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유학

고려의 유학

다른 표기 언어

요약 고려시대 통치이념으로 발달했던 유교적 사상체계.

고려시대에는 유학이 정치 이념으로 채택되어 불교와 더불어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따라서 유학은 정치의 사상체계로 성립되고, 전 시기에 비해 학문적으로도 크게 성장했다. 건국자인 태조는 고려왕조의 성립이나 후삼국의 통일을 유학의 천(天) 사상을 내세워 불가피했던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하여 연호를 천수(天授)라 하고 하늘에 대한 제천의례를 유교의 방식대로 실시했다. 또한 천인합일설(天人合一說) 혹은 천인상관설(天人相關說)에 입각해서 유교의 정치이념을 실제 정치 속에 구현하고자 했다. 군주의 실정이나 자연재해, 천재지변의 현상을 하늘과 연관시켜 설명함으로써 국왕을 포함한 지배층의 책임소재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유교사상을 통해서 유교적 이상국가를 실현시키려 했을 뿐 아니라 지방의 향리세력을 약화시키고 일반 백성을 순응시키는 지배이데올로기적 기능을 하도록 했다.

그것은 교육·과거제도의 실시를 통해 모색된다.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하면서 우선적으로 시행한 조치 중의 하나가 숭유흥학책(崇儒興學策)의 시행, 곧 학교의 설립이다. 즉 국초부터 창업의 안정과 화민성속(化民成俗)을 기하고자 유교적 윤리도덕론을 중요시하게 되고 그것이 학교의 설립으로 이어진 것이다.

서경에 학교를 설치한 이래, 성종대에는 국자감의 설립과 경학박사·의학박사의 파견 등이 이루어진다.

특히 성종대에는 최승로·김심언·이양과 같은 유학자들이 등장하여 고려왕조의 국가체제를 유교에서 지향하는 정치체제로 만들고자 하였다. 광종대에는 왕에 충성하는 관료의 양성을 위한 과거제도의 시행을 통해 호족 또는 귀족세력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시키고자 했다. 현종·인종·문종을 거치면서 지방제도가 정비되어가고 전국의 주요지역에 강학(講學)을 담당하는 학관(學官)이 파견되어 지방교육을 담당하게 되었다.

예종대에는 국학에 7재(七齋)를 두거나 양현고(養賢庫)라는 장학기금을 두는 등 관학 진흥에 힘쓴다.

최윤의의 〈고금상정예문 古今詳定禮文〉과 같은 예(禮)에 관한 저작이 쓰여진 것도 이때의 일이다. 인종대에는 유교적 정치이념과 교화이념이 극에 달하고, 이 이념들이 문벌귀족세력과 결합되면서 체제유지적·보수적 유교로 전락해간다. 김부식의 〈삼국사기〉로 대표되는 이 시기의 유교는 윤언이·백수한 등과 같이 전통사상을 중시한 유학자들과 대립하게 되고 묘청의 난을 통해서 김부식을 대표로 하는 유교의 승리로 귀결된다.

무인집권기의 고려 유학은 침체되었다.

무인정권 자체가 문벌귀족을 부정하여 성립되었으므로 문신을 제거하고 유교적 교육정책을 등한시하였다. 다만 무인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문신들의 도움이 필요하였으므로 문교정책을 부분적으로 제기했으나 전반적으로 이 시기 유학은 침체하였다. 원종 이후 왕정복고가 단행되면서 문신들이 대거 등용되고 원의 압력과 간섭이 강화되는 가운데 중국문화와 접촉하게 된다. 원은 중국을 무력으로 통일하고 중국의 한족(漢族)을 효과적으로 지배하기 위한 방편으로 주자성리학을 관학화하였고, 고려의 높은 문화수준을 이용하여 중국의 한족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만권당(萬卷堂)의 설립이 곧 그것이다.

고려 후기 주자성리학의 수용은 만권당을 통해 유학을 익힌 충선왕·이제현·이곡·이색 등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러므로 주자성리학은 원나라 관학인 성리학의 영향을 강하게 받지 않을 수 없었고, 그것도 사물에 대한 객관적 탐구를 지향하는 철학이론의 측면보다는 인간의 심성을 강조하는 학문적 경향에 치우쳤다.

고려 후기 사회는 이러한 원의 영향하에 주체적 입장에서 주자성리학을 받아들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거제도가 재정비되었다.

1367년(공민왕 16) 성균관의 중영(重營)과 삼장제(三場制)의 실시 등과 같은 과거제도의 경학화를 통해 주자성리학을 보급하고 많은 신흥유신들을 길러냈다. 공민왕 때 신돈의 개혁정치를 통해 정치세력화한 신흥유신은 여말의 정치적 현안문제인 전제개혁·배불운동, 그리고 조선왕조의 개창을 둘러싸고 2가지의 흐름으로 나누어졌다.

이색·권근·정몽주와 같은 온건파와 정도전·윤소종·조준과 같은 급진파로 구분되는 신흥유신은 동일한 시기에 같은 주자성리학을 수용하면서도 서로 다른 현실인식과 대응논리로 각각 고려의 절의파와 조선왕조의 개국공신으로 분기한 것이다.→ 성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