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건주의

경건주의

다른 표기 언어 Pietism , 敬虔主義

요약 그리스도교 역사를 통해서 신앙이 경험에서 멀어지게 될 때마다 그에 대한 반동으로 경건주의 운동들이 일어났다. 신앙적인 이유에서 네덜란드로 추방된 사람들, 그중에서도 윌리엄 에임스는 독특한 네덜란드 경건주의를 일으켰는데, 그것이 곧 독일에 확산되어 독일 루터교권에서 이미 '개혁 정통주의'로서 모양을 갖추기 시작한 개혁운동의 일부가 되었다. 경건주의운동이 절정에 달한 것은 18세기 중엽이었지만 이 운동은 그후로도 계속되었으며 현재도 독일의 여러 지방과 그밖의 나라들의 모라비아 교회에 뚜렷이 남아 있다. 일반 복음주의적 프로테스탄트 교회들에도 내면적으로 남아 있다. 19~20세기의 신앙부흥운동들은 직간접적으로 경건주의와 연관되었으며, 반대로 경건주의도 그 부흥운동들로부터 자극을 받았다.

경건주의(Pietism)
경건주의(Pietism)

교회의 세속화에 반대하여 개인적 신앙을 강조한 경건주의는 곧 다른 나라들에 퍼졌고, 시간이 감에 따라 사회적·교육적 관심사들도 강조하게 되었다.

그리스도교 역사를 통해서 신앙이 경험에서 멀어지게 될 때마다 그에 대한 반동으로 경건주의 운동들이 일어났다.

17세기초 루터교는 로마 가톨릭과 종교개혁권 내의 반대파들과 논쟁하는 데는 유용했지만 영적인 양식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스콜라주의적 체계로 굳어져버렸다. 30년전쟁으로 폐허가 된 독일에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부흥의 징후들이 나타났고, 경건문학과 신앙적 신비주의 전승에 대한 관심이 일어났다.

리처드 백스터, 존 버니언을 비롯한 여러 저자들의 작품이 번역되면서 영국 청교도사상의 영향이 대륙에 미쳤다.

신앙적인 이유에서 네덜란드로 추방된 사람들, 그중에서도 윌리엄 에임스는 독특한 네덜란드 경건주의를 일으켰는데, 그것이 곧 독일에 확산되어 독일 루터교권에서 이미 '개혁 정통주의'로서 모양을 갖추기 시작한 개혁운동의 일부가 되었다. 이들 정통파 루터교인들의 '가슴과 심장의 신학'은 요한 아른트(1555~1621)가 쓴 책들로 가장 잘 대변되었고 또 폭넓게 소개되었다.

또한 루터교가 그 시기에 쓰던 찬송가도 영적인 부흥 분위기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여러 갈래의 부흥운동은 필리프 야코프 슈페너(1635~1705)의 삶과 활동을 통해 하나로 수렴되었다. 슈페너는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행정목사로 있으면서 그 도시의 타락한 삶을 보고 고민하던 끝에 최초의 '경건자들의 모임'(collegia pietatis)을 조직했고, 평신도 그리스도인들이 그 안에서 정기적으로 만나 성서를 읽고 영적 깨달음을 나누었다.

이런 모임은 곧 그 운동의 특징이 되어 그 집회에 참석하는 사람들을 경건주의자라고 불렀다.

슈페너는 자기가 쓴 책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경건한 소원들 Pia Desideria〉(1675)에서 당시의 정통파를 무력하다고 평가하고 개혁을 위한 제안들을 내놓았다. 그 제안들은 다음과 같다. ① 개인적·공적으로 성서를 더 많이 사용할 것, ② 평신도들에게 신자의 제사장적 책임들을 더 많이 지게 할 것, ③ 살아 있는 신앙의 실천적인 열매들을 맺는 일의 중요성, ④ 논쟁보다는 경건과 배움을 중시하는 목회자 훈련, ⑤ 교화를 목적으로 한 설교 등이다.

'경건자들의 모임'은 이러한 개혁을 실행하기 위한 이상적인 도구였다.

독일 경건주의의 지도권은 슈페너로부터 할레대학교의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1663~1727)에게로 넘어갔다. 프랑케는 유능한 지도력을 발휘하여 할레대학교를 경건주의의 유력한 제도적 중심지로 만들었고 그 대학교와 관련하여 수많은 자선단체들이 생겼다.

할레대학교가 배출한 유명한 인물들 가운데는 아메리카 식민지에 루터교를 조직한 헨리 멜키오르 뮐렌베르크(→ 뮬렌버그가)가 있다.

할레대학교가 배출한 또 하나의 인물인 니콜라우스 루트비히 카운트 폰 친첸도르프(1700~60)는 작센에 있는 자신의 영토에 경건주의의 영향을 받은 모라비아교도 난민들을 대상으로 모라비아 교회를 세웠다. 할레파 경건주의자들이 참회를 요구한 데 반해 친첸도르프 추종자들은 그리스도의 속죄가 구원을 위해 유일한 필수조건이라고 설교했다.

경건주의가 독일 밖에서 직접적이고도 큰 영향을 끼친 것은 아마 친첸도르프의 노력 때문이었을 것이다.

감리교를 세운 존 웨슬리는 모라비아교도들에게 유익한 영감을 받았으며, 구원의 은혜를 강조하는 등 중요한 경건주의적 요소들을 당시 갓 시작한 복음주의 운동에 첨가했다. 다른 교단들은 목회신학·선교활동·예배형식에서 경건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경건주의운동이 절정에 달한 것은 18세기 중엽이었지만 이 운동은 그후로도 계속되었으며 현재도 독일의 여러 지방과 그밖의 나라들의 모라비아 교회에 뚜렷이 남아 있으며, 일반 복음주의적 프로테스탄트 교회들에서 내면적으로 남아 있다. 19~20세기의 신앙부흥운동들은 직접 또는 간접으로 경건주의와 연관되었으며, 반대로 경건주의도 그 부흥운동들로부터 자극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