적으로 어른들의 생활양식을 모방하였다. 그러나 몇몇 집단에서는 공공으로 행하는 제도로서 성년식을 거행했는데 이는 자녀들이 부모가 구성하고 있는 공적 집단조직에 의해 교육받은 최초의 사례이다.

성년식은 인간이 어린아이에서, 즉 일체의 의도적·계획적·제도적인 교육을 받지 않았던 사회로부터 성인이 되기 위해 성년식을 필요로 하여 그 제도를 시행하는 사회로 옮겨감을 의미한다.

문자의 발달로 집단의 정신적 전통과 제도가 성문화되면 이를 해독하고 관리하는 지배자 교육이 이것을 전담하는 학교에서 행해진다. 이러한 교육은 그리스·로마 시대부터 시작되는데, 이 시대의 교육을 고대의 교육이라 한다.

그리스의 문화와 교육은 서양 문화와 교육의 기저가 된다. 그리스 시대의 교육은 자유교육을 이념으로 하여 인간의 힘으로 자질을 발전시켜 인간다운 이상과 최고의 가치인 행복을 실현하며 이를 향유할 수 있는 인간을 형성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은 소수의 지배자 그룹인 귀족, 자유민에게만 해당할 뿐 생산을 담당하는 대다수의 민중은 소외되어 있었다. 로마의 교육은 학교보다는 가정을 중심으로 행해졌는데, 부모의 실제적인 수단을 통해 경제·군사·정치·종교 등의 실용적인 교육을 받았다.

중세시대의 사회와 문화를 지배한 것은 그리스도교였다.

그리하여 중세의 교육은 그리스도교의 영향 아래에서 교리를 전파하기 위해, 또는 세속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루어졌다. 그리스도교 교화를 위한 교육은 인간의 개성이나 흥미, 자연적인 성정(性情)을 무시하고 지적 요소를 배제한 것으로서 내세에 대한 준비를 목적으로 한 도덕적 훈련의 교육이었다.

이를 위한 교육제도로서는 문답학교·문답교사학교·수도원·수도원학교·본산학교 등이 있었으나 도덕적 훈련의 교육을 가장 엄밀하게 행한 것은 수도원 교육이었다.

중세 후반에 이르면 신학적 문제에 관한 지적탐구가 활발해져 그리스도교의 이론적 바탕의 확립을 위해 논리학이나 철학이 이용되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스콜라주의와 대학이 흥성하게 되었다. 한편, 세속적인 교육도 발흥하여 봉건제도하의 기사 교육과 봉건제도가 붕괴해감에 따라 자유도시가 발생하여 도시민을 위한 시민교육제도가 형성되었다. 이와 같이 중세 그리스도교 교육과 세속교육이 병존했다.

근대 이후에는 문예부흥·종교개혁·산업혁명이라는 사회적 조건을 반영한 여러 가지 이념의 교육사상이 대두되었고 교육제도가 다양하게 존재해왔다.

학교교육 체제가 점차 정착되어갔고 인문주의·실학주의·자연주의·실용주의 등의 교육사상이 전개되었다. 근대의 교육은 시기, 나라마다 다양한 이념과 제도로 전개되어왔으나 약간의 편차에도 불구하고, 점차 모든 인간의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하는 보편적인 공교육제도로 발달해왔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가 성립되면서 노동자 대중이 교육받을 권리를 위해 부단히 행한 노력과 자본가들이 생산력 향상을 위해 대중교육을 필요라는 조건이 맞물려 이루어져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