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Aaug 코드 운지법

기타 Aaug 코드 운지법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A+

목차

접기
  1. 기본 용어
    1. 코드표 읽는 방법
  2. 왼손 손가락 번호
  3. 기본형 코드
  4. E형 하이코드
Aaug 코드 동영상동영상

아래 코드는 대표적인 2가지 운지법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외에 다른 운지법도 존재합니다.

기본 용어

코드표 읽는 방법

운지법 중 울리지 않도록 하는 줄이라는 의미의 뮤트는 코드표에서 로 표시합니다. 또한 왼손 손가락으로 운지하지 않고 울리는 줄이라는 의미의 개방현로 표기하며, 해당 코드의 기초가 되는 근음로 표기합니다. 이 3가지는 항상 코드표 내 줄번호 오른쪽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코드표를 읽기 위한 기본 용어
코드표를 읽기 위한 기본 용어
코드표 읽기 Tip

기타 연주자세에서 코드를 운지한 채로 지판을 45도 정도 기울인 상태에서 코드 이미지를 참고하면 더욱 이해하기 쉽습니다.

왼손 손가락 번호

기타는 왼손으로 지판을 짚어 연주하는데, 이때 지판을 짚는 각각의 손가락은 번호로 표기합니다.
바레(Barre)는 프랑스어로 "막힌, 차단된"이란 뜻을 지닌 단어로써, 기타 이론에서는 검지로 프렛 전체나 일부를 막는 동작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본 기타코드 백과에서는 대부분 1번 손가락으로 6줄을 다 잡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바레 형태로 3프렛 이상의 높은 프렛 에서 잡게되는 코드를 '하이코드' 혹은 '바레코드'라고 부릅니다.

왼손가락 번호 이미지
왼손가락 번호 이미지

기본형 코드

5-4-3-2-1번 줄을 순서대로 연주합니다.

Aaug 기본형 코드 운지법
Aaug 기본형 코드 운지법
운지법 구성음
줄번호 손가락번호 프렛번호
1 1 1 미#(E#)
2 3 2 도#(C#)
3 2 2 라(A)
4 4 3 미#(E#)
5 - - 개방현 라(A)
6 - - -
Aaug 기본형 코드 운지법에 따른 구성음
좋은 연주를 위한 Tip

• 오그먼트코드는 물음표 같은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

• 곡의 클라이막스가 지나간 후 1도 -> 5도 진행 다음에 오그먼트 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전환의 느낌을 줄 수 있는 약간 어려운 코드입니다.

E형 하이코드

Faug코드와 같은 형태입니다. 기본코드 폼과 같은 폼이지만 위치가 다릅니다.

Aaug E형 하이코드 운지법
Aaug E형 하이코드 운지법
운지법 구성음
줄번호 손가락번호 프렛번호
1 1 4 라(A)
2 3 5 미#(E#)
3 2 5 도#(C#)
4 4 6 라(A)
5 - - 개방현 라(A)
6 - - -
Aaug E형 하이코드 운지법에 따른 구성음